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현대에서 2009년 F/L 산타페에 신형 2.0 디젤엔진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이게 아주 물건이라고 하네요.
베라크루즈와 HM(모하비)에 들어가는 S30엔진(3.0V6디젤) 역시 동배기량의 VW TDI엔진을 능가하는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기술력을 과시하였는데, 신형 산타페에 올라가는 엔진 역시 놀라운 성능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S엔진의 하위 시리즈인 S20(직렬4기통), S25엔진(직렬5기통)이 현재 계획되어있는데, S30엔진과 마찬가지로 피에조 인젝터를 적용하여 2.0의 경우 180마력 2.5는 210마력을 넘기는 출력을 낸다고 합니다. 골프 GT TDI에 적용되는 TDI 2.0엔진이 170마력이니 이를 능가하는 성능이네요.
신형엔진이니 내구성이나 진동,소음 같은것은 검증이 필요하겠지만, 단기간에 이렇게 파워풀한 디젤엔진 라인업을 출시하는 걸 보니 현대의 R&D능력이 상당수준에 올라섰다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이 엔진이 승용차에도 적용되면 디젤 승용차의 대중화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참고로, F/L 싼타페의 경우 미션도 현대에서 자체개발한 6AT가 올라간다고 합니다.
베라크루즈와 HM(모하비)에 들어가는 S30엔진(3.0V6디젤) 역시 동배기량의 VW TDI엔진을 능가하는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기술력을 과시하였는데, 신형 산타페에 올라가는 엔진 역시 놀라운 성능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S엔진의 하위 시리즈인 S20(직렬4기통), S25엔진(직렬5기통)이 현재 계획되어있는데, S30엔진과 마찬가지로 피에조 인젝터를 적용하여 2.0의 경우 180마력 2.5는 210마력을 넘기는 출력을 낸다고 합니다. 골프 GT TDI에 적용되는 TDI 2.0엔진이 170마력이니 이를 능가하는 성능이네요.
신형엔진이니 내구성이나 진동,소음 같은것은 검증이 필요하겠지만, 단기간에 이렇게 파워풀한 디젤엔진 라인업을 출시하는 걸 보니 현대의 R&D능력이 상당수준에 올라섰다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이 엔진이 승용차에도 적용되면 디젤 승용차의 대중화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참고로, F/L 싼타페의 경우 미션도 현대에서 자체개발한 6AT가 올라간다고 합니다.
2007.11.09 15:48:29 (*.230.253.111)

변속기 R&D에 독자생존쪽으로 투자가 집중되기 시작하고 시간이 좀 흘렀으니 몇년안에 변속기쪽도 아마 괄목한만한 성과가 나오리라 봅니다.
2007.11.09 17:35:14 (*.58.158.127)

현대에서 모 연구원이 다른 기어보다 약 3~10배에 가까운 경도(? 정확치 않음)을 가지게 하는 처리(후처리?) 과정을 개발해서 얼마전에 잔칫집 분위기 였다고 합니다. 덕분에 ZF와의 MOU도 파기하고 독자개발 노선으로 간거라는 카더라 통신을 접한적 있습니다. ;)
2007.11.09 17:40:42 (*.51.75.148)

요즘들어 나오는 뉴스들을 접할때마다~ 현대는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예전에 현대 AS를 경험하면서 다시는 현대차 안산다고 하고선 지금은 삼성차를 타고 있는데, 이런 뉴스들이 나올때마다 다시금 마음이 흔들리네요...^^
예전에 현대 AS를 경험하면서 다시는 현대차 안산다고 하고선 지금은 삼성차를 타고 있는데, 이런 뉴스들이 나올때마다 다시금 마음이 흔들리네요...^^
2007.11.09 18:20:02 (*.111.97.201)

