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금호에서 MX의 후속으로 개발된 XS의 테스트를 의뢰 받아 A6 3.0q에 장착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용인 트랙에서 전시된 타이어를 보고 디자인이 정말 맘에 들었었는데, 트레드 디자인만 놓고 보면 충분히 전투적이면서 잘생긴 패턴이라고 생각합니다.



Falken RT615 을 벤치마크했다고 하는데, 트레드 디자인은 브릿지스톤보다 좋다고 생각하고, 트레드 깊이는 세미슬릭의 성격을 갖는 특성상 그리 깊지 않습니다.


방향성은 따로없고 inside, outside가 구분되어 있는 타입이기 때문에 일단 장착해 놓으면 로테이션할 때 좌우로도 교환이 가능합니다.










위의 사진을 통해 트레드를 자세히 보시면 트레드 날 부분을 살짝 깍아놓은 것이 보이실 겁니다.
이부분은 과격한 주행후 트레드의 날이 서는 정도를 줄여 소음을 줄이기 위한 의도가 엿보입니다.

사이드월의 디자인은 트레드의 디자인보다는 낮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MX와의 연관성을 주기 위한 터치로 보이는데, 개인적으로 충분히 독자적인 매끈한 디자인이 가능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작업은 Garage9(이전에 VAG)에서 진행했으며, 공기압은 34로 맞췄습니다.








일단 A6 3.0q에 그동안 장착했던 타이어 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미쉐린 Primacy
2. 미쉐린 Pilot Sports
3. 토요 T1-S
4. 피렐리 P-Zero Assimetrico
5. 굿이어 Eagle GS-D3
6. 브릿지스톤 RE050A
1,2번까지는 순정 사이즈인 235/45.17
3~6번까지는 18인치로 인치업하면서 235/40.18입니다.
일단 RE050A는 A6의 성격상 최적의 사양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립적으로는 최상은 아니지만 조용하고 부드러웠던데다가 빗길에서도 아주 훌륭했던 명품타이어였습니다.
여기에서 XS로 바꾼 것은 어떻게 보면 극단적인 변화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큰 변신입니다.
장착은 어제 저녁때 했고, 용인 주변의 와인딩과 고속도로, 시가지 주행을 한 느낌을 소개합니다.
일단 타이어의 폭이 평균보다 약간 넓은 편이라 브릿지스톤과 비교하면 약간 뚱뚱해보입니다.
무게는 보통 수준이며, MX보다는 가볍다고 생각합니다.
장착할 때의 난이도는 요꼬하마 네오바 이상이며 사이드월이 정말 단단합니다.
장착한 직후의 느낌은 생각만큼 딱딱하지만 P-Zero Assimetrico보다는 나은 수준으로 이미 오래된 기술로 만들어진 구형 P-Zero와 최신 기술로 만들어진 타이어를 비교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 합니다.
타이어가 구를 때 확실히 그 존재감을 드러낼 정도의 소음을 발생합니다만 A6의 하체 방음이 워낙 좋아 거슬릴 정도는 아닙니다. 다만 하체 소음을 잘 걸러주지 못하는 차의 경우 그 정도가 훨씬 크게 들릴 수는 있습니다.
이 타이어의 존재 목적은 순수 스포츠이니만큼 장착하자마자 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제법 심하게 와인딩을 돌려봤습니다.
그립의 수준을 보자면 제가 사용했던 P-Zero나 파일럿 스포츠보다 우수한 성능에 네오바나 RE01R과는 비슷한 수준으로 보였습니다.
타이어의 그립 특성은 네오바보다는 RE01R에 가깝게 느껴졌는데, 어지간히 강하게 돌려도 전혀 소음을 내지 않다가 막판에 살짝 울어주는 예고를 전해주는 스타일입니다.
스티어링을 꺽는 초기에 반응을 통해 사이드가 얼마나 유연한지 아니면 잘 버티는지를 판단해보면 초기 반응에 엄청나게 즉각 반응할 정도로 타이어가 가진 강성이 대단합니다.
사실 그립만 강한 타이어보다는 코너를 돌 때 예측가능한 특성과 좀 고급스러운 특성을 갖춰야하는 것이 요즘 고객들의 요구인만큼 금호도 제법 세련된 고성능 타이어를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전체적인 만족도는 아직 사용을 얼마 안해서 모두를 말할 수 없지만 그립적인 측면 즉 성능과 관련된 것은 최상위 클래스 그립을 발휘한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MX가 트레드가 절반정도 남았을 때부터 시끄럽고 그립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었는데, 이부분이 많이 보완되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좀 더 정밀한 테스트를 해봐야하겠지만 첫인상으로 보면 외산 UHP급 타이어보다 소음과 승차감은 떨어지지만 그립은 더 좋았습니다.
어차피 겨냥한 타겟이 네오바와 RE01R이니 이들과 비교하면 네오바보다는 아주 약간 더 시끄러운 수준, RE01R보다는 소음의 격차가 미세하게 조금 더 컸습니다.
국산 타이어가 세대별로 큰 격차를 두고 발전하는 모습을 직접 경험하는 것은 아주 즐거운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전에는 국산과 외산사이에 절대 섞일 수 없는 벽이 존재했다면 이제는 이런 벽이 많이 허물어졌다고 생각합니다.
완성도 높은 타이어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기회주신 금호타이어측에 이자리를 빌어 감사드립니다.
-testkwon-

