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어쩌다보니 도요타 차량 두 대와 관련된 글을 쓰게 되네요. ^^
이미 언론에 공개된 것처럼
지난 01/26일 일본에서 신형 4세대 GS 가 출시 되었고
오는 03/12일 한국에서 신형 4세대 GS 가 출시될 예정입니다.
과거 GS 는 렉서스 라인업 중 나름 스포티한 성향을 갖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음에도
렉서스 브랜드가 추구하는 정숙성에 기반한 편안함과 고급스러움에 배치(?)된 까닭에 국내 판매량이 좋지 못했습니다.
참 오랜 끝에 풀 체인지가 이뤄졌는데 경쟁차량인 독일 3사 모델들은 풀 체인지를 끝내고
이미 숙성 단계에 접어든 모델들도 있는만큼 렉서스의 시장 진입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게다가, 발표된 사양의 수치를 보면 과거와 큰 차이가 없는 300마력대와 6단 미션이라
뭔가 뚜렷하게 내세울만한 경쟁력은 없어 보이는 게 사실인데요
렉서스의 경쟁력이라고 한다면 다소 낮은 브랜드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가격대비 높은 고급스러움과 풍부한 옵션. 그리고 정숙성을 기반으로 한 편안함과 소프트 한 승차감...등
브랜드를 관통하는 전반적인 이미지 자체가 쇼퍼 드리븐에 맞춰져 있다 보니
짧은 브랜드 역사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이미지가 젊어 보이지 않는단 단점이 있던 거 같습니다.
결과적으로, 아키오 사장이 젊은 엔지니어들을 진두 지휘하면서 보다 역동성 있는 컨셉으로
개발한 게 이번 4세대 GS 라고 하는데 시승기를 보니 오히려 비머스러워졌다는 평가가 있더군요.
물론, 사람마다 주관적이고 과거 렉서스가 워낙 편안함을 강조했다보니
더욱 강조하기 위한 상대적인 평가인 것처럼 생각되기도 합니다만 은근 기대가 됩니다.
익스테리어 디자인은 극명한 평가가 엇갈리는 듯 싶습니다만 개발 배경을 듣고보니 이해도 되고 ^^
인테리어는 홍보용이 아닌 기자분들이 찍은 직찍 사진을 봐도 재질이라던가 고급스러움이 정말 !
신형 GS 와 관련된 시승기 등을 다시 살펴보니 쉽게 치부(?)할 모델은 아닌 거 같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모터블로그 신형 GS 페블비치 현지 시승기(http://motorblog.kr/140146669973)
문제는 가격일 거 같은데 출처는 알 수 없지만
- GS250 5900만원
- GS350 스탠다드 6700만원
- GS350 럭셔리 7300만원
- GS350 F-Sport 7800만원으로 예상한다는 글이 보이더군요. (언급한 트림을 봐선 나름 신빙성이 있는 거 같기도~)
대표 경쟁 모델인
- F10 520d 6350만원
- F10 520i 6160만원으로 알고 있는데
제로백 8.4초 부근의 IS250 과 비슷한 동력 성능을 갖고 있다는 GS250.
뚜껑 열어봐야 알겠지만, 동력 성능이나 연비면에서 큰 메리트를 보이지 않는 GS250.
신형 GS 가 F10 에 필적(?)하는 운동 성능(=재미)을 갖고 있고 F10 에 비해 좀더 충실한 패키징(옵션)을 하고 있다면
최근 하락한 브랜드 파워와 낮은 연비에도 불구하고 5900만원이라는 가격이 경쟁력이 있을까요 ???
어퍼 미들급의 구매 연령층을 고려하면 27kg 대의 낮은(?) 토크는 정숙성으로 어느 정도 커버가 될 거 같은데
6단 미션으로 인한 10~12km 가량의 낮은(!) 연비가 고급스러움과 다양한(?) 옵션으로 커버될 수 있을지 말입니다.
아우토반에서 앞서가는 차량들이 비키라고 앞 모습을 그리 만들었다고 하던데...
다스베이더 연상시키는 앞 모습이 너무 적응 안됩니다. -.-
요즘 일본차들 디자인이 너무 산으로 가는 듯...
해외 평가들은 참 좋던데, 실제로 어떤 수준일지 기대됩니다.

