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어제부터 996터보 까브리올레 모델을 타고 있습니다.
E60 M5도 있구요.
터보가 100여키로 가볍지만, 터보가 2700RPM에서 터지고,
4륜의 약점(?)과 5단 팁트로닉이라는 약점때문에
507마력에 7단SMG3를 쓰는 M5에 비해서 가속력이 떨어집니다.
코너에서는 끈끈하게 잡아주는 안정적인 맛이 있지만,
m5의 다이나믹함에는 비교해서는 밋밋합니다.
사실은 M이 불안정하다 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포르쉐의 포스와 작은 차체, 하드한 서스펜션이 빚어내는 포르쉐만의 매력은 존재합니다.
더구나 저에게 가장 목말랐던 오픈에 대한 갈증을 터보는 후련히 씻어주었습니다.
사람이란게 참 간사합니다.
그전에 264마력짜리(5.5Kg/마력)를 탈때는 300마력만 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했었는데,
507마력짜리(3.6Kg/마력)를 타게 되니,
420마력(3.8Kg/마력)짜리는 약하게 느껴지는군요.
예전엔 300마력이 넘는 차를 갖고있는 사람들이 왜 튜닝을 할까?
난 200마력만 되어도 좋겠다.
저정도면 감지 덕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몰라서 그랬던거죠...^^
사람의 욕심이 어디까지 올라갈지는 모르겠습니다.
사실 저 파워의 30%정도라도 다 쓰고 있을지 모르겠지만,
이틀 타본 느낌은 그러네요.
아직 워런티가 1년반이나 남아있어서 튜닝을 하기에도 그렇고,
그렇다고 그냥 타기엔 뭔가 밋밋한거 같고...
아까도 아는 사람들이 다같이 모여서 이야기할때, 이런얘기를 했더니,
웃으면서, 보배에 이런얘기 올리면 매장될거라고...^^
사실 이런 사람의 간사함때문에 그것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더욱더 큰 힘을갖고, 더 빠른 슈퍼카들이 출현하는거겠죠...
당분간은 와인딩에서 M5만큼 갖고 놀 수 있게 실력연마를 해야겠습니다.
E60 M5도 있구요.
터보가 100여키로 가볍지만, 터보가 2700RPM에서 터지고,
4륜의 약점(?)과 5단 팁트로닉이라는 약점때문에
507마력에 7단SMG3를 쓰는 M5에 비해서 가속력이 떨어집니다.
코너에서는 끈끈하게 잡아주는 안정적인 맛이 있지만,
m5의 다이나믹함에는 비교해서는 밋밋합니다.
사실은 M이 불안정하다 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포르쉐의 포스와 작은 차체, 하드한 서스펜션이 빚어내는 포르쉐만의 매력은 존재합니다.
더구나 저에게 가장 목말랐던 오픈에 대한 갈증을 터보는 후련히 씻어주었습니다.
사람이란게 참 간사합니다.
그전에 264마력짜리(5.5Kg/마력)를 탈때는 300마력만 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했었는데,
507마력짜리(3.6Kg/마력)를 타게 되니,
420마력(3.8Kg/마력)짜리는 약하게 느껴지는군요.
예전엔 300마력이 넘는 차를 갖고있는 사람들이 왜 튜닝을 할까?
난 200마력만 되어도 좋겠다.
저정도면 감지 덕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몰라서 그랬던거죠...^^
사람의 욕심이 어디까지 올라갈지는 모르겠습니다.
사실 저 파워의 30%정도라도 다 쓰고 있을지 모르겠지만,
이틀 타본 느낌은 그러네요.
아직 워런티가 1년반이나 남아있어서 튜닝을 하기에도 그렇고,
그렇다고 그냥 타기엔 뭔가 밋밋한거 같고...
아까도 아는 사람들이 다같이 모여서 이야기할때, 이런얘기를 했더니,
웃으면서, 보배에 이런얘기 올리면 매장될거라고...^^
사실 이런 사람의 간사함때문에 그것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더욱더 큰 힘을갖고, 더 빠른 슈퍼카들이 출현하는거겠죠...
당분간은 와인딩에서 M5만큼 갖고 놀 수 있게 실력연마를 해야겠습니다.
2008.03.13 17:54:58 (*.221.90.7)

