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이번에 휴가를 다녀오면서 이틀동안 600km를 운전해서 다녀야 할 일이 생겼습니다.
한참 고민을 하다가... 와이프가 몰고 있는 뉴프라이드를 골랐습니다. 연비 때문입니다.
가솔린이긴 하지만 80~100km 정속 주행하면 15~16km/L는 나오더군요.
큰 차로 편하게 가는 것도 좋지만 사람 수가 많은 것도 아니라서요.
성격과 크기 모두 전혀 다른 차종이긴 합니다만 어쨌든 뉴EF에 이어 이번에도 비교 들어갑니다.
1. 540i, 뉴EF와 비교해서 소음 유입이 상당합니다. 이중 유리가 장착된 540i, 문짝 이중 방음을 한 뉴EF와의 비교가 사실 공정하진 않습니다만... 그래서 문짝 방음을 해 줄까 고민 중입니다. 특히 순정 타이어가 도로와의 궁합이 안 맞는 경우 굉장히 시끄러운 소음을 냅니다. 음악을 어중간한 볼륨으로 틀거나 대화할 때 목소리를 많이 낮추면 잘 안 들립니다.
2. 차 안에서 들어보면 시동/엔진음이 뭔가 디젤스럽습니다. 1600cc 가솔린인데 약 1.2톤의 가벼운 차체인데도 1.5톤이나 나가는 차체 덕분인지 펀치는 그다지 느껴지지 않습니다. 뉴EF가 1.6톤인데... =_= 차의 성격을 생각해 보면 막 튀어나가는 세팅을 할 필요는 없어 보이네요. 당연한 이야기이겠지만 추월 가속 시에는 뉴EF 1.8보다 여유가 있습니다.
3. 브레이크 답력은 보통~좋음 사이인 듯 합니다. 고속에서 급제동해 본 적은 없지만 마음에 듭니다.
4. 뭔가 주행이 좀 불안합니다. 출고된 지 1년 좀 넘은, 26000km 뛴 차인데 가벼운 차체 + 묘하게 딱딱한 서스 + 물컹한 타이어의 조합이... 이게 제대로 하체 세팅을 한 것 맞나 하는 생각이 들게 합니다. 어떤 땐 너무 부드럽다가도 갑자기 지나치게 딱딱해지는데 예측이 잘 안 되더군요. 특히 약간의 범프가 있는데 턴을 해야 할 때 뒤가 조금씩 흐르고 경사가 급한 속도 방지턱을 지날 때 속도를 많이 줄이지 않으면 서스가 bottom out 됩니다. 꽝!! 와이프는 원래 그렇다고 하긴 합니다만 적응될 때까지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5. 전자장비는 괜찮은 편입니다. 트립 컴퓨터의 순간/평균 연비 측정 기능, 핸드폰 블루투스 연동(통화/음악 재생), 운전/조수석 히팅 시트, 후방 주차 센서, 폴딩 백미러, 백미러의 터닝 시그널 인디케이터 등 540i보다 좋은 기능도 있습니다. 단, 겨울에 히팅 시트를 켜면 온도 조절이 어렵다는 점(on/off만 가능)과 블루투스로 음악을 들으면 고음이 좀 찢어지는 부분이 마음에 걸립니다.
6. 연비는 꽤 좋은 편인 것 같습니다. 물론 요즘에는 20km/L를 찍는 하이브리드 차량들도 있지만 이 정도면 나쁘지 않습니다. 이번에 540i나 뉴EF를 몰았다면 주유비가 70~100%는 늘어났을 겁니다. 물론 또 다른 재미가 있었겠지만요.
7. 요즘 같은 날씨에는 에어컨을 끄면 바로 더워집니다. 이베퍼레이터 용량이 다른 차종에 비해 많이 작은 것 같네요.
제가 느낀 점은 이 정도입니다. 와이프는 매우 만족하면서 타고 있지만 혹시 하체를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궁금하네요.
연비를 높이는 재미가 쏠쏠하다는 얘기를 자꾸 들으니 전엔 관심이 없던 하이브리드에도 눈이 갑니다.

다른 차를 타면서 비교하게 되면, 항상 아랫급에 있는 차에 대한 수리 혹은 보수(?)에 대한 욕심이 생기더라구요. 그래도 프라이드의 업그레이드에 대한 욕심은 많이 없으신 것 같아 다행입니다 ^^

역시 (엔트리급)국산차는 아직 멀은걸까요? 하체 완성도라는 점에 있어서 bmw 1 만큼은 아니더라도 피아트500이나 마쯔다2 정도만 나와주면 좋겠습니다.
E39 타시면서 차 하체보는 눈이 높아지지 않으시나요?
E46과 며칠씩 E90을 타보고, 그 외 1시리즈로 유럽을 다니고나니,,,
이제 하체나 기초 설계가 어지간히 정련된(Refined) 차가 아니면 들이고싶지 않아졌습니다 저는..ㅋ;;;

우람님 말씀대로 빌스타인 HD 서스를 장착한 540i을 타니 확실히 차를 볼 때 외관이나 동력 계통 외에도 하체를 많이 느끼려고 노력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차종 간의 차이도 더 곰곰히 생각해 보게 되고요. 처음엔 뉴EF의 낭창거리는 물침대 서스가 그냥 싫었는데 이제는 차의 성격을 생각하면 그 세팅이 맞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저는 아직 서스나 스프링의 차이 외에 차체 강성을 느낄 수 있는 수준은 안 되는 것 같습니다. 뉴EF의 서스나 스프링은 분명히 부드러운 승차감 위주의 세팅이지만 차체가 뒤틀리는 느낌은 잘 못 받는 것 같아요. 강화된 스테빌라이저나 롤케이지가 없는 차량과 있는 동일 차량을 타 보고 싶긴 한데... 뭐 아직까지 그 정도로 예민해 진 것 같진 않으니 다행이 아닌가 하네요.

