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국내 런칭을 준비중인, 크라이슬러 300C SRT8 을 시승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우람한 프론트뷰에, 크롭라지에이터 그릴 등 첫눈에 카리스마가 확~ 들어오는 모습에 두근두근..



옆모습은 기존 300C 와 다를게 없지만, 크롬 대형휠이 눈에 들어옵니다.



브렘보킷으로 무장한 브레이크와, 20인치 대형 크롬 휠..




크라이슬러 300C는 어퍼미들클래스 대형세단이지만, 독특한 스타일과 권위적인 마스크로 인해 출시때부터 꾸준한 인기를 끌고있는 차로 알고있습니다. 3년 전, 5.7 헤미를 시승해본 기억과 오버랩 되어, 6000 cc 오버 헤미엔진에 430 마력을 넘나드는 SRT 에 오르자.. 심장박동이 빨라집니다.
5.7 헤미의 경우 340 마력정도의 출력이지만, 소프트한 하체때문에 완전히 열린 직진로가 아니면 풀스로틀하기가 조심 스러웠는데, SRT 의 경우는 스포츠 머쓸세단으로서의 기본기가 잘 갖춰져있더군요. 단단한 하체와 강성이 어울려.. 어지간한 코너에서도 안정적으로 스로틀을 열 수 있었습니다.
5.7 헤미와 마찬가지로 2000 중반 알피엠까지는 4기통만 작동하고, 중고알피엠 영역대에서 부터 8기통 모두가 열리면서 무시무시한 가속이 시작됩니다. 노말한 드라이빙때는 저알피엠 영역으로도 충분히 여유있는 주행이 가능하고, 가속페달을 깊이 밟으면 2톤이 넘는 거구가 공간속으로 빨려들어가듯이 발진하기 시작하는데.. 이는 6500 알피엠 이상까지 거침없이 가속감을 크레센토로 끌고 갑니다.
대배기량에서 뿜어나오는 굵직한 배기음은, 운전석에 앉아있으면 우월감에 도취되기에 충분하고.. 고알피엠 영역에서의 상승감도 상당히 부드러운 느낌입니다. 생각보다 폭발적인 가속감은 아니지만, 순식간에 200 을 넘어가는 고속영역대의 동세는 가히..드라이버를 움찔하게 만듭니다. 우람하고 커다란 덩치에 지방국도에서 풀스로틀로 가속하니.. 지나가는 마을 노인들이, 멀리서부터 속도를 줄이라고 다급히 손을 흔드시더군요. 위압적인 마스크에 다가오는 속도감이 더욱 크게 느껴지신 듯. ^^
실내의 좌우폭도 넓어, 7시리즈나 S클라스에 비해 운전석의 타이트한 느낌이 조금 부족하고.. 다소 황량한 느낌을 줍니다. 각진 실내 디자인도 방만한 느낌에 일조하는 듯.. 몸놀림은 의외로 가볍고, 브렘보 브레이크의 감성은 초반에 조금 밀리는듯 하지만, 적당한 인터벌 뒤에 강하게 차체를 제압합니다. 고속코너와 타이트한 코너에서도.. 중형세단등과 큰 위화감없이 단단하게 잡고 돌아갑니다.
초반부터 꾸준한 토크와 출력으로 리니어한 가속감을 보이는 400마력 콰트로포르테 보다는 알피엠 상승에 따른 토크변화가 크지만, 517마력에 80키로토크를 오버하는 S600 에 비하면, 임팩트는 부드럽습니다. 20인치 대형 크롬휠과 강인한 마스크.. 얼핏 벤틀리나 롤스로이스를 연상케하는 화려한 모습에, 수퍼스포츠카에 필적하는 수퍼세단으로서의 시각적인 위용은 대단하지만, 어쩔 수 없이 독일 빅쓰리의 쫄깃한 감성보다는 다소 헐거운 느낌이 듭니다.
특별히 편의성이 추가된거 같지는 않고, 강하게 튠된 엔진과 하체로 적당한 스포츠성이 가미된 느낌.. 가격이 아직 책정되지 않았다던데.. 8천 전후의 5.7 헤미와 어느정도 차이일지 궁금하네요. 타이트한 스포츠 드라이빙을 즐기기엔 2% 부족하지만, 하이웨이 고속크루징 능력과 완만한 와인딩에서 순식간에 어지간한 스포츠카들을 제껴버릴 숨은 실력이.. 익사이팅한 감성을 줄거 같습니다. 실용성도 커버하면서요..
한량느낌은 충만한..매력있는 컨셉임엔 분명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깜장독수리..