2.6kg/hp FR를 가지고 있지만...
출퇴근용으로 9.5kg/hp 운전해도...
각 차만의 즐거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영씨 말씀대로 직빨/가속력은...금방 질리게 마련입니다. ^^
자동차의 즐길수 있는 부분의 아주 작은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출퇴근용으로 9.5kg/hp 운전해도...
각 차만의 즐거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영씨 말씀대로 직빨/가속력은...금방 질리게 마련입니다. ^^
자동차의 즐길수 있는 부분의 아주 작은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2008.03.13 18:40:41 (*.145.162.179)

와인딩을 즐기는 사람이 파워를 끝까지 추구해보면 적정한 (마음에 드는) 마력대가 있다고들 하더군요. 그 이상은 너무 큰 비용이 발생하거나 운용하는데 너무 위험하거나 해서요..반면 직빨로 파워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끝이 없더군요. ㅎㅎ 아무리 많이 생겨도 더 큰 파워의 차를 보면 또 그걸 못 이겨서 안달이더군요.
2008.03.13 18:48:04 (*.192.187.141)

제가 요즘 느끼는건 대배기량 고토크의 차량은 나와는 맞지 않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물론 토크빨을 앞세운 주행실력은 인정하지만 정말 그 출력을 전부 발산 할수있는 장소와 시간대가 아니면 좀 밟다가 발떼야하고 또 밟으려다 발 떼고.. 이게 좀 그렇더군요.
오히려 한참 느리더라도 저출력 고회전형 엔진을 단 경량의 차체가 훨씬 더 다이나믹하겠죠.. 출퇴근길에 레드존까지 써가면서도 다른차에게 큰 위협이 안되는 펀카... 이런게 제가 생각하는 재미난 자동차 ;;;;
미아타 같은거면 저런 운전이 가능하려나요? (티코 수동 같은건 좀 그렇고;;)
오히려 한참 느리더라도 저출력 고회전형 엔진을 단 경량의 차체가 훨씬 더 다이나믹하겠죠.. 출퇴근길에 레드존까지 써가면서도 다른차에게 큰 위협이 안되는 펀카... 이런게 제가 생각하는 재미난 자동차 ;;;;
미아타 같은거면 저런 운전이 가능하려나요? (티코 수동 같은건 좀 그렇고;;)
2008.03.13 19:10:18 (*.46.122.32)

고성능차들 얻어타는 입장에서도 고마력차들 어느정도 타다 보면 시시하더군요.. 300마력급 차들은 나름 많이 동승하다 보니 뭐 이젠 빠르다는 느낌이 없습니다.. 하물며 오너 입장에선 오죽하시겠습니까??
대신 그렇게 출력빨에 시시해지다 보면, 제 경우, 느린 차를 탈 때 그 차만의 다른 매력을 찾으려고 노력하고, 또한 찾게 되더군요.. 김재우님이 xB 타시는 것 처럼요.. 저는 돈이 없다보니 요즘 연비주행에 매료되어서, 남들 최고속도 찍을 때 감흥 느끼듯이 저는 최고연비 계산될 때 짜릿합니다..ㅋㅋ
대신 그렇게 출력빨에 시시해지다 보면, 제 경우, 느린 차를 탈 때 그 차만의 다른 매력을 찾으려고 노력하고, 또한 찾게 되더군요.. 김재우님이 xB 타시는 것 처럼요.. 저는 돈이 없다보니 요즘 연비주행에 매료되어서, 남들 최고속도 찍을 때 감흥 느끼듯이 저는 최고연비 계산될 때 짜릿합니다..ㅋㅋ
2008.03.13 19:32:44 (*.194.228.185)

