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타이어 공기압에 관한 몇가지 일화가 있어서 소개해드릴려합니다.
항상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것이지만 무심코 지나가고 또 무시하기 쉬운것이
타이어 공기압이지요.
(일화1)
와이프가 마티즈를 운전하던 때.. 와이프는 여느 여성운전자 못지않게
차에 관심이 없습니다. 시동걸고 (예열안함..) 바로 출발.....점검이나 세차와는
무관하게 다닙니다. 따라서 점검과 세차는 저의 몫이었죠..ㅎㅎ
어느날 저녁 세차하러 셀프갔다가 (1000원이면 마티즈 세차합니당..ㅋㅋ)
공기압 점검을 해줬는데 뒷바퀴공기압이 10ps 후반대더군요. 헐~~
차를 점검 해준지가 일주일이 넘었는데 도대체 언제부터 펑크가 나있었던건지.._ _+
다음날 펑크수리했죠.
3일후....세차하러 갔다가 다시 타이어 점검.....이런...이번엔 반대쪽 타이어공기압이
역시 10ps 후반.. _ _+ 또 펑크났더군요.
자꾸 펑크나니까 와이프가 불안하다고 하더군요. 이번일을 계기로 차를 바꾸게 되었습니다.
(일화2)
마티즈에서 터비로 차를 바꾼후 얼마되지않아 학교 공터에 세워논 와이프차를
학부형이 뒷범퍼를 비스듬히 가격하는 사고가 났습니다.
차를 공업사에 맞긴후 렌트카를 이용해서 집에 가는 길이었죠. 잠시후 서울로
와이프를 픽업하러 가야했습니다. (고속도로 이용)
혹시나 하는 마음에 타이어 공기압을 점검하러 갔는데...
헐~~ 역시나 였습니다. 운전석 앞바퀴 공기압 20ps, 조수석 앞바퀴 공기압 65ps
??....저는 기계가 고장난줄알고 다시 측정해보았더니 맞더군요. (어떻게 65나 들어가는
지..)... 뒷바퀴모두 공기압이 좀 부족하더군요. 모두 35ps 정도로 맞춘 후 안전하게 서울
로 와이프를 픽업하러 갈 수 있었습니다. 만일 제가 점검을 안했더라면...후~~
상상도 하기 싫더군요. 그날은 비도 부슬부슬 내리는 날이었는데...
요즘 주유소는 셀프로 공기압을 측정할 수 있는 기계가 많더군요.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 이상은 공기압을 점검해봐야 할 듯 싶습니다. ^^*
항상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것이지만 무심코 지나가고 또 무시하기 쉬운것이
타이어 공기압이지요.
(일화1)
와이프가 마티즈를 운전하던 때.. 와이프는 여느 여성운전자 못지않게
차에 관심이 없습니다. 시동걸고 (예열안함..) 바로 출발.....점검이나 세차와는
무관하게 다닙니다. 따라서 점검과 세차는 저의 몫이었죠..ㅎㅎ
어느날 저녁 세차하러 셀프갔다가 (1000원이면 마티즈 세차합니당..ㅋㅋ)
공기압 점검을 해줬는데 뒷바퀴공기압이 10ps 후반대더군요. 헐~~
차를 점검 해준지가 일주일이 넘었는데 도대체 언제부터 펑크가 나있었던건지.._ _+
다음날 펑크수리했죠.
3일후....세차하러 갔다가 다시 타이어 점검.....이런...이번엔 반대쪽 타이어공기압이
역시 10ps 후반.. _ _+ 또 펑크났더군요.
자꾸 펑크나니까 와이프가 불안하다고 하더군요. 이번일을 계기로 차를 바꾸게 되었습니다.
(일화2)
마티즈에서 터비로 차를 바꾼후 얼마되지않아 학교 공터에 세워논 와이프차를
학부형이 뒷범퍼를 비스듬히 가격하는 사고가 났습니다.
차를 공업사에 맞긴후 렌트카를 이용해서 집에 가는 길이었죠. 잠시후 서울로
와이프를 픽업하러 가야했습니다. (고속도로 이용)
혹시나 하는 마음에 타이어 공기압을 점검하러 갔는데...
헐~~ 역시나 였습니다. 운전석 앞바퀴 공기압 20ps, 조수석 앞바퀴 공기압 65ps
??....저는 기계가 고장난줄알고 다시 측정해보았더니 맞더군요. (어떻게 65나 들어가는
지..)... 뒷바퀴모두 공기압이 좀 부족하더군요. 모두 35ps 정도로 맞춘 후 안전하게 서울
로 와이프를 픽업하러 갈 수 있었습니다. 만일 제가 점검을 안했더라면...후~~
상상도 하기 싫더군요. 그날은 비도 부슬부슬 내리는 날이었는데...
요즘 주유소는 셀프로 공기압을 측정할 수 있는 기계가 많더군요.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 이상은 공기압을 점검해봐야 할 듯 싶습니다. ^^*
2006.06.29 13:33:13 (*.13.98.63)
공기압 측정 기계가 기계마다 오차가 좀 있더군요. 그래서 절대값을 갖는 놈이 필요하다 싶었는데, 마침 아는 동호회 후배가 선물해 줘서 그걸 기준으로 삼습니다.
2006.06.29 13:42:35 (*.254.212.129)