2008.09.12 15:38:17 (*.62.199.126)

권위적인 마스크 <- 얼핏 잘 못 보면 롤스로이스 팬텀으로 보입니다.
가끔 동네 흑인 형님들이 크롬장식으로 비슷하게 붙여서 다니시던데 ^^;;;;;;;
가끔 동네 흑인 형님들이 크롬장식으로 비슷하게 붙여서 다니시던데 ^^;;;;;;;
2008.09.12 16:05:55 (*.129.15.240)
잘 읽었습니다. 국내에서 과연 몇 대나 제대로 팔릴 지...
크로스파이어처럼 폭탄 세일하는 건 아닌지 걱정이 솔직히 되네요..^^
크로스파이어처럼 폭탄 세일하는 건 아닌지 걱정이 솔직히 되네요..^^
2008.09.12 17:38:28 (*.234.60.251)
벤틀리 딜러에게 들은 재미난 얘기가 떠오르네요.
어떤 고객이 매장에 들어오더니, 차가 저번에 봤을때보다 더 좋아보인다고 바로 계약하자고 하더랍니다. 열심히 계약서 작성하다보니 뭔가 느낌이 이상.. 가격이 ㅎㄷㄷ..
길건너 크라이슬러 매장의 300C를 보러온 손님이었다는군요. ;;;
그 딜러 좋다 말았다네요. ^^*
어떤 고객이 매장에 들어오더니, 차가 저번에 봤을때보다 더 좋아보인다고 바로 계약하자고 하더랍니다. 열심히 계약서 작성하다보니 뭔가 느낌이 이상.. 가격이 ㅎㄷㄷ..
길건너 크라이슬러 매장의 300C를 보러온 손님이었다는군요. ;;;
그 딜러 좋다 말았다네요. ^^*
2008.09.12 18:10:25 (*.111.171.107)

예전에 신사대로에서 옆으로 300C가 지나가길래 "음... 300C로군."하고 곁눈질하고 있었는데, ... 차가 좀 길더군요. 한참을 추월하고 있는데다가 뒤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길래, 그제서야 300C가 아닌걸 깨닫고 꽁무니를 보면서 중얼거렸습니다.
"미안해요, 롤스로이스."
"미안해요, 롤스로이스."
2008.09.12 18:59:23 (*.62.44.106)

연륜이 늘어갈수록 점점 다른 시각으로도 차를 보게되나 봅니다..
독일 모델들은 이런 한량 느낌이 잘 나질 않져. 몬가 독일차 특유의 묵직하면서 타이트한..
살짜쿵 헐렁한 미국차.. 나름 색다른 매력이 충분하져..??.쿠쿠. (^^*)
재미나게 잘 읽었습니다..*
독일 모델들은 이런 한량 느낌이 잘 나질 않져. 몬가 독일차 특유의 묵직하면서 타이트한..
살짜쿵 헐렁한 미국차.. 나름 색다른 매력이 충분하져..??.쿠쿠. (^^*)
재미나게 잘 읽었습니다..*
2008.09.12 21:18:10 (*.229.121.57)

아웅..저차 타보면서 느낀건, 머스탱 블릿버전을 모는 스티브맥퀸이랑 도심배틀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였답니다. 민욱님은 미쿡 생활을 오래해서 그느낌..몬지 알듯. ㅋ
롤스로이스는 폴쉐카이엔이랑 나란히 서있는데도 높이가 얼추 비슷하더군요. 압구전 골목에서 차에 앉은채 마주쳤을땐..왠 탱크로린가 했답니다. 냠 ㅎㅎ
롤스로이스는 폴쉐카이엔이랑 나란히 서있는데도 높이가 얼추 비슷하더군요. 압구전 골목에서 차에 앉은채 마주쳤을땐..왠 탱크로린가 했답니다. 냠 ㅎㅎ
2008.09.12 23:20:55 (*.152.6.96)

5.7 헤미가 340마력밖에 안되었군요... 모양만 보고 전 한 500마력 나오는줄 알았는데..^^
내장만 좀 고급스럽게 나오면 잘 팔릴텐데... 이것도 크라이슬러라...
참 큰돈받기 힘든 브랜드지요.
크라이슬러.... 이름은 참 좋은데... 발음도 멋지고... 고급브랜드가 아닌게 이상하죠?
크라~이슬러
크~라이슬러
크라이~슬러 ^^
내장만 좀 고급스럽게 나오면 잘 팔릴텐데... 이것도 크라이슬러라...
참 큰돈받기 힘든 브랜드지요.
크라이슬러.... 이름은 참 좋은데... 발음도 멋지고... 고급브랜드가 아닌게 이상하죠?
크라~이슬러
크~라이슬러
크라이~슬러 ^^
2008.09.13 03:26:39 (*.29.25.164)
앗 미국차의 헐렁함이 300C에도 그렇게 많이 느껴지던가요? 조립을 오스트리아에서 한다고 해서 독일차의 느낌이 어느 정도 베어있을줄 알았는데... 사실 강렬한 마스크와 위압적인 차체로 인해 제 취향은 아니지만 나중에 아버님 사드리면 아주 좋아하실 것 같다는 생각은 지금도 많이 하고 있습니다. ㅋㅋㅋ
2008.09.13 06:40:58 (*.108.55.62)