- IMG_4475.jpg (74.3KB)(12)
- IMG_4476.jpg (107.6KB)(5)
- IMG_4477.jpg (131.9KB)(5)
- IMG_4479.jpg (90.8KB)(5)
- IMG_4480.jpg (68.6KB)(5)
- IMG_4481.jpg (64.7KB)(5)
- IMG_4710.jpg (106.3KB)(5)
- IMG_4711.jpg (115.7KB)(5)
- IMG_4713.jpg (90.1KB)(6)
- IMG_4714.jpg (84.0KB)(5)
- IMG_4718.jpg (109.7KB)(6)
- IMG_4719.jpg (88.3KB)(6)
- IMG_4721.jpg (54.9KB)(6)
- IMG_4722.jpg (92.7KB)(5)
- IMG_4723.jpg (99.9KB)(5)
- IMG_4724.jpg (91.8KB)(5)
- IMG_4725.jpg (102.7KB)(5)
- IMG_4726.jpg (125.4KB)(5)
- IMG_4727.jpg (134.7KB)(5)
- IMG_4729.jpg (46.1KB)(5)
- IMG_4730.jpg (90.4KB)(6)
- IMG_4731.jpg (92.1KB)(5)
- IMG_4734.jpg (98.9KB)(6)
- IMG_4735.jpg (82.4KB)(5)
- IMG_4743.jpg (51.5KB)(5)
- IMG_4746.jpg (98.1KB)(5)
- IMG_4748.jpg (57.1KB)(5)
- IMG_4749.jpg (54.1KB)(5)
2008.11.04 11:42:21 (*.137.131.158)

금호에 있는 형님을 통해 마스터님이 테스트중이란 말씀을 들어 리뷰가 언제 올라오나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저는 내년 봄에 써보려고 창고에 보관중입니다. 빨리 봄이 왔으면 좋겠어요^^ㅋㅋ
저는 내년 봄에 써보려고 창고에 보관중입니다. 빨리 봄이 왔으면 좋겠어요^^ㅋㅋ
2008.11.04 15:25:30 (*.34.247.218)

네오바와 제로원과 하이그립시장에서 경쟁상대이겠지만 트레드모양은 팔켄 아제니스 RT615것을 벤칭마킹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트레드의 형상이 거의 같죠. 메이커측에서 제로원을 벤치마킹했다고 했다면 조금 의문이네요..^^;
드라이,웻그립에 있어서는 그들(??)과 거의 같은 수준이라 생각합니다.
드라이,웻그립에 있어서는 그들(??)과 거의 같은 수준이라 생각합니다.

2008.11.04 15:30:20 (*.82.93.78)

세번째 사진 타고오셨던 파사트옆에 제차도 찬조출연을 시켜 주셨군요..
처음으로 뵙는거라 당황스럽고 뭐라고 아는척 하기가 그랬구요..
심각히 말씀 나누시는터에 업무에 방해가 될까해서 먼발치에서 지켜보기만 했습니다..
옆에 세워져있었던 검정라세티해치가 제차입니다^^
테드스티커가 뒷유리상단 스포일러밑에 붙어있어서 눈에 잘띄지않는 장점(?)이 있네요
타이어프로 이태원은 자주가느곳이라서 가끔 테드스티커 붙힌차를 보게되는데
선뜻 인사나누기가 어렵기도 합니다 ㅎㅎ
타이어 수령해가신후 후기를 기다려보았는데 오늘 보게되었네요
관심은있지만 지금 제타이어가 마모지수가 600이나 되는 LX라서
중간에 처분하기전에는 XS로 넘어갈길이 멀게만 느껴지는군요..
여하튼 먼발치에서나마 마스터님을 처음 뵙게되어서 반가웠습니다....
다음엔 직접인사 나눌수있는 기회가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처음으로 뵙는거라 당황스럽고 뭐라고 아는척 하기가 그랬구요..
심각히 말씀 나누시는터에 업무에 방해가 될까해서 먼발치에서 지켜보기만 했습니다..
옆에 세워져있었던 검정라세티해치가 제차입니다^^
테드스티커가 뒷유리상단 스포일러밑에 붙어있어서 눈에 잘띄지않는 장점(?)이 있네요
타이어프로 이태원은 자주가느곳이라서 가끔 테드스티커 붙힌차를 보게되는데
선뜻 인사나누기가 어렵기도 합니다 ㅎㅎ
타이어 수령해가신후 후기를 기다려보았는데 오늘 보게되었네요
관심은있지만 지금 제타이어가 마모지수가 600이나 되는 LX라서
중간에 처분하기전에는 XS로 넘어갈길이 멀게만 느껴지는군요..
여하튼 먼발치에서나마 마스터님을 처음 뵙게되어서 반가웠습니다....
다음엔 직접인사 나눌수있는 기회가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2008.11.04 15:51:22 (*.251.5.2)