M3 2년 타다가 996 터보 사서 타신 분이 M3보다 훨씬 느슨한 느낌 때문에 실망했다고 하시더군요. M3 특유의 고알피앰 N/A와 FR구동의 짜릿한 느낌에 비해, 맹숭맹숭한 터보랙과 맹숭맹숭한 4륜구동의 느낌때문에... 물론 M3도 순정으로 1년 타다가 수퍼차저 튜닝해서 450마력인가로 타시기는 했지만...
결국 1억이나 들여서 590마력까지 출력을 끌어올리고서야 매우 만족스러워 하시면서 탔는데 그마저도 결국 2-3년을 못넘기더군요. 그래서 작년부터는 팔까 고민중이고... 로또 되면 제가 안아올텐데... 하하하...
어쨋거나 그 분은 요즘 몇번 시승해본 수동 박스터S의 느낌을 그리워하시는걸 보면 출력이 주는 만족도에는 한계가 있나봅니다.
결국 1억이나 들여서 590마력까지 출력을 끌어올리고서야 매우 만족스러워 하시면서 탔는데 그마저도 결국 2-3년을 못넘기더군요. 그래서 작년부터는 팔까 고민중이고... 로또 되면 제가 안아올텐데... 하하하...
어쨋거나 그 분은 요즘 몇번 시승해본 수동 박스터S의 느낌을 그리워하시는걸 보면 출력이 주는 만족도에는 한계가 있나봅니다.
2008.03.13 19:49:01 (*.145.28.61)
종권님 말씀에 한 표입니다. 힘과 조종성 사이의 균형을 생각하시다 보면, 또다른 세계가 열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보여준다'라기 보다는 자신의 즐거움을 위한 달리기라고 할까요.
2008.03.13 20:22:34 (*.133.223.158)

저도 와인딩을 추구하는 스타일이라 한도 끝도 없는 직빨마력의 세계에 절대 빠지지 않으니 다행입니다. 15년동안 200km/h를 넘은 적이 세번, 150km/h를 넘은 적이 다섯번에 불과하니까요..
2008.03.13 20:47:57 (*.177.181.44)

저는 매일매일 다른데요..어떤날은 200마력정도의 재미있는차로 경제적으로 재밌게, 한계를 시험해보면서 타는것이 좋겠다 싶은날도 있고 어떤날은 후련하게 쭉쭉 뻗어나가는 차를 갖고 싶기도 하구요~^^;;
2008.03.13 21:11:29 (*.229.116.62)

민병길님 그 심정 이해갑니다. 출력욕심은 끝이 없는거 같더라고요.
반면 포뮬라원 드라이버처럼, 궁극의 고속머쉰을 다루는 스타레이서들 얘길 들어보면, 가장 마음에 드는차를 언급할때, 의외로 출력이 그다지 높지않은차를 선택하더군요. 용인 스피드웨이 같은 경우도.. 300 오버 출력의 레이싱카가 불필요하다는 데이터가 있습디다. 랩타임도 더 좋아지지않고요. 태백의 경우는 조금 다를지도 모르겠네요.
반면 포뮬라원 드라이버처럼, 궁극의 고속머쉰을 다루는 스타레이서들 얘길 들어보면, 가장 마음에 드는차를 언급할때, 의외로 출력이 그다지 높지않은차를 선택하더군요. 용인 스피드웨이 같은 경우도.. 300 오버 출력의 레이싱카가 불필요하다는 데이터가 있습디다. 랩타임도 더 좋아지지않고요. 태백의 경우는 조금 다를지도 모르겠네요.
2008.03.13 22:24:49 (*.51.214.6)

출력욕심이라.....서킷라이딩을 좋아하는 저로써는 흐 마력보단 벨런스에 공을 많이 들이게 되더라구요 (물론 탈출하면서 뻗어나갈때의 출력차를 메꾸려면 코너링에서 승부를 띄우는 그 재미가 쏠쏠하죠 [거의 마력2개 가까이 되는 차 잡는 재미 흐흐흐])
2008.03.13 22:38:19 (*.215.125.147)

