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사실 한국에서의 수입차 부품은 상당합니다. 물론 가격대비 그 가격이
제시하는 퀄리티와 상품성이 나와준다면 모르겠지만서도...,
국내업체중 GM 등의 순정품을 만드는 회사가 있습니다. 물론 자체 브랜드는
아닙니다. 만약 이곳에서 순정품의 로터를 생산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면
여러분들은 국산품이라는 이유로 외면 하시겠습니까?
아니면 믿고 사용할 수 있을까요...., 물론 도면에 의거 자동화된 생산장비에서
로봇이 만듭니다. 규모로만 본다면 브렘보보다 큰 회사이지요
대량생산체제가 갖추어진 곳이니까요 소재는 물론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고
가공퀄리티 또한 동일 하다는 전제하에 브랜드이미지만 다르고
가격이 착하다면 말입니다....,
사실 한국에서의 수입차 부품은 상당합니다. 물론 가격대비 그 가격이
제시하는 퀄리티와 상품성이 나와준다면 모르겠지만서도...,
국내업체중 GM 등의 순정품을 만드는 회사가 있습니다. 물론 자체 브랜드는
아닙니다. 만약 이곳에서 순정품의 로터를 생산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면
여러분들은 국산품이라는 이유로 외면 하시겠습니까?
아니면 믿고 사용할 수 있을까요...., 물론 도면에 의거 자동화된 생산장비에서
로봇이 만듭니다. 규모로만 본다면 브렘보보다 큰 회사이지요
대량생산체제가 갖추어진 곳이니까요 소재는 물론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고
가공퀄리티 또한 동일 하다는 전제하에 브랜드이미지만 다르고
가격이 착하다면 말입니다....,
2008.12.18 10:26:19 (*.32.126.154)

소비자야 어차피 가격대성능비만 맞으면 구입하는것이니 문제는 없겠죠..
다만, 직접 비교를 해가며 부품을 수배하는 부지런한 소비자들이 전체 BMW 오너중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느냐가 관건이 아닐까 싶네요... AS센터에서야 당연히 취급을 안할테고..
다만, 직접 비교를 해가며 부품을 수배하는 부지런한 소비자들이 전체 BMW 오너중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느냐가 관건이 아닐까 싶네요... AS센터에서야 당연히 취급을 안할테고..
2008.12.18 10:36:10 (*.236.143.203)

아마도 기본수량이 있을테고요... 첨엔 몇분들 하시겠지만 그 재고분이며 초기 들어가는비용이 묶여있다고 생각한다면 지금처럼 불경기엔 비추하고 싶네요....물론 가격이 싸면 장착하겠지만 bmw가 많이 팔리긴 했어도..
차종도 각양각색이고 주물일텐데 차종별로 몰드뜨고....무게도 만만치 않고...혹시 만드시면...당근 쓰긴하지요..
차종도 각양각색이고 주물일텐데 차종별로 몰드뜨고....무게도 만만치 않고...혹시 만드시면...당근 쓰긴하지요..
2008.12.18 10:46:21 (*.135.23.29)
가격과 성능이 중요할거 같습니다.
가격은 비싼거 둘때치고 값비싼 브렘보가 팔리는거 보면 성능에 더 중점을 둬야 성공을 할거같네요.
순정부품이 아닌이상 가격은 당연히 착하면 좋겠지요.ㅎㅎ
2008.12.18 11:44:01 (*.217.77.34)