2010년 양산 계획으로 8 speed 준비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독자 6속은 2008년 양산 준비 중이고요...
그러나 이미 도요타는 굴러 다니고 있습니다...ㅡ.ㅜ
하지만 현대 화이팅! 그래도 엔진쪽 발전 속도는 예술이지 않습니까?
독자 6속은 2008년 양산 준비 중이고요...
그러나 이미 도요타는 굴러 다니고 있습니다...ㅡ.ㅜ
하지만 현대 화이팅! 그래도 엔진쪽 발전 속도는 예술이지 않습니까?
2007.11.09 19:43:30 (*.210.165.60)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저도 현대의 무한도전에 박수를 보냅니다. 예전에 자료중에서 cgi 블럭에 대한
심층있는 분석을 통해서 진일보 할거란 생각은 했는데
이토록 빠른 행보를 보일줄은 몰랐습니다. 왜 일본에서 그토록
현대를 경계하는지도 이해가 가는 부분입니다.
짧은 wrc 참가기간중 얻은 데이터를 또 짧은 기간동안 양산으로
매칭시켜서 생산하게 된 뒷배경에는 젊은피와 뜨거운 정열
그리고 노련함으로 이끌어준 여러 선배님들 이하 각 파트의 연구원들과
라인분들 모든 분들의 노력과 땀이 배인 소중한 자산임을 현대가
기억하기를 바랍니다.
물론 구조적으로 재벌체제에 못마땅한 부분도 있지만 실력있는
인재가 많이 포진한 현대를 보면서 결국 회사를 움직이는 힘의 원천이
느껴지네요 일례로 출세가 보장된 본사 직책을 반납하고
3년동안 어플라이 해서 시험팀으로 가는 경우를 보고 정말
그러한 사람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회사는 발전 한다고 생각했는데
아무튼..., 성중님 말씀대로 미션쪽에도 엄청난 투자가 진행되고
체질개선을 위한 노력들을 하고 있는듯 보였습니다.
조만간 미션에서도 승승장구하는 모습을 기대해 봅니다.
저 역시 많은 분들이 그러하듯 족벌체제나 노조는 싫지만
여러파트에서 노력 하시는 연구원들을 보면서 미래를 예상했고
마음속 응원을 아끼지 않았는데 해가 거듭될수록 변모하는
모습들을 보면서 응원을 않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분명한것은 오늘의 현대가 있기까지 불평없이 군소리 없이
비싸고 품질 떨어지던 과거의 자동차들을 아끼고 사랑해준
매니아와 고객들의 진심을 왜곡하지 않는 그래서 어느정도 위치에
올라가면 다시 사회에 환원하고 고객들의 위체에서 바라보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메이커로 또 한번 거듭 나기를 간절히 소망해봅니다.
저도 현대의 무한도전에 박수를 보냅니다. 예전에 자료중에서 cgi 블럭에 대한
심층있는 분석을 통해서 진일보 할거란 생각은 했는데
이토록 빠른 행보를 보일줄은 몰랐습니다. 왜 일본에서 그토록
현대를 경계하는지도 이해가 가는 부분입니다.
짧은 wrc 참가기간중 얻은 데이터를 또 짧은 기간동안 양산으로
매칭시켜서 생산하게 된 뒷배경에는 젊은피와 뜨거운 정열
그리고 노련함으로 이끌어준 여러 선배님들 이하 각 파트의 연구원들과
라인분들 모든 분들의 노력과 땀이 배인 소중한 자산임을 현대가
기억하기를 바랍니다.
물론 구조적으로 재벌체제에 못마땅한 부분도 있지만 실력있는
인재가 많이 포진한 현대를 보면서 결국 회사를 움직이는 힘의 원천이
느껴지네요 일례로 출세가 보장된 본사 직책을 반납하고
3년동안 어플라이 해서 시험팀으로 가는 경우를 보고 정말
그러한 사람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회사는 발전 한다고 생각했는데
아무튼..., 성중님 말씀대로 미션쪽에도 엄청난 투자가 진행되고
체질개선을 위한 노력들을 하고 있는듯 보였습니다.
조만간 미션에서도 승승장구하는 모습을 기대해 봅니다.
저 역시 많은 분들이 그러하듯 족벌체제나 노조는 싫지만
여러파트에서 노력 하시는 연구원들을 보면서 미래를 예상했고
마음속 응원을 아끼지 않았는데 해가 거듭될수록 변모하는
모습들을 보면서 응원을 않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분명한것은 오늘의 현대가 있기까지 불평없이 군소리 없이
비싸고 품질 떨어지던 과거의 자동차들을 아끼고 사랑해준
매니아와 고객들의 진심을 왜곡하지 않는 그래서 어느정도 위치에
올라가면 다시 사회에 환원하고 고객들의 위체에서 바라보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메이커로 또 한번 거듭 나기를 간절히 소망해봅니다.
2007.11.09 21:09:55 (*.148.159.138)