외형 디자인은 호/불호 가 나뉘는 고유의 강한 개성으로 받아들이고 싶지만 정말 너무도 싼티나는 실내 디자인과 재질감은 뒤 돌아 보지말고 빨리 개선해 주었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디젤 300C의 파워만해도 감동적이었는데 SRT 라...
2008.09.13 12:36:27 (*.229.121.57)

SRT 의 '약간의 헐거움'은.. 꼭그렇다..라 얘기하기가 어렵습니다.
크라이슬러라는 선입견, 짜임새가 부족하고 루즈한 인테리어..터프한 디자인.. 이런요소가 드라이빙 중 감성에 영향을 줬을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760 이나 S600 에서도 분명히 들렸을만한 타이트한 코너링때의 미세한 찌그덕거림이, SRT 탈땐 좀 더 클로즈업돼 느껴졌을지도 모릅니다. ㅋ
크라이슬러라는 선입견, 짜임새가 부족하고 루즈한 인테리어..터프한 디자인.. 이런요소가 드라이빙 중 감성에 영향을 줬을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760 이나 S600 에서도 분명히 들렸을만한 타이트한 코너링때의 미세한 찌그덕거림이, SRT 탈땐 좀 더 클로즈업돼 느껴졌을지도 모릅니다. ㅋ
2008.09.13 14:48:48 (*.234.251.211)

휠이 20인치인줄은 몰랐네요, 그것 보단 작아보여서 ㅋㅋ 제친구는(여자)
300C 보고 난로통처럼 생겻다고 하던데 ㅋㅋ 개인적으로 그릴은 이전것이 이쁜듯^^
300C 보고 난로통처럼 생겻다고 하던데 ㅋㅋ 개인적으로 그릴은 이전것이 이쁜듯^^
2008.09.16 11:29:57 (*.219.0.69)

타보셨군요.
몇가지 수정사항 말씀드립니다. SRT 모델의 엔진의 V8 엔진은 5.7 HEMI 노멀에 비해 보어를 키운 6.1L 엔진입니다. 압축비가 높고(9.6->10.3) 말씀하신 가변 배기량 시스템(Multiple displacement System)이 삭제되어 있는 고성능 버전입니다.
트랜스미션도 기존 5단에서 적극적으로 다운 시프트를 유도하는 알고리즘이 포함되고 허용 토크가 강화된 스페셜 버전입니다. 브레이크는 브렘보 4피스톤 캘리퍼가 앞뒤에, 앞 14인치 뒤 13.5인치 슬릿 로터에 장착됩니다. 서스펜션은 빌스타인제 쇽과 스프링으로 세팅했구요.
휠은 ALCOA에서 만든 20인치 단조 휠입니다. 고광택처리가 되어 있을 뿐 크롬은 아니구요. 인테리어는 저희도 걱정을 많이 했는데, 다행히 알칸타라로 루프, 필러, 도어 트림 등을 씌워 일반 300C와 차이가 큽니다.
며칠 타면서 중미산도 가보고, 중부내륙 고속도로나 올림픽대로 등에서 최고속(265km)까지 확인해봤습니다만, 휠베이스가 3050mm여서 코너가 많은 산길에서 날쌘 핸들링보다는 자동차 전용 도로 등의 중고속 크루징과 5초 초반의 0-100km 가속성능이 뛰어난 차입니다. 공식 임포터에서 수입하는 유일한 아메리칸 머슬로 자리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몇가지 수정사항 말씀드립니다. SRT 모델의 엔진의 V8 엔진은 5.7 HEMI 노멀에 비해 보어를 키운 6.1L 엔진입니다. 압축비가 높고(9.6->10.3) 말씀하신 가변 배기량 시스템(Multiple displacement System)이 삭제되어 있는 고성능 버전입니다.
트랜스미션도 기존 5단에서 적극적으로 다운 시프트를 유도하는 알고리즘이 포함되고 허용 토크가 강화된 스페셜 버전입니다. 브레이크는 브렘보 4피스톤 캘리퍼가 앞뒤에, 앞 14인치 뒤 13.5인치 슬릿 로터에 장착됩니다. 서스펜션은 빌스타인제 쇽과 스프링으로 세팅했구요.
휠은 ALCOA에서 만든 20인치 단조 휠입니다. 고광택처리가 되어 있을 뿐 크롬은 아니구요. 인테리어는 저희도 걱정을 많이 했는데, 다행히 알칸타라로 루프, 필러, 도어 트림 등을 씌워 일반 300C와 차이가 큽니다.
며칠 타면서 중미산도 가보고, 중부내륙 고속도로나 올림픽대로 등에서 최고속(265km)까지 확인해봤습니다만, 휠베이스가 3050mm여서 코너가 많은 산길에서 날쌘 핸들링보다는 자동차 전용 도로 등의 중고속 크루징과 5초 초반의 0-100km 가속성능이 뛰어난 차입니다. 공식 임포터에서 수입하는 유일한 아메리칸 머슬로 자리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2008.09.16 13:52:40 (*.219.0.69)

