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미아타를 구입 한지도 이제 3-4달 되어갑니다. 그러나 거의 주말에만, 그 것도 맑은 날에만 타다보니 주행거리는 겨우 2천킬로 정도 탄 것 같습니다.
그동안 팔공산으로만 다니다 보니 고속도로 주행할 일이 없었는데 난데없이 미아타의 고속주행능력이 궁금해져서 친한 형님 한분을 태우고 대구-북영천 간을 달렸습니다.
와인딩 능력은 정말 년식과 가격이 믿기지 않을만큼 뛰어나고 특히 코너에서 감아도는 손맛, 그 감성적인 부분은 박스터를 뺨 칠 정도라 더 바랄 나위가 없을 정도입니다. 물론 자체 강성이 낮아서 약간씩 뒤틀리는 느낌은 있습니만,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박스터도 그 점은 마찬가지더군요.
그런데 차량의 성격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고속주행 테스트를 해보고 싶었습니다.
X00-X50 구간의 가속도는 대략 2000씨씨 중형차와 비슷한 정도이고 그 영역에서 고속안정성도 국산 중형차와 비슷합니다. 한 마디로 달릴만은 한데, 약간 불안한 정도...
그 이상의 영역에서는 상당한 불안감이 엄습해오고 간이 작은 저는 X60 이상 밟기가 겁이 나서 저절로 악셀에서 발을 떼게 되더군요. 이 점 또한 국산 중형차들과 비슷합니다.
그러나 동승했던 형님이 키를 받아 운전하시니 쉽게 X80을 넘나들며 고속안정성이 쥑인다면서 좋아하시더군요. 고속에서의 가속력도 꽤나 마음에 드신다고, 밟으면 Y00까지도 쉽게 갈 것 같다는 평과 함께...^^ 평소에 고속안정성이 꽝이라 할수 있는 스타렉스를 운전하시다보니 역시 고속에서의 간튜닝이 제대로 되어 계신듯했습니다.
그리고 옆 자리에 않으니, 100-110 내외로 정속 주행해도 풍절음, 엔진음, 배기음이 뒤섞여 소리가 어찌나 큰지 도저히 휴대폰으로 상대방의 말을 알아들을 수가 없을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신기하게도 운전석에 앉으면 소음이 그만큼 큰 것을 못느끼겠더군요. 다만 바로 옆자리의 동승자와 이야기하는데도 목소리가 상당히 커진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차량의 특성과는 어울리지 않은 변태적인? 고속주행 테스트는 저는 '부적합', 아는 형님은 '소음만 빼면 상당히 적합'으로 각자의 결론을 내린채 끝냈고, 아마도 저로서는 다시 미아타를 고속도로로 타고 나갈일은 별로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현재 타이어가 185/65-14의 사계절용이라 이 것을 15인치의 네오바 따위로 업그레이드 해준다면 고속주행도 좀 나아질 수도 있겠습니다. 65시리즈의 타이어는 오히려 와인딩에서는 견딜만 한데 고속주행에서 더 휘청거리더군요. 물론 저만의 느낌일 수도 있습니다만...
그동안 팔공산으로만 다니다 보니 고속도로 주행할 일이 없었는데 난데없이 미아타의 고속주행능력이 궁금해져서 친한 형님 한분을 태우고 대구-북영천 간을 달렸습니다.
와인딩 능력은 정말 년식과 가격이 믿기지 않을만큼 뛰어나고 특히 코너에서 감아도는 손맛, 그 감성적인 부분은 박스터를 뺨 칠 정도라 더 바랄 나위가 없을 정도입니다. 물론 자체 강성이 낮아서 약간씩 뒤틀리는 느낌은 있습니만,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박스터도 그 점은 마찬가지더군요.
그런데 차량의 성격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고속주행 테스트를 해보고 싶었습니다.
X00-X50 구간의 가속도는 대략 2000씨씨 중형차와 비슷한 정도이고 그 영역에서 고속안정성도 국산 중형차와 비슷합니다. 한 마디로 달릴만은 한데, 약간 불안한 정도...
그 이상의 영역에서는 상당한 불안감이 엄습해오고 간이 작은 저는 X60 이상 밟기가 겁이 나서 저절로 악셀에서 발을 떼게 되더군요. 이 점 또한 국산 중형차들과 비슷합니다.
그러나 동승했던 형님이 키를 받아 운전하시니 쉽게 X80을 넘나들며 고속안정성이 쥑인다면서 좋아하시더군요. 고속에서의 가속력도 꽤나 마음에 드신다고, 밟으면 Y00까지도 쉽게 갈 것 같다는 평과 함께...^^ 평소에 고속안정성이 꽝이라 할수 있는 스타렉스를 운전하시다보니 역시 고속에서의 간튜닝이 제대로 되어 계신듯했습니다.
그리고 옆 자리에 않으니, 100-110 내외로 정속 주행해도 풍절음, 엔진음, 배기음이 뒤섞여 소리가 어찌나 큰지 도저히 휴대폰으로 상대방의 말을 알아들을 수가 없을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신기하게도 운전석에 앉으면 소음이 그만큼 큰 것을 못느끼겠더군요. 다만 바로 옆자리의 동승자와 이야기하는데도 목소리가 상당히 커진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차량의 특성과는 어울리지 않은 변태적인? 고속주행 테스트는 저는 '부적합', 아는 형님은 '소음만 빼면 상당히 적합'으로 각자의 결론을 내린채 끝냈고, 아마도 저로서는 다시 미아타를 고속도로로 타고 나갈일은 별로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현재 타이어가 185/65-14의 사계절용이라 이 것을 15인치의 네오바 따위로 업그레이드 해준다면 고속주행도 좀 나아질 수도 있겠습니다. 65시리즈의 타이어는 오히려 와인딩에서는 견딜만 한데 고속주행에서 더 휘청거리더군요. 물론 저만의 느낌일 수도 있습니다만...