저도 현대/기아에 응원을 보내는 한 사람입니다...
자국 브랜드에 대한 애착일까요? ^^
아무튼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하는 세상인데, 비판도 하면서 보완도 하면서 점점 나아져야겠지요...
저도 후배가 있는 관계로 남양에 가본적이 있는데(일때문에...), 다들 참 열심히 한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 당시(작년 봄쯤?)에도 미션과 차체 연구팀쪽에서 가장 많은 예산을 쓰고 있다고 들었었습니다...
차대강성이 좋아진 이유가 있는 거였죠...
미션쪽도 분명 좋아질거라 생각을 했었구요...
요즘 나오는 신차들에서는 미션 트러블에 관련된 이슈가 많이 줄어든 것 같던데...
현대/기아에서 개발한 미션이 아닌것도 있겠지만, 반대인 경우도 많을텐데 말이죠...
원체 Automotive쪽이 단기간에 승부를 보기 어려운 분야이지만, 현대의 발전 속도도 절대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내외적으로 아직 개선해야할 부분이 분명히!!! 남아있지만, 뼈저린 고통을 겪던지 환골탈태를 하던지간에 개선될 날이 가까워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해외 유수의 업체들과 이제 본격적으로 Spec 경쟁을 시작할 고삐를 당겨주길 바라고요...
다음 신차 구매를 해도 지금 차처럼 10년 30만Km를 목표로 할텐데... ㅡ.ㅡ;;
좀 더 기다렸다가 차를 바꿔야하는건지... ㅡ.ㅡ;;;;;;;;;
암튼 머리아파질거 같네요... ^^;;
자국 브랜드에 대한 애착일까요? ^^
아무튼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하는 세상인데, 비판도 하면서 보완도 하면서 점점 나아져야겠지요...
저도 후배가 있는 관계로 남양에 가본적이 있는데(일때문에...), 다들 참 열심히 한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 당시(작년 봄쯤?)에도 미션과 차체 연구팀쪽에서 가장 많은 예산을 쓰고 있다고 들었었습니다...
차대강성이 좋아진 이유가 있는 거였죠...
미션쪽도 분명 좋아질거라 생각을 했었구요...
요즘 나오는 신차들에서는 미션 트러블에 관련된 이슈가 많이 줄어든 것 같던데...
현대/기아에서 개발한 미션이 아닌것도 있겠지만, 반대인 경우도 많을텐데 말이죠...
원체 Automotive쪽이 단기간에 승부를 보기 어려운 분야이지만, 현대의 발전 속도도 절대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내외적으로 아직 개선해야할 부분이 분명히!!! 남아있지만, 뼈저린 고통을 겪던지 환골탈태를 하던지간에 개선될 날이 가까워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해외 유수의 업체들과 이제 본격적으로 Spec 경쟁을 시작할 고삐를 당겨주길 바라고요...
다음 신차 구매를 해도 지금 차처럼 10년 30만Km를 목표로 할텐데... ㅡ.ㅡ;;
좀 더 기다렸다가 차를 바꿔야하는건지... ㅡ.ㅡ;;;;;;;;;
암튼 머리아파질거 같네요... ^^;;
2007.11.09 21:12:19 (*.46.122.32)

근데 현대 디젤엔진이 완전독자모델화 되는건가요??
현재 승용디젤엔진은 현대-기아는 물론이고 GM대우도 똑같이 이탈리아제 VM모토리사의 엔진 바디를 공유하거든요.. 이 엔진은 푸조 등 유럽회사에서도 널리 쓰이구요, 단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여러 회사들이 굳이 엔진 하드웨어를 독자개발하지 않고 VM모토리에서 납품받아 얹는다고 들었습니다만..
신형 엔진이라면 완전 독자개발 엔진을 말하는건지 궁금하네요..
현재 승용디젤엔진은 현대-기아는 물론이고 GM대우도 똑같이 이탈리아제 VM모토리사의 엔진 바디를 공유하거든요.. 이 엔진은 푸조 등 유럽회사에서도 널리 쓰이구요, 단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여러 회사들이 굳이 엔진 하드웨어를 독자개발하지 않고 VM모토리에서 납품받아 얹는다고 들었습니다만..
신형 엔진이라면 완전 독자개발 엔진을 말하는건지 궁금하네요..
2007.11.09 21:30:46 (*.193.141.161)

변속기 R&D에 독자생존쪽으로 투자가 집중 ,3~10배 정도의 경도를 가진 금속후처리 기술개발, 현대미션 트러블 현상이 줄어듬. 등등 기대가 많이되는 소식들이로군요^^*
2007.11.09 23:39:14 (*.243.108.150)

베라크루즈에 탑재된 S30엔진의 진동, 소음을 보면 앞으로 나올 S20 엔진도 현재의 디젤엔진보다는 훨씬 조용하고 부드러울것 같다는 기대가 듭니다~
2007.11.10 01:44:07 (*.34.71.62)

현대가 VM의 모듈을 공유하는 엔진이 현재 2.0 엔진 뿐으로 알고 있습니다. 2.0만 새로운 디젤로 대체되면, 디젤 전 라인업이 전부 현대가 만든 라인업으로 구성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곧 퇴역할 1.5 구형 디젤 빼면요~
차량 교체 주기가 애매해지네요... ^^;;
내년이냐 후년이냐를 고민하고 있는데... ㅡ.ㅡ;;;;;
현대/기아 R&D의 수준이 그리 낮지는 않은 것 같네요...(높다고 하는게 더 맞을 듯...)
그 이외의 부분도 함께 수준 향상이 되길 바라는 맘... 다들 비슷할 지도 모르겠네요...
대세는 디젤일까요?
힘, 연비 등의 스펙은 이미 인정할만한 수준이니, 소음/진동이 관건이겠네요...
좋은 성능의 차를 꼭 만들어 내야하는 시점이 점점 다가오니 현대/기아도 방관할 수는 없겠죠...
암튼 유수의 메이커들과의 치열한 경쟁을 보고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