웬 A6가 리프트에 올라가서 力 타이어를 장착 작업중이길래 뉘신가 했습니다.
力자 만큼이나 타이어가 강력해보이는 것이, 참으로 기대됩니다. :)
力자 만큼이나 타이어가 강력해보이는 것이, 참으로 기대됩니다. :)
2008.11.04 16:05:58 (*.106.65.125)

최오성님 라세티 오너셨군요?
그때 인사를 나누었으면 좋았을텐데, 아쉽습니다. 그때 이태원 타이어프로에서 타이어를 전달해주신 분께서 경험이 풍부하신 분이셔서 잠깐이었지만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뭐든 자신의 일에 열정을 가지신 분들은 뭔가 달라도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그때 인사를 나누었으면 좋았을텐데, 아쉽습니다. 그때 이태원 타이어프로에서 타이어를 전달해주신 분께서 경험이 풍부하신 분이셔서 잠깐이었지만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뭐든 자신의 일에 열정을 가지신 분들은 뭔가 달라도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2008.11.04 17:17:45 (*.146.253.142)

XS후기가 이제서야 올라왔군요^^
그날 타이어 전달하면서 많은 얘기를 하고 싶었지만..바쁘신거 같아서. 오래 얘기를 못나눴습니다..
사실 마스터님인줄 몰라 뵜네요..ㅡㅡ
죄송하구요.. 저도 아직은 XS를 타보지 못해서 후기를 많이 기다렸습니다.
mx같은 경우 빗길에 취약성을 보이는데, 이번에 Xs는 그걸 보완했다고 하더군요..
빗길 후기도 써주시면 참감사하겠습니다.
앞으로 많은 후기를 기다리겠습니다^^
그날 타이어 전달하면서 많은 얘기를 하고 싶었지만..바쁘신거 같아서. 오래 얘기를 못나눴습니다..
사실 마스터님인줄 몰라 뵜네요..ㅡㅡ
죄송하구요.. 저도 아직은 XS를 타보지 못해서 후기를 많이 기다렸습니다.
mx같은 경우 빗길에 취약성을 보이는데, 이번에 Xs는 그걸 보완했다고 하더군요..
빗길 후기도 써주시면 참감사하겠습니다.
앞으로 많은 후기를 기다리겠습니다^^
2008.11.04 18:55:46 (*.34.101.144)
실제 레이스나 여타 동호회들의 후기를 보면 ' Dry 그립은 네오바를 뛰어넘는다. 다만 내구성에선 네오바보다 약하다는 느낌이다'라는 내용이 주를 이루더군요.
정말 사용해보고싶은 타이어인데, 안타깝게 작은 사이즈는 생산이 전혀 안된다고하니 참......
(심지어 15 인치 MX도 생산중지더군요-_-)
정말 사용해보고싶은 타이어인데, 안타깝게 작은 사이즈는 생산이 전혀 안된다고하니 참......
(심지어 15 인치 MX도 생산중지더군요-_-)
2008.11.04 19:16:07 (*.192.99.178)


한타에선 R-S3가 발표되었더군요. SEMA쇼에 데뷔할 것이라고 하고, 트레드가 아주 단순한데 거기다가 불꽃마크가 쭈름히 박혀있습니다 ^^ XS와 좋은 경쟁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도 이번에 앞바퀴만 그립 좋은 녀석으로 바꿔볼까 하는 아무 이유없는 생각을 했었네요. ㅎㅎㅎㅎㅎㅎㅎㅎ SPT와 XS 사이를 메꾸는 타이어를 기대해 봅니다.
2008.11.04 19:44:24 (*.132.60.48)

205/50/15가 소비자가 20만원을 상회하더군요...나름 오래는 쓰던데...(타임트라이얼 나가시는 분이 끼우시고 계신데)데일리카로 타시면서 타임전 3회 출전 했는데도 30% 남아있더라구요...
가격과 재고가 별로 없어서 좀 외면 받는 타이어중에 하나이긴 합니다만
기회가 되면 저도 끼워보고 싶은 타이어입니다..
가격과 재고가 별로 없어서 좀 외면 받는 타이어중에 하나이긴 합니다만
기회가 되면 저도 끼워보고 싶은 타이어입니다..
2008.11.05 00:10:34 (*.212.28.41)