휠마력 101 hp 짜리 제 차가 저한텐 딱이더군요.
다만 소원이 있다면...
지구 상에 직선 도로가 50m 이상은 전부 없어졌으면 하는 바램이..
o(T^T)o
다만 소원이 있다면...
지구 상에 직선 도로가 50m 이상은 전부 없어졌으면 하는 바램이..
o(T^T)o
2008.03.13 22:52:47 (*.101.85.1)

저도 종권님 말씀에 한표,,, 다만 그 말하자면 '접점'이라는 것을 욕심껏 잡아나가다 보면 음으로 양으로 수업료가 꽤 많이 들듯합니다. 그냥 타협하고 안주해버리면 더할나위없이 편안하겠지만요...^^
2008.03.14 00:43:42 (*.86.152.40)

저같은 경우는..
고마력 터보 타다가 중마력 n/a오니 이렇게 매일 흥분할수가 없습니다..
래그프리 ...^^..
취향차이겠지요.
고마력 터보 타다가 중마력 n/a오니 이렇게 매일 흥분할수가 없습니다..
래그프리 ...^^..
취향차이겠지요.
2008.03.14 13:55:54 (*.134.27.3)

와인딩에서는 출력이 높아질수록 확실히 '섬세함'을 요구하는 것 같습니다.
M5로 동일한 와인딩을 연마하실 때, 다음의 순서대로 공략해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1단계 : P500, DSC On, EDC 노말 (가장 편한 상태가 한글로 "노말"이라고 나오나요?)
2단계 : P400, M 다이내믹 모드, EDC 노말
3단계 : P500, M 다이내믹 모드, EDC 노말
4단계 : P400, DSC Off, EDC 노말
5단계 : P400, DSC Off, EDC 스포츠 (댐퍼의 중간 세팅)
6단계 : P500, DSC Off, EDC 스포츠
일단 가장 일반적인 세팅으로 타보시면 얼마 후에 재미의 한계에 닿으실 수 있겠죠.
다음으로 DSC를 조금 늦게 개입시키는 M 다이내믹 모드에서
400마력부터 출력을 조금씩 높인 세팅으로 익숙해지는 재미를 찾으시는 겁니다.
끝으로 DSC Off 상태에서 댐퍼만 더 하드하게 하셔서 점차적으로 익숙해지십니다.
5단계까지만 연마하셔도, FR의 다양한 거동에 대해서는 꽤 자신이 붙으실 것입니다.
주제넘는 제안이었습니다.
안전하고 즐겁게 타세요.
M5로 동일한 와인딩을 연마하실 때, 다음의 순서대로 공략해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1단계 : P500, DSC On, EDC 노말 (가장 편한 상태가 한글로 "노말"이라고 나오나요?)
2단계 : P400, M 다이내믹 모드, EDC 노말
3단계 : P500, M 다이내믹 모드, EDC 노말
4단계 : P400, DSC Off, EDC 노말
5단계 : P400, DSC Off, EDC 스포츠 (댐퍼의 중간 세팅)
6단계 : P500, DSC Off, EDC 스포츠
일단 가장 일반적인 세팅으로 타보시면 얼마 후에 재미의 한계에 닿으실 수 있겠죠.
다음으로 DSC를 조금 늦게 개입시키는 M 다이내믹 모드에서
400마력부터 출력을 조금씩 높인 세팅으로 익숙해지는 재미를 찾으시는 겁니다.
끝으로 DSC Off 상태에서 댐퍼만 더 하드하게 하셔서 점차적으로 익숙해지십니다.
5단계까지만 연마하셔도, FR의 다양한 거동에 대해서는 꽤 자신이 붙으실 것입니다.
주제넘는 제안이었습니다.
안전하고 즐겁게 타세요.
2008.03.14 14:28:26 (*.38.8.49)