이미 수입차들에 국내 업체들의 부품들이 상당히 많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벤츠, BMW등 프리미엄 브랜드 뿐만 아니라 에어컨디셔너 컴프레셔나 알터네이터, 브레이크 캘리퍼는
국내 업체들이 상당히 많이 적용되어 있으며,
최근 많이 팔린 골프도 하이탑 마운트 스탑 램프(HMSL)도 국내업체 것이 들어가 있고,
크라이슬러의 300c의 헤드라이트도 국내업체에서 개발 공급하며,
심지어 JEEP의 랭글러는 국내 업체가 40%이상의 공정을 생산 납품하죠.
뿐만 아니라 워터펌프, 오일펌프, 피스톤 등 다양한 부품들이 수입차량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의 국내 업체들, 단순히 가격 경쟁력만 있는게 아닙니다.
기술력도 갖추어져 있습니다.
미국 빅3가 지금처럼 흔들리기 이전에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를 먹잇감으로 노리고 있었습니다.
그만큼 매리트가 있다는 말이겠죠?
수입품이라면 무조건 좋고 국산은 불신하는 인식이 어쩌면 국내 산업의 성장을
조금은 방해하진 않나 개인적으론 생각해 봅니다.
벤츠, BMW등 프리미엄 브랜드 뿐만 아니라 에어컨디셔너 컴프레셔나 알터네이터, 브레이크 캘리퍼는
국내 업체들이 상당히 많이 적용되어 있으며,
최근 많이 팔린 골프도 하이탑 마운트 스탑 램프(HMSL)도 국내업체 것이 들어가 있고,
크라이슬러의 300c의 헤드라이트도 국내업체에서 개발 공급하며,
심지어 JEEP의 랭글러는 국내 업체가 40%이상의 공정을 생산 납품하죠.
뿐만 아니라 워터펌프, 오일펌프, 피스톤 등 다양한 부품들이 수입차량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의 국내 업체들, 단순히 가격 경쟁력만 있는게 아닙니다.
기술력도 갖추어져 있습니다.
미국 빅3가 지금처럼 흔들리기 이전에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를 먹잇감으로 노리고 있었습니다.
그만큼 매리트가 있다는 말이겠죠?
수입품이라면 무조건 좋고 국산은 불신하는 인식이 어쩌면 국내 산업의 성장을
조금은 방해하진 않나 개인적으론 생각해 봅니다.
2008.12.18 12:50:34 (*.188.76.134)
비엠의 구형은 호환되는 차종들이 많아서 실 오너들에게는 좋게 어필할 수 있겠습니다만,, 그렇다 해도 시장 자체가 너무 적을 것 같습니다.. 혹은 수입차 수리업체 등에 영업?을 하셔도 될 것 같지만 그 역시 수요가 적을 것 같고.. 품질을 좋게 최소 생산수량 단위로 우선 만들어서 손해보지 않을만큼 적당한 가격을 유지하면서 소진하는 것도 가능하다면 괜찮을 듯 싶네요.. 개인적인 입장으로는 그 로터가 나오면 구매해서 사용해볼 것 같네요 ㅎㅎ
2008.12.18 12:52:08 (*.149.162.28)
몇년전에 벤츠 E calss 브레이크 디스크도 국내업체가 납품했었습니다. 지금은 다른업체가 하고있을수도... 제작기술가 단가 조건이 좋아져서 앞으로 많은 외국업체의 문의가 들어올것 입니다.
2008.12.18 12:54:20 (*.39.151.245)
일단 제가 BMW오너라면 당연히 사용할 것입니다만, 일반 BMW 오너분들은 어떠실지 모르겠습니다^^
예상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1.인터넷쇼핑몰을 통한 판매가 여러가지 측면(입점의 손쉬움 등)에서 효율적이겠지만, BMW소유주 중
인터넷쇼핑몰 접속해서 디스크를 구매할 층은 매우 얇을 것입니다.(일례로 동일한 타이어의 경우
센터가격이 훨씬 비쌉니다만, 더 저렴한 루트를 통하지 않고, 센터에서 많이 교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인터넷쇼핑몰을 통하지 않고, 수입차 전문 수리샵 등에서 취급하게 하는 방법도 있지만, 별도의 영업망이
갖춰져있지 않은 경우에는 입점 및 홍보에 한계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만약 출시된다면 인터넷 쇼핑몰 판매량 보다는 수입차 전문 수리샵 등에서의 판매량이 훨~씬 많을
것 같습니다.
결국은 '영업'과 '수량'이 문제겠습니다^^
예상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1.인터넷쇼핑몰을 통한 판매가 여러가지 측면(입점의 손쉬움 등)에서 효율적이겠지만, BMW소유주 중
인터넷쇼핑몰 접속해서 디스크를 구매할 층은 매우 얇을 것입니다.(일례로 동일한 타이어의 경우
센터가격이 훨씬 비쌉니다만, 더 저렴한 루트를 통하지 않고, 센터에서 많이 교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인터넷쇼핑몰을 통하지 않고, 수입차 전문 수리샵 등에서 취급하게 하는 방법도 있지만, 별도의 영업망이
갖춰져있지 않은 경우에는 입점 및 홍보에 한계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만약 출시된다면 인터넷 쇼핑몰 판매량 보다는 수입차 전문 수리샵 등에서의 판매량이 훨~씬 많을
것 같습니다.
결국은 '영업'과 '수량'이 문제겠습니다^^
2008.12.18 12:54:45 (*.109.154.240)