공기압 측정 너무 어렵습니다..^^ 기계식 측정기를 씁니다만, 노면도 고르고 짐도 없는 상태, 날씨가 너무 뜨겁지 않은 상태..등등 고려해야 할 상황은 많은데..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조건 무시하고, 똑같이 맞추면 안될 것 같긴한데..
고수님들은 어떻게 하세요.? ^^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조건 무시하고, 똑같이 맞추면 안될 것 같긴한데..
고수님들은 어떻게 하세요.? ^^
2006.06.29 13:49:03 (*.214.84.253)

어차피 대기압/기온이라는 변수가 있기 때문에 항상 절대적으로 같은 값을 맞추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측정시까지의 운행 조건만 동일하게 맞춰 주시는 정도면 충분할것 같습니다. 제 경우는 측정장비가 있는곳에 차를 2시간 정도 버려뒀다가 타이어에 더이상 열기가 없다고 판단될 때 측정하곤 합니다.
저도 고수님들의 측정법이 궁금하군요.. ^^;
저도 고수님들의 측정법이 궁금하군요.. ^^;
2006.06.29 15:38:12 (*.55.192.254)

늘 지하주차장에 있기 때문에 매주 한 번정도는 출근시 시동 걸고 체크하는 습관이 되어버렸습니다. 혹시 장거리 여행이나 긴 고속도를 타야할 땐 꼭 체크하고 출발하고요. 여행다닐땐 꼭 지참합니다. 여행중에 펑크 알아낸 경우 두 번이고 집에서 펑크 알아낸 경우 2번 으로 참 요긴했습니다. 아버님께서 차타고 놀러오시면 가시기전에 꼭 체크하고 부족분 넣어드리고... 직장 지하주차장엔 제가 주장해서 컴프레서 & 주입기 사놓았구요.
2만원여 하는 디지털식으로 소수점 이하 한자리 33.5 psi 등으로 나옵니다. 다른 기계와 오차는 있을지 모르지만 열번을 체크해도 같은 수치가 나오는 일관성은 확실해서 믿고 씁니다. 타이어집에서 디지털자동차단식 주입기로 넣은 직후 확인해보면 1 psi 이내의 오차를 보여서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차가 두대라서 좀 앙증맞은 놈으로 하나 더 주문할까 하는데...
2만원여 하는 디지털식으로 소수점 이하 한자리 33.5 psi 등으로 나옵니다. 다른 기계와 오차는 있을지 모르지만 열번을 체크해도 같은 수치가 나오는 일관성은 확실해서 믿고 씁니다. 타이어집에서 디지털자동차단식 주입기로 넣은 직후 확인해보면 1 psi 이내의 오차를 보여서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차가 두대라서 좀 앙증맞은 놈으로 하나 더 주문할까 하는데...
2006.06.29 16:13:16 (*.68.16.174)