저도 꼭 한번 끼워보고 싶은데 후륜 사이즈가 딱 없네요.. 245/45/16이 필요한데 265/45/16 이 나오더라구요;; 그래도 내년 봄이 되면 함 써볼까.. 고민중입니다. ㅎㅎ
2008.11.05 13:13:36 (*.141.26.122)
참고 말씀드립니다.
XS는 총 출시규격 25규격입니다. 내수 선출시하였을때 내수 주요 많이 사용되는 8규격으로 선정하여 리플렛
제작 배포하였습니다. 그렇다고 그외 규격을 내수 사용불가는 아니구요..참고하여 주셨으면 하구요..
그리고, 195/50R15, 205/45R16은 내년 초 출시 예정입니다. 기다리시는 분들이 많은 것으로 아는데, 조금 더
기다려 주시면 좋은 제품으로 보답토록 하겠습니다.
XS는 총 출시규격 25규격입니다. 내수 선출시하였을때 내수 주요 많이 사용되는 8규격으로 선정하여 리플렛
제작 배포하였습니다. 그렇다고 그외 규격을 내수 사용불가는 아니구요..참고하여 주셨으면 하구요..
그리고, 195/50R15, 205/45R16은 내년 초 출시 예정입니다. 기다리시는 분들이 많은 것으로 아는데, 조금 더
기다려 주시면 좋은 제품으로 보답토록 하겠습니다.
2008.11.05 19:38:02 (*.73.0.62)

타이어를 이번에 교체할때 XS가 나오지 않아서 LX로 갔는데, 참 아쉽네요^^;;
어차피 저야 XS를 쓸만한 타입의 차도 아닌지라... 한번 경험상 해보고 싶었는데...^^
처음 만들때 부터 미약하게나마 참여(??) 했었는데, 참 정감가는 타이어 입니다...
초기 선정부터 신중을 기한 타이어 이기에...(여러가지 비슷한 모습 중 가장 성능 좋은걸 선택할때 꽤 신중하게 오랜 시간 비교 테스트 했던 기억이 납니다...)
제가 컴퓨터 시뮬레이션 관련쪽 일 중 아주 조그만 부분을 하고 있기에...^^;;
만약 스포츠형 차량을 구입하게 된다면 구매 대상 0순위겠네요...
어서 어서 좋은 결과와 다양한 사이즈를 풀어서 많은 분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게 하면 좋겠습니다^^
어차피 저야 XS를 쓸만한 타입의 차도 아닌지라... 한번 경험상 해보고 싶었는데...^^
처음 만들때 부터 미약하게나마 참여(??) 했었는데, 참 정감가는 타이어 입니다...
초기 선정부터 신중을 기한 타이어 이기에...(여러가지 비슷한 모습 중 가장 성능 좋은걸 선택할때 꽤 신중하게 오랜 시간 비교 테스트 했던 기억이 납니다...)
제가 컴퓨터 시뮬레이션 관련쪽 일 중 아주 조그만 부분을 하고 있기에...^^;;
만약 스포츠형 차량을 구입하게 된다면 구매 대상 0순위겠네요...
어서 어서 좋은 결과와 다양한 사이즈를 풀어서 많은 분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게 하면 좋겠습니다^^
2008.11.05 23:52:48 (*.39.2.78)

이전에 써보셨던 도요 T1-R 타이어는 어떤 성격인지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UHP라서 관심이 가는데 저렴한 가격만큼 성능도 저렴하다면 다시 생각해봐야겠지만, 접지력은 어느 정도 수준인지요?
2008.11.06 00:26:56 (*.187.232.89)

T1S를 R로 잘못 표기했네요. T1R은 현재 RS2에 장착되어 있고 1년 정도 사용했습니다만 개인적으로 굉장히 만족하고 있습니다. 225/45.17을 현재 사용중인데 순정휠에 245/40.17을 던롭 스포츠 맥스를 사용할 때보다 오히려 만족합니다.
미쉐린 PS2보다는 살짝 못하지만 컨티넨탈 스포츠 컨텍2보다는 접지력에서 비슷하거나 약간 우월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한국에서 제법 저렴하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도 무시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쉬운 점은 트레드 디자인이 별로라는 점과 빗길 성능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점등입니다.
미쉐린 PS2보다는 살짝 못하지만 컨티넨탈 스포츠 컨텍2보다는 접지력에서 비슷하거나 약간 우월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한국에서 제법 저렴하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도 무시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쉬운 점은 트레드 디자인이 별로라는 점과 빗길 성능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점등입니다.
power를 상징한다고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