며칠전에도 is 타는 이곳 후배님과 세차장서 만나 디자인 완성도 참 좋아서
차세대 is 디자인 만들기가 쉽지 않겠다..했는데,
GS도 비슷하게 방향을 잡았군요. 전체 비례는 좋아보입니다.
앞모습은 다스베이더가 아니라 프레데터 닮은거 같네요.ㅎ
비머 760에 적용된 4WS 가 적용되었다니 GS의 야심이 드러나는군요.
F10과 붙여놓음 어떨지 귀추가 기대됩니다.
제가 F10 520d 오너인데
그정도 가격이면 GS는 그닥일것 같네요
BMW에 비해 브랜드 가치가 딸리고 성능이 좋은것도 아니고
연비도 그다지 좋을것 같지 않고 (연비는 평균적인 수준일것 같습니다.. 좋지도 나쁘지도 않을 수준)
과연 GS가 5시리즈에 비해 나은게 무엇인지 모르겠네요
(가격, 연비, 브랜드 가치, 달리는 즐거움 ???)
고장 안나는건 낫겠네요
제차는 새차 뽑은지 6개월인데 브레이크 밟을때 마다 끼익 소리가 나네요 ..
(참고로 주행거리는 별로 안됩니다 )

저는 개인적으로 IS 외의 렉서스는.....매력을 못느끼고,
어느 정도 차를 좋아하는 사람에게도 경쟁력이 있는 렉서스는 IS가 유일하다고 생각하는데요......
요즘 독일 3사의 패키징을 보면.... 차세대 IS는 현세대에 비해 난항이 예상되고,
GS는....아무리 좋다해도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쉽지 않을것 같습니다~~~^^
(생각해보니 미국외에서는 힘쓰는(현재) 곳이 없는 듯.....)
국산차가 많이 좋아진 지금에서 일본차는 크게 의미가 없어졌다고 생각하네요. 예전만큼 뛰어난 옵션이 있는것두 아니구 연비가 아주 좋은것도 아니구 성능, 가격 등 가장 애매한 포지션이죠. 그런 상황에서 5시리즈랑 비교는 조금... 그랜져나 제네시스에 비교해도 힘들건데요.
옛날 GS를 탔던 기억을 살려보면 렉서스중 렉서스 같지 않은 모델이 GS였지요. 스포츠를 지향하는.
하지만 국내에서 저 가격과 사양에 BMW나 벤츠와 경쟁하기는 쉽지 않아보입니다.
경쟁하고 싶다면 가격을 1000만원쯤 낮춰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밑에서는 인피니티가 있고 위로는 독일 삼총사가 있으니...

쩝...도요타도 점점 산으로가는 추세이군요...개인적으로 지금 GS보다
그 이전 GS디자인이 훨씬 더 좋은듯하고...성능은...흠...예전에 나왔던
껍대기는 GS 속은 2JZ-GTE 트윈터보가 올라간 내수용버젼 아리스토처럼
GS라인업에 고성능라인도 하나 추가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저희 모임에 아리스토 나오는데 타보니까 정말 좋던데...ㅋㅋ

그나마 렉서스 모델 중에서 유이하게 좋아하던 IS, GS...
GS에 큰 변화를 주려고 작심한 듯 하였으나 마케팅 포인트로 가져갈 만한 부분이 별로 없어 보이네요...
조금은 과격하게 디자인의 변화를 주었으나 그냥 무난한 성능상의 변화는 차별화 시키기 어려워 보입니다...
실제 판매량이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요즘 렉서스라는 브랜드가 점점 위축되고 있는건 부정할 수 없네요...

렉서스가 국내에서 돌풍을 일으킬 때와 지금은 사정이 완전히 달라졌죠.
게르만 삼총사의 미들 세단이 모두 모델 체이지를 하면서..
셋다.. 어느 한 부분 모자란 부분이 없어졌고..
가격 부분에서도 GS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게 되었죠.
어떤 결과를 보일지 모르지만...
그리 크게 성공할꺼 같진 않습니다만...

상황이 이런만큼 렉서스 입장으로써는 과감한 시도를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너무나 평범한 뒷모습보다 앞모습이 차라리 독창성 있고 좋더라고요...그래도 여전히 F 패키지는 적응이 필요할듯 합니다ㅎㅎ
인테리어도 큰 변화를 시도한것 같구요...
250은 모르겠지만 350 같은 경우 상당히 괜찮은 운동성능을 보여주는거 같던데 지켜봐야겠네요.
5시리즈가 신흥시장을 의식해서 크고 안락한 방향을 택한동안 렉서스는 거꾸로 가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브랜드 파워를 키워야 할 때가 왔는데 쉬워 보이진 않습니다.