2008.09.29 22:27:11 (*.184.220.141)

전에 타던 로드스터가 구입 당시 부터 195/50-15 였는데 리미트 걸릴때 까지(일본 내수라서 180에 리미트 걸립니다.) 잘 나가더군요. 리미트 풀렸다면 Y00도 가겠더군요.
하드 탑 올렸을때는 150 부근에서 차내의 바람이 빠지는 소리가 들렸고, 소프트 탑(DIY로 비닐에서 유리로 바꿨습니다.) 일때는 130부터 뒷 유리가 떨려서 못밟겠더군요.
하드 탑 올렸을때는 150 부근에서 차내의 바람이 빠지는 소리가 들렸고, 소프트 탑(DIY로 비닐에서 유리로 바꿨습니다.) 일때는 130부터 뒷 유리가 떨려서 못밟겠더군요.
2008.09.29 22:30:05 (*.237.106.130)

전 흡배기 서스에 차체 강성을 좀 올리고(몇가지 파츠 용접및 부착) 220정도까지 가봤습니다만 제 느낌도 고속주행은 절대 아닌것 같습니다 가벼운 차가 더 가볍게 느껴져서 마치 이륙할것 같아요 덜덜
2008.09.30 09:55:35 (*.87.60.109)

오픈카는 고속용은 아닌것 같습니다. 스포츠 드라이빙은 지붕이 있어야...
그러나 한가지 좋은점은 오픈일때 엔진 소리가 더 멋집니다.
그러나 한가지 좋은점은 오픈일때 엔진 소리가 더 멋집니다.
2008.09.30 13:05:16 (*.94.1.37)
스타렉스... 고속에서 그리 불안정 하지 않습니다..(운전석기준)^^ 구형 스타렉스는 165Km.... CRDi가 올라가면서부터 180Km이상 넘나드는 최고속을 가지고 있는데... 실제로 서울-부산을 풀악셀로 내려가면서... 꽤 편하고 안정적이던데요.^^ 대신 맨뒷자리는 욕나옵니다... 버스 맨뒷자리처럼... 이녀석도 맨뒷자리는 엄청 울렁거리더군요..
2008.09.30 14:26:16 (*.200.171.200)