저도 시동 걸때마다 체크합니다. 트렁크에 에어컴프레서와 디지털 게이지를 항상 휴대하는데..가장 요긴했던건... !! 농구하러 갔다가 공이 없어서 바람빠진 공 주워다가 컴프레서로 바람채워줬더니 연구실 사람들이 너무 좋아하더군요.. ㅋㅋ
2006.06.29 17:06:52 (*.144.184.106)

저두 트렁크에 컴프레서와 헬라 게이지가 놀고 있는데, 게이지는 가끔 쓰지만, 컴프레서는 안쓰고, 수리하러간 가게꺼만 주로 쓰네요.
2006.06.29 18:30:24 (*.149.149.79)

저도 생각날때마다 웜업 하는동안 체크합니다.
게이지만 잇어서 카센터가서 33으로 맞추어 주세요 하고
나중에 제가 빼서 31-30 이나 32-31로 맞추지요...
근데 한번은 33에 맞추어 달라고 햇더니 31-30 이던것을 빼더군요
게이지마다 오차가 심해서...ㅡ.ㅡ+ 여튼 공기압 체크는 필수인듯....^^
게이지만 잇어서 카센터가서 33으로 맞추어 주세요 하고
나중에 제가 빼서 31-30 이나 32-31로 맞추지요...
근데 한번은 33에 맞추어 달라고 햇더니 31-30 이던것을 빼더군요
게이지마다 오차가 심해서...ㅡ.ㅡ+ 여튼 공기압 체크는 필수인듯....^^
2006.06.29 20:12:00 (*.229.169.253)

8천원짜리 발펌프도 그런대로 급한 때 쓸만 합니다. 조금 모자라는 정도는 발펌프로도 충분히 커버가 되니까요. 서킷에 가서도 유용하게 쓰죠. 저는 공구통에 발펌프와 공기압게이지를 항상 넣어 다니면서 생각날 때 마다 체크해 봅니다. 직장 동료들 차도 한번씩 체크해 주기도 하구요.
2006.06.29 22:52:11 (*.210.50.5)

미국에서는 조만간 휠에 디지털 체크기기가 아예 붙어서 나올거라고 하더군요
한국에서 만들었는데 한국도 썻으면 좋을듯한 정보는 시가잭에 꽂으면
무선으로 통신해서 알려준다고 ^^(30만원정도 한다고 들었어요)
한국에서 만들었는데 한국도 썻으면 좋을듯한 정보는 시가잭에 꽂으면
무선으로 통신해서 알려준다고 ^^(30만원정도 한다고 들었어요)
2006.06.29 22:53:03 (*.91.9.227)

90년대까지는 엔진오일갈러 카센터 갈 때 공기압 확인하는 정도였는데 별로 성의있게 해주지 않어 6년전부터 헬라 공기압 게이지와 발펌프를 사서 매달 직접 체크하고 있습니다. 정확도도 꽤 높아서 아주 유용합니다.
2006.06.30 02:12:07 (*.68.53.62)

병준님. 발펌프는 좀 열심히? 밟다보면 연결 부위가 부서지더군요. 저는 하루에 두번이나 부서져서 교환했는데 또 부서져서 결국 컴프레서로 교환해왔습니다..^^
2006.06.30 12:41:06 (*.55.192.254)

쩝, 제 글에 오류가 있었나요? 디지털 게이지가 2만원 정도구요. 다용도 컴프레서+주입기는 중국산으로 구입하면 10만원 안쪽에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단, 전원공급과 크기 땜에 휴대 불가구요. 휴대용으론 발펌프의 내구성이 너무 허접해서 시가잭용(매우 소음은 심함) 펌프가 그럭저럭 인내심 갖고 쓸만은 하더군요. 3~5만원선... / 국산화된 휠에 붙는 체크기(TPMS의 일종)는 수은전지를 사용하므로 영구적이진 않지만, 수은전지를 필요시만 사용하는 절전기능이 핵심이므로 3년정도는 끄떡없다는 군요, 수신기에 PSI 단위로 수치가 표시되는데, 30여만원을 투자할 가치가 있을지... 공기압변화가 중요한 주행이라면 몰라도...
법으로 TPMS이 일반화 될 날도 가까운듯...
법으로 TPMS이 일반화 될 날도 가까운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