Testdrive
글 수 1,578
TG 3.3 vs SM7 3.5
SPEC
Wheel OZ Superleggera ADVAN RG
타이어 한국 H417 235/55 r17 (30psi) 한국 K104 225/50 R17 (30psi)
쇼버 순정 순정
스프링 순정 H&R
기타 튜닝사항 없음
400m 계측중
2시에 분당에 도착
튠진 기자분과 SM7오너 신정균씨와 만나
미개통 도로에서 드레그를 했습니다
VDC는 끄고 드레그
H-matic 사용
-1차전-
1단 6000rpm에서 변속했으나 퓨얼컷..
통한의 퓨얼컷 OTL
-2차전-
1차전의 실패를 거울삼아
1단 5800rpm에서 변속..
역시나 퓨얼컷.. -_-;;
-3차전-
안전하게 1단에선 5500rpm에서
변속하기로 결심
1단 5500rpm에서 변속..
약 50cm 차이로짐..
TG패
드라이브모드
-1차전-
당연히 자동으로 변속.. -_-;;
스타트 퍼팩트
반대 차이로 이김
TG 승
-2차전-
보통 스타트
초반 반대차이 그대로 피니시 라인까지
반대차이로 짐..
TG 패
-3차전-
스타트 타이밍 약간 놓침..
초반 한대차이 그대로 피니시 라인까지
한대차이로짐
TG 패
6전 1승 5패 이지만 (퓨얼컷 걸린 두번은 빼달라고픈.. ㅋ)
이정도면 선전했죠? ㅎㅎ
H-matic 3차전이 가장 신뢰도가 높게 느껴집니다 (거의 동시 -1/1000 차이일까? ㅎ- 에 출발)
SM7이 TG보다 반대정도 빠른듯..
신정균님의 내공도 상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Reaction time이 저의 경우에는 가끔 발군(?)의 실력을 보여주긴 하지만
편차가 심한데 비하여 신정균님은 일정 하더라는..
강호(?)의 벽은 높기만 하니 얼렁 내공을 더 쌓아야 겠군요.. 쿠쿠..
2007.08.06 00:09:00 (*.0.0.1)
앗..저기는...두번째 사진 바닥의 스핀 자국은 제가 만든것들 입니다...ㅋㅋㅋ드래그시 저쪽편은 중간에 사람들이 가로질러 다니니 조심해야 합니다...
2007.08.06 00:18:00 (*.0.0.1)
스키드마크의 형태를 보아하니 후륜차량! 현우님이시라는것을 이미 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지나다 보셨겠지만 현우님 덕분에 가드레일이 기존의 끈에서 철파이프로 바뀌었더군요.
2007.08.06 00:18:00 (*.0.0.1)
현우님 안녕하세요. 나중에 직접뵙고 인사드리겠습니다. 수지부근을 자주 지나치는데 일전에 올려주신 현우님 사진덕분에 무사히 주행을 마칠 수 있었습니다. 생각 같아서는 성능시험연구소 직선로를 임대하여 하고 싶지만 현실여건이 허락을 하지 않습니다.
2007.08.06 00:19:00 (*.0.0.1)
지론이 하나 있습니다. 자동차의 성능개선을 위한 테스트는 공로를 기본으로 하여야 한다는...그리고 자동차개발은 혹독한 레이스를 통해서만이 가능하다는 짧은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2007.08.06 00:11:00 (*.0.0.1)
성태님 반갑습니다. 라인도 안그린 깨끗한 도로위에 타이어자국내봐서 도로 관계자분들께 내심 미안해하고 있는데...그래도 들어갈 수는 있죠? 재미있는 대결 잘 봤습니다. 또 기대할께요...
2007.08.06 00:02:00 (*.0.0.1)
sm7의 경우 수동모드로 드래그 하실때는 수동모드에만 놓고 그냥 골인하실때까지 건드리지 않는편이 가장 빠릅니다 적정 알피엠이 되면 알아서 변속됩니다 사람이 조작하는것보다 훨씬 빠릅니다 물론 그냥 d에 둔것보다 고알피엠으로 사용되고 변속도 매우 빠르게 됩니다
2007.08.06 00:02:00 (*.0.0.1)
당연한 얘기지만 다운칠때만 조작하면 된다는 뜻이지요 tg의경우는 수동모드에서 그냥 두게 되면 알아서 변속이 되는지 테스트 해보지 못했습니다 sm7처럼 알아서 변속된다면 사람이 조작하는것보다 확실히 빠릅니다
2007.08.06 00:02:00 (*.0.0.1)
만약 알아서 변속되지 않는다면 sm7에 비해 상당히 불리한것이지요 그렇지 않아도 무게도 더 무겁고 배기량도 더 작은데요 ^^;;;
2007.08.06 00:01:00 (*.0.0.1)
조길현님 감사합니다.. ^^;; TG의 경우는 수동모드에선 출발시 1단에서 50%이상의 확률로 퓨얼컷이 걸리더군요.. ㅜ.ㅜ 6500rpm부터 레드존이지만 1단에선 6200rpm부터 연료차단이라 5500rpm정도에서 시프트업을 해 주는게 안전 합니다.. ㅋ
2007.08.06 00:01:00 (*.0.0.1)
튠진 기사보니 그날 0-400m 최고기록은 14.85sec 제가 세웠더군요.. 쿠쿠.. 메치경기에선 졌지만 (6전 1승 5패) 기록에선 이겼으니 (TG 14.85sec / SM 14.90sec) 이정도로 만족 하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