국산/외산 보다는 순정/비순정으로 구분하는 선호도 때문에 힘들것 같아 보이긴 합니다.
같은 국내 업체 생산이라도, 또는 같은 보쉬 수입품이라도 Carpos 홀로그램인지,Mobis 홀로그램인지에 따라서 선호도는 천양지차니까요. 순정이란 말을 누가 착안했는지는 몰라도 참 머리 하나는 좋은것 같아요. -_-;;;
같은 국내 업체 생산이라도, 또는 같은 보쉬 수입품이라도 Carpos 홀로그램인지,Mobis 홀로그램인지에 따라서 선호도는 천양지차니까요. 순정이란 말을 누가 착안했는지는 몰라도 참 머리 하나는 좋은것 같아요. -_-;;;
2008.12.18 13:03:45 (*.131.217.235)
저도 좀 회의적인 게.. 순정 로터가 어이없을 정도의 가격도 아니고, 순정 로터 가격이면 브렘보 순정형 타공로터도 구할 수 있어서요...무엇보다 금액적인 메리트를 떠나서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우 로터가 소모품이라는 인식이 적다는 점이...이슈일 듯 싶네요..
2008.12.18 13:11:44 (*.115.56.82)
아성을 무너뜨리는데는... 첫째가 성능증명, 둘째가 가격... 이라고 봅니다
BMW는 디스크가 잘 닳아 없어지는것 같은데... (기술적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같거나 더 우수한 제동력을 보이면서 수명은 더 길고 가격은 더싸다면 센터에서 안쓸이유도 없을것 같은데요...
센터에서 국산 호환 부품 찾아서 쓰는것도 본적이 있어서... (오너들이야 싸면 좋은거니까...)
초기엔 어떨지몰라도 오너들사이 입에 오를정도 되면 된다고 봅니다 (BMW 순정부품이 국산보다 허접하더라...정도면...)
BMW는 디스크가 잘 닳아 없어지는것 같은데... (기술적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같거나 더 우수한 제동력을 보이면서 수명은 더 길고 가격은 더싸다면 센터에서 안쓸이유도 없을것 같은데요...
센터에서 국산 호환 부품 찾아서 쓰는것도 본적이 있어서... (오너들이야 싸면 좋은거니까...)
초기엔 어떨지몰라도 오너들사이 입에 오를정도 되면 된다고 봅니다 (BMW 순정부품이 국산보다 허접하더라...정도면...)
2008.12.18 13:39:04 (*.218.52.117)

저는 100% 쓰겠습니다. BMW라면 워낙에 많이 팔려서 잘 팔릴거 같은데요..cafe.daum.net/lovebmw에 가셔서 의견을 수렴해 보는것이 더 낫지 않을까요? 회원수가 4만명에 육박하는 동호회니까요~^^
2008.12.18 14:04:24 (*.25.141.163)