최근 3년병이 도져서 몇몇 차종을 시승해봤었습니다. 현실을 고려해 쿨하게 접었습니다만... ^^
몇몇 차종들은 프로모션이 좋아서 정말 싸인할 뻔... -_-
여튼 시승을 하면서...
렉서스가 확실히 가격에 비해 재질이나 고급스러움이 높다는 걸 느꼈습니다.
흔하게 얘기하는 대쉬보드는 물론이고 헤드라이너나 A필러, 선바이저와 같은 직물 재질도 그렇고
각 부위의 소소한 마무리 등을 보면 얘네들이 차를 쉽게 만든 건 아니라는 걸 느낍니다.
심지어 프론트 도어 힌지에도 고무 재질의 커버를 씌워놨으니까요.
물론, 그에 따른 중량 증가 등 단점도 있지만 후발주자로서 프리미엄급으로의 진입을 위한 노력이 보이더군요.
이번에 차를 바꾸지 못한 가장 결정적 이유는 돈이지만
비슷한 급(가격대)에서 IS 만큼의 고급스러움이나 편안함을 주는 차를 찾기 어려웠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높은 토크가 주는 디젤의 매력에 빠지다가도
6000 이상 쥐어짜듯 돌릴 때의 N/A 의 매력이 아쉽기도 하고
경쟁이 치열해진 탓에 과거에 비해 조금은 단촐하면서도 현실화 된 편의사양을 보면
풍부한 옵션을 자랑하는 도저히 7년전 출시된 차라 볼 수 없을 IS 의 풍부한 옵션과 비교하게 되더군요.
갈 수록 맘에 드는 차량을 선택하기 어려워지는 거 같습니다.
쨌든, 렉서스 아니 도요타에서 공격적인 행보를 펼친다면 의외의 가격 책정을 할 수도 있을 거 같은데...
예전에 보니 7 시리즈 판매량이 한국이 세 손가락 안에 든다고 했던 거 같습니다.
렉서스도 브랜드 인지도를 되살리려면 한국시장에서의 성공이 필요해 보입니다.
무엇보다 브랜드가 젊어져야 하고 그게 신형 GS 의 첫 임무가 아닐까 싶네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아야겠지만, 일단 가격이 최대 관건이지 싶습니다.

2010년 식 gs350오너입니다. 음........우선 차를 살당시 후보는 audi a6 &bmw528 이었습니다.
그때당시는 아우디a6의 경우는 끝물이라 s-line 을 넣어주었고 bmw는 나온지 얼마 안된 신차였습니다. 벤츠는 e300은 삼각별이라 타고다니기에 좀 부담되서 패스
렉서스 gs는 당시는 아예 쳐다보지도 않았죠~~ (당연히 나온지 너무 오래되었고 당연 내임벨류도 독일차들이 좋고 실내도 깔끔하고 세련되고 운동성능??? 도 당연 독일차들이 우수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위에 열거한 아우디 비엠은 렉서스 gs350을 시승한후 급작스럽게 마음에 변경으로 계약하여 지금도 타고있습니다.
사실 워낙 독일차를 좋아하시는분들이 많아서 이런글 쓰기도 살짝 겁이나지만
비슷한 가격대 6000~7000만원대 차종중 고르라고 한다면 전 지금도 주저없이 gs350을 선택하겠습니다.
하지만.......... 단점도 존재합니다 앞데시보드 소음, 황당하지만 운전석 사이드 미러거울은 평면 조수석미러는 곡면미러네요 좌측으로 차선 변경하기 많이 힘이드네요(왜 이런건지 아시는분은 답변좀 ^^;; 나온지 오래되서 그런지 진짜 실내는 엄청 구립니다.
신형렉서스gs 전 가격적인면이나 여러가지로 괜찮은거 같은데요 현재gs350가격이 7700인걸감안하면 신형 GS350 F-Sport 살수있겠네요.
기존 구매 연령층에게 어필하려면 이 난해하면서 파격적인 디자인은 먹히지 않을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