저와 비슷한 조합이네요.
저는 e39 530is구요.
여친차량이 뉴프라이드 개솔린 .6풀옵입니다.(2008년식, 2만킬로 주행중. 올순정, 오토)
출퇴근용으로만 사용하고 몇달에 한번 장거리만 가는 차량입니다.
일주일에 몇번은 제가 대리운전을하는데요
브레이크와 편의장비가 의외로 좋다고 느낍니다만..
나머지는 여전히 소형차라는 것을 느끼네요.
-실내방음 부실
일반적인 시내주행시 창문을 모두 닫아도 신호대기시나 주행중 주변차량의 소리가 꽤 들립니다.
하지만 예승철님이 언급하신 정차시 자신의 차량소리는 그다지 크지 않습니다.
-딱딱한 서스
역시나 의외의 탄탄함을 자랑합니다...만
코너링중 갑작스럽게 배신을 때리네요.
심각하게 몰아부친것은 아니고 적정스피드보다 조금 과격하게 몰아부치면
노면상태에 따라 갑자기 휘청하더군요.
-브레이크
불만 없습니다. 차체가 가벼워서 그런지 여지껏 브레이크가 밀린다고 느낀 적은 없네요
다만.. 현기차답게(?) 초기답력이 너무 강해서
제차를 한참 몰다가 가끔 몰게되면 잠시 당황합니다.
-오디오
반 구형이라 그런지.. 순정오디오는 블투기능이 되지 않습니다.
AUX만 지원하고 있는 상태구요. 아이폰 연결시 잡음은 없구요.
음질은 조금 불만이지만.. 이퀄라이져를 조금 손보면 그럭저럭 들을만 합니다.
다만 볼륨이 너무 초기에만 몰려 있어서 브레이크와 같은 느낌이네요.
시내주행시는 4정도 까지 듣는데 5로 올리는 순간 그 전의 1-2-3-4의 단계보다 4-5의 단계가 몇단계 볼륨 업 하는 것처럼
크게 들리네요. 10이상 으로 볼륨을 올리면 귀만 아파서 더 이상 올릴 일은 없네요.
-가격대성능비는 괜찮은 것 같습니다.
다만.. 트렁크열림버튼을 전동식까지는 아니라도 e39나 골프처럼 되었으면 좋겠네요.
마트 장보고 나서 짐 싣을때 불편하네요
새로운 올뉴프라이드를 기대해 봅니다.
ㅎㅎ 한때 뉴프라이드 오너였어 상당히 공감이 됩니다...
사이드 밀러 열선이 초기 모델에는 있다가 어느 년도 모델부터는 빠졌다고 하던데 요즘 모델은 어떻게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트렁크 열림 버튼은 diy로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도전할려고 했으나 차를 바꿔타는 바람에 하지 못 했는데 동호회 자료 찾아보시면 될듯 합니다...
대우계열 트렁크 열림 모터에 룸전등(열림이 되면 전기를 통하는 선)에 물려서 열림 버튼을 눌러놓고 몇 초 동안만 작동되게 하는
diy로 기억됩니다.... 버튼은 번호판 근처로 하면 될겁니다...
당시(2009년)에 방수되는 push swotch를 찾았는데 요즘은 포르테 세단등에 장착되는 버튼을 사용하면 될겁니다...
열림 모터도 기아계열(포르테/쿱)등을 사용하시면 될것 같네요...
포르테/폴쿱을 비롯해 요즘 기아의 중소형 차들이 서스펜션이 상당히 딱딱하게 나오는데... 이게 롤링을 잡아주고 성능 향상을 가저오는 딱딱함이 아닌 그냥 롤링은 롤링대로 있으면서 차가 통통 튀고 딱딱하기만 하는.. 불쾌한 승차감을 제공하기만 합니다. 거친 노면이나 방지턱 넘어가면 정말 느낌 안좋더군요.. 위에서 언급하신 것처럼..
이러던 와중에 신기한 현상을 발견했는데, 사제 다운스프링을 장착하니 오히려 이전보다 승차감이 훨씬 좋아졌습니다. 거친 노면은 부드럽게 넘어가면서 물렁물렁하지 않은... 좋은 느낌을 제공하더군요. 흔히들 튜닝스프링 장착하면 승차감이 떨어진다고들 하는데.. 포르테/쿱에 한해서는 분명 정 반대였습니다.
아무래도 순정 댐퍼와 스프링이 순정임에도 불구하고 궁합이 영 안맞는것 같습니다.
보아하니 어짜피 일체형까지 갈 정도로 매니악하게 강화하실 거 아니라면 괜찮은 튜닝 스프링 + 쓸만한 타이어 조합 정도면 괜찮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하체 소음은 워낙 방음 자체가 안되있어서 아무리 조용한 타이어 낑궈도 소용없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