국산이라고 안쓸 이유는 하나도 없는거 같습니다. 이미 국산부품에 대한 인지도는 국산완성차를 넘어선다고 봅니다. 다만 그만큼 가격도 좋았으면 합니다.
2008.12.18 15:23:22 (*.238.41.132)

가격 싸고 성능이야 비슷하다면 저는 국산 씁니다.
많이 싸지는 않을꺼 같습니다만... 그래도 국산제품 씁니다.
이상하게도 수입차 타시는분들중에 테드횐님들 같은 마인드를 가지신 분이 많이 없습니다.
수입차에 국산제품을 사용하면 안좋다 ~~위험하다~~ 라는 평이 많더군요 ㅡㅡ;
우울합니다. 꼭 ~~ 만드셔서 대박나세요^^
bm 말고 다른회사도 만들어 주세요 ㅋㅋㅋ
많이 싸지는 않을꺼 같습니다만... 그래도 국산제품 씁니다.
이상하게도 수입차 타시는분들중에 테드횐님들 같은 마인드를 가지신 분이 많이 없습니다.
수입차에 국산제품을 사용하면 안좋다 ~~위험하다~~ 라는 평이 많더군요 ㅡㅡ;
우울합니다. 꼭 ~~ 만드셔서 대박나세요^^
bm 말고 다른회사도 만들어 주세요 ㅋㅋㅋ
2008.12.18 15:29:31 (*.104.215.55)

저는 지금 주물을 생산하는 일을하고있습니다(품질관리 및 개발)
디스크 같은경우 제품당 금형비가 대충600~800만원 정도 소요되며
가공용지그비 또한 200 만원정도 소요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디스크 소재비는 통상 현대 납품가 대비 10%이상은 비쌀걸로 예상됩니다
규모의 경재죠 그럼 Kg당 약1500원선 그럼 계산나오시죠
가공비는 통상적으로 개당 2만원을 넘지 안죠
디스크를 10kg로 봤을때 소재비 1만5천원 가공비 2만원 해서 2만5천원~3만원 정도
이상 허접한 댓글입니다.
디스크 같은경우 제품당 금형비가 대충600~800만원 정도 소요되며
가공용지그비 또한 200 만원정도 소요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디스크 소재비는 통상 현대 납품가 대비 10%이상은 비쌀걸로 예상됩니다
규모의 경재죠 그럼 Kg당 약1500원선 그럼 계산나오시죠
가공비는 통상적으로 개당 2만원을 넘지 안죠
디스크를 10kg로 봤을때 소재비 1만5천원 가공비 2만원 해서 2만5천원~3만원 정도
이상 허접한 댓글입니다.
2008.12.20 13:33:11 (*.216.159.210)

구할 수만 있다면 국내산을 사용하겠습니다...
우리나라 제조업기술은 이미 상당한 수준으로 알고있습니다.
디스크가 뭐 우주선에 들어가는 부품도 아니구요...
특히 고무류나, 플라스틱류가 국산화 된다면 도시락 싸들고 다니면서 국산을 사용하라고 권하겠습니다.
제 E39의 고무,플라스틱은 정말 메롱입니다.
5년차에 전면유리 아래 부분의 플라스틱이 비스켓처럼 부스러져 버리고, 워셔액 튜브는 아예 빨때처럼 되어
있더군요...
우리나라 제조업기술은 이미 상당한 수준으로 알고있습니다.
디스크가 뭐 우주선에 들어가는 부품도 아니구요...
특히 고무류나, 플라스틱류가 국산화 된다면 도시락 싸들고 다니면서 국산을 사용하라고 권하겠습니다.
제 E39의 고무,플라스틱은 정말 메롱입니다.
5년차에 전면유리 아래 부분의 플라스틱이 비스켓처럼 부스러져 버리고, 워셔액 튜브는 아예 빨때처럼 되어
있더군요...
수요가 나올까 모르겠네요.
차라리 튠 디스크가 나을거 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