스타렉스 고속안정성은 좋은편입니다.... 아무래도 타이어 공기압을 35정도 유지하시면 잔진동 흡수 및 핸들무게도 적당히 유지합니다... 빗길에서도 수막현상에 나름대로 강한모습이지요.... 다만 차고가 높으니 그에 맞게 운전법이 있으니.... 세단에 익숙하면 처음에 좀 어려운것 같습니다.... 지금은 구형아반테로 빗길운전 의외로 불안해서 잘 안되는군요...
그리고 후륜쪽은 코일스프링방식은 괜찮은편인데.... 리프스프링타입은.... 역시 좀 짐을 실어야 제대로 운동을 합니다.... 공차나 저중량시에는 튀는건 아무래도.... 스프링을 하나 줄인다고 해도 고유의 단단한 특성은 그대로 있지요.... 역시 좀 중량짐을 실어야 부드럽게 작동이 됩니다...
그리고 후륜쪽은 코일스프링방식은 괜찮은편인데.... 리프스프링타입은.... 역시 좀 짐을 실어야 제대로 운동을 합니다.... 공차나 저중량시에는 튀는건 아무래도.... 스프링을 하나 줄인다고 해도 고유의 단단한 특성은 그대로 있지요.... 역시 좀 중량짐을 실어야 부드럽게 작동이 됩니다...
2008.09.30 18:22:17 (*.130.111.50)

제 친구는 준 하드 튜닝된(15인치에, 일체형 서스에, 각종 하체 셋팅에, 조립식 롤케이지까지) 유노로 상시 Y00오버를 달리던 친구였기에 -_-; 그 좁은 동승좌석에서 아주 살떨리는 경험을 많이 했더랬습니다. 정말 이륙할 것 같은 그 기분... ㅋㅋㅋ 아마 GT윙이나 프론트 언더디퓨저 혹은 카나드 같은걸 잘 달아놓으면 훨씬 안정감 있게 Y00 오버를 할 수 있지 않을까요? ^^
2008.10.01 00:23:36 (*.39.2.94)

제가 높은 차량에 익숙하지 않아서 스타렉스같은 차량의 고속주행이 더 불안한가 봅니다. 원래 고소공포증이 좀 있는데, 스타렉스 조수석에서 아래를 내려다 보면 과장 좀 보태서 어지럽습니다.
심지어 남들은 SUV의 탈을 쓴 스포츠카라고 하는 카이엔 터보보차도 높은 시트 포지션과 롤링때문에 Y00 넘기기가 매우 두렵고 고속에서 옆 차선으로 차선변경시 롤링때문에 손에 땀이 날 정도더군요. 처음 운전 시작한 차량이 구형 갤로퍼였는데 어찌된 일인지 지금은 롤링이 심하거나 높은 차량은 운전할 엄두가 안납니다.
물론 적응하기 나름이긴 하겠지만 말입니다.
심지어 남들은 SUV의 탈을 쓴 스포츠카라고 하는 카이엔 터보보차도 높은 시트 포지션과 롤링때문에 Y00 넘기기가 매우 두렵고 고속에서 옆 차선으로 차선변경시 롤링때문에 손에 땀이 날 정도더군요. 처음 운전 시작한 차량이 구형 갤로퍼였는데 어찌된 일인지 지금은 롤링이 심하거나 높은 차량은 운전할 엄두가 안납니다.
물론 적응하기 나름이긴 하겠지만 말입니다.
2008.10.02 00:05:19 (*.123.208.113)

미국에 있을때 직선 고속도로에서 200까지 코발트와 칼질 배틀뜨는 옆자리에 동승했었는데 탑 내리고 잠깐이긴 했지만 S2000 고속 안정성 떨어진다는 생각은 안들던데요. 미야타에 비한다면 말입니다.^^
2008.10.22 06:19:57 (*.243.246.172)

저도 예전에 고속도로에서 서울-제천구간을 미아타를 몰아본적이 있는데 정말 말그대로 날아갈것만같은 ..중속까지의 코너링의 느낌은 상당히 재미있고 경쾌하지만 고속도로에서의 주행안정감은 더도말고 덜도말고 몇년전 까지의 국산 순정 준중형차 정도 인듯 합니다. 코너링 감각은 앞쪽은 왠지 상당히 길게 느껴지고 뒤쪽은 가끔가다 마주치는 꼬리없는 고양이의 엉덩이처럼 상당히 날렵(?) 하게 돌아나가더군요.
딱 두번 동승 해봤는데(하나는 슬릭, 롤케이지와 터보까지 하드하게 튠 된 차량) 차의 특성 탓에 같은코스 같은 속도에서 훨씬 빠르게 느껴져서 무척 즐겁고 사람 흥분시키는 차량이었습니다. 말그데로 달리는 재미가 남다르달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