참고로 Alcoa는 알루미늄 전문 회사로, 트레일러와 버스 등의 단조 휠은 물론 승용/SUV 등을 위한 단조휠 전문 회사입니다. 20X9 사이즈의 단조휠 무게가 35파운드로 약 17kg 정도가 됩니다. 무거운만큼 휠 개당 2200lbs 정도의 최대하중을 받을 수 있어 무거운 차체도 충분히 견뎌냅니다. 굳이어 이글 F1 수퍼카 타이어는 사이드월이 엄청나게 단단해 중미산 와인딩 후에도 사이드월이 전혀 먹지 않았더군요. 참고하시길.
2008.09.16 14:10:34 (*.229.119.240)

아..동희님 상세설명 기다렸습니다.
보어업 헤미란건 알고있었는데, 확실치 않아 설명이 불가했는데, 그랬군욤. ㅋ MDS 가 삭제되어있는데.. 중알피엠까진 토크가 꽤 절제되어있는 느낌이더라고요..? 스로틀 오픈을 혹시 제어하는건지.. 닷지차저도 들여옴 좋은데.. 300C도 개인적으론 차저 못지않다는 생각이긴 합니다.
보어업 헤미란건 알고있었는데, 확실치 않아 설명이 불가했는데, 그랬군욤. ㅋ MDS 가 삭제되어있는데.. 중알피엠까진 토크가 꽤 절제되어있는 느낌이더라고요..? 스로틀 오픈을 혹시 제어하는건지.. 닷지차저도 들여옴 좋은데.. 300C도 개인적으론 차저 못지않다는 생각이긴 합니다.
2008.09.16 15:43:36 (*.219.0.69)

전자식 드로틀 컨트롤이라 아마 TCS 제어가 들어갔었을 겁니다. ESP도 Full-On, Partial-Off, Full-Off의 세 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ESP 파셜 오프한 스포츠 모드에서도 엔진 제어가 꺼져서 휠스핀 작렬입니다. 풀 오프를 몇번 해 봤습니다만 도대체 어디까지 슬라이드를 허용하는지 끝을 보지 못했다는... ㅡㅡ;
2008.09.16 15:50:04 (*.219.0.69)

그리고 5.7 HEMI는 최고출력 및 최대토크가 340/5000rpm, 53.6/4000rpm이었지만, SRT는 431/6000, 58.1/4600rpm으로 전체적으로 고회전으로 토크 밴드가 옮겨 갔습니다. 60이나 70을 넘는 토크는 아니지만, 중고회전에서의 펀치력은 꽤나 인상적이지요. 사실 우리차같지 않습니다만, 1950년대 아메리칸 머슬의 처음을 열었던 메이커가 크라이슬러니까 그 전통이 새로 이어진다고 봐야겠지요. ^^
2008.09.16 15:58:57 (*.219.0.69)

참고로 1955년 듀얼 4배럴 331cid HEMI 엔진을 얹은 크라이슬러 모델이 300마력을 최초로 달성한 양산차가 되면서 이름을 300이라고 붙이게 됩니다. 300A 모델이죠. 그리고 그 차가 데뷔한 해 데이토나 비치 레이스에서 우승하면서 사실상의 전설이 시작된 배경도 있습니다.
2008.09.16 18:26:45 (*.229.119.240)

아항~그렇군요. 300C 이름의 내력..언젠가 읽은기억이 나는데, 데이토나 레이스와 연관이..ㅋ 중알피엠 이하 영역에선 노말한 드라이버도 위화감없이 소프트한 주행을 할 수 있겠더군요. esp on 시에는, 스타트와 중속까지 발진이 위화감없어, 의외로 다양한 오너에게 어필이 가능할 듯 합니다.
2008.09.21 22:41:29 (*.34.180.4)

관심이 많은 차종이었는데... 상세한 시승기 및 이동희님의 부연설명 감사합니다. ^^; 미국 사이트를 뒤져도... 그닥 상세한 시승기가 없어서... (맘에 드는 것이 없다는 게 맞는 표현이겠지만) 요즘은 어떻게 된 것이 고효율 compact차보다는... V8이 탑재된 미국 머슬카들에 관심이 가서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