순정 160마력짜리 구입해서 풀튜닝해서 타다가 순정 200마력짜리로 넘어가고...
여기에 또 풀튜닝해서 타다가 순정 260마력으로 넘어가고...
또 여기에 풀튜닝해서 타다가 순정 300마력짜리로 넘어가고...
이렇듯 계속 올라가는것이 파워에 대한 욕심이 아닐까 싶네요...
여기에 또 풀튜닝해서 타다가 순정 260마력으로 넘어가고...
또 여기에 풀튜닝해서 타다가 순정 300마력짜리로 넘어가고...
이렇듯 계속 올라가는것이 파워에 대한 욕심이 아닐까 싶네요...
2008.03.14 16:17:09 (*.77.124.113)

좀 외람되지만 996터보가 M5보다 느린가요? 아니면 996이 실제는 빠른데 안정감과 편안함으로 인해 체감속도가 더 느리게 느껴지는건가요? 궁금하네요 ^^
2008.03.14 22:49:08 (*.178.167.156)

본인이 컨트롤 할 수 있는 능력이나 지불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에 따라 마음에 드는 마력대는 달라지겠지요.. 저는 개인적으로 300마력 정도의 파워로 1.3톤 이내의 무게인 차가 마음에 듭니다...
996의 터보를 타던 분들은 600마력 정도를 선호하는 경우가 여럿 있었는데 그 때 무게는 1.6톤? 정도죠.. AWD 의 안정성조차도 그정도 출력이 가면 섬찟 섬찟해지고 랙이 커지는 것을 막는 선에서는 그정도까지의 파워업이 좋았다고들 하더군요. 그러고보면 R-33 이나 R-34를 타던 분들도 600마력 정도를 좋다고 했던 분이 있었네요.
600 마력이라고 하더라도 터보랙이나 열축적에 의한 손실등을 감안하고 AWD의 LOSS 도 고려한다면 NA 후륜구동의 450 마력정도와 비등하게 봐줘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특히나 600마력으로 튜닝되었다고 하더라도 온도나 측정기의 상태에 따라 들쭉 날쭉한 결과가 나오기 일수인 휠다이나모 측정값이고 특히나 터보차는 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언제나 600마력급의 파워가 나온다고 믿어주긴 곤란하죠... 그런면에서는 바이퍼나 콜벳은 의외로 좋은 대안일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뭐 아주 폭이 넓은 트랙이나 공항고속도로에서 탄다면 말이죠. ^^
996의 터보를 타던 분들은 600마력 정도를 선호하는 경우가 여럿 있었는데 그 때 무게는 1.6톤? 정도죠.. AWD 의 안정성조차도 그정도 출력이 가면 섬찟 섬찟해지고 랙이 커지는 것을 막는 선에서는 그정도까지의 파워업이 좋았다고들 하더군요. 그러고보면 R-33 이나 R-34를 타던 분들도 600마력 정도를 좋다고 했던 분이 있었네요.
600 마력이라고 하더라도 터보랙이나 열축적에 의한 손실등을 감안하고 AWD의 LOSS 도 고려한다면 NA 후륜구동의 450 마력정도와 비등하게 봐줘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특히나 600마력으로 튜닝되었다고 하더라도 온도나 측정기의 상태에 따라 들쭉 날쭉한 결과가 나오기 일수인 휠다이나모 측정값이고 특히나 터보차는 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언제나 600마력급의 파워가 나온다고 믿어주긴 곤란하죠... 그런면에서는 바이퍼나 콜벳은 의외로 좋은 대안일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뭐 아주 폭이 넓은 트랙이나 공항고속도로에서 탄다면 말이죠. ^^
저는 200마력의 핸들링 좋은 차 하나 있음 평생타겠다라고 생각했었는데,
병길님 말씀처럼 역시 사람이란게 간사한지..,
옆에 지나가는 Sti나 S2K를 보면 자꾸 군침을 흘리게 되는..
지금 내 곁에 있는 차에 더욱 충실히 하며
한몸이 되어갈 수 있도록 열심히 연마하는게 우선이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