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_208.jpg)
우선 명근님 사고처리 잘 되기를 바라구요, 무엇보다 확인서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전운전의무 불이행으로 딱지를 하나 받더라도 경찰서에서 신고하고 처리하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위에 글들을 읽어보면, '자식 가진 부모'의 입장과 '운전자'의 입장이 교차하는 듯 합니다. ^^; 저도 둘에 모두 속하고, 특히나 애들이 6세, 7세인 연년생 부모여서 더욱이나 남의 일 같지 않습니다. 위에 사진은 올해 4월쯤에 찍은 겁니다. 저도 애들하고 잘 놀아주고 이거저거 다 받아주는 편입니다만, 식당 등의 공공장소에서 떠들고 오바하는 것과 길거리 다닐 때 조심하는 것, 차 안에서 유아용 시트에 앉히는 것 등 몇가지 원칙만 세우고 무슨 일이 있어도 지켜냅니다.
저는 애들 이틀까지 굶겨 봤습니다. 밥 안먹고 과자 사달라고 징징거려서..
카 시트 안타고 가겠다는 말에 동생은 집에 놔두고 오빠만 데리고 영화보러간 적도 있습니다.
길 바닥에서 장난하고 위와 같은 일이 있을 때는
남이야 뭐라건 현장에서 확실하게 머리속에, 아니 몸이 기억하도록 열라 두들겨 팼습니다.
그 덕에 우리 애들 어디가서 '버릇 없다, 시끄럽다' 이런 이야기 한번도 못들어 봤습니다.
되려 '요즘 애들 같지 않네'가 별명처럼 되었죠. 뿌듯 합니다.
가끔 대중 교통 수단 이용할 때도 가능하면 자리에 앉지 않습니다.
경로석이 있기는 하지만 일반 좌석도 어른들이 먼저 앉는 것이 예의지요.
물론 서서 가면서 더 재미있게 놀아줍니다. 시끄럽지 않게..
뭐... 요즘 애들 요즘 애들 어쩌구해도.. 결국 부모 하기 나름입니다.
부모가 원칙과 소신을 가지고 일관성만 유지한다면,
아이들도 당연히 그에 따르고 바르게 자라게 될 겁니다.
여기까지는 부모 입장이고..
운전자 입장에서 보면,
가끔은 차 몰고 다니는 일이 부담스럽기까지 합니다.
저 어렸을 때를 생각해보면 동네가 그냥 놀이터였거든요.
차는 정말 가끔 다녔고, 차가 나타나면 구경하는 재미에 그냥 반가웠었습니다.
차 몰고 다니는 분들은 다 동네 어른들이었고..
그런데 요즘 애들 보면,
자동차 없는, 넓고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이 없습니다.
기껏해야 한강 둔치나 놀이공원처럼 '차'를 타고 이동해야 하는 곳이거나,
혹은 아파트안 놀이터 정도..
그런 면에서 차를 운전하고 다니는 것이
아이들의 놀이 공간을 침범하고 있다는 생각까지 들더군요.
얼마전 아들넘이 두바퀴 자전거(보조 바퀴를 떼어 냈습니다. ㅋㅋ)를 타게 된 후,
자전거 타기가 더 재미없어졌다는 겁니다.
아무래도 보조바퀴가 달린 네발 자전거는 속도도 느리고 힘도 들었겠지만,
두발 자전거가 되고 나니 속도가 빨라져 아파트 안에서 빙빙 돌려니 뻔해 진거죠.
차가 생기면 이동거리가 늘어나고 생활 환경이 확장되는 것과 같겠죠.
그렇다고 아파트 단지 밖으로 나가라고 하기도 찝찝합니다.
좁은 골목에 워낙 차가 많이 다녀 내보내기는 불안하거든요.
게다가 집에 일찍 가서 같이 놀아줄 겨를조차 없으니.. ㅡㅡ;
결국 부모 입장으로 돌아왔습니다만. ^^;;;
어차피 아이들은 빨간 신호등입니다.
전 빨간 신호등을 보고 멈추었는데, 신호등이 달려와 부딛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
그렇더라도 이건 한번 생각해봤으면 싶습니다.
과연 주차장에서 아이들이 노는 것일까요?
아니면 아이들이 놀 공간에 차를 세워 둔 것일까요?
요즘 만드는 아파트들이 지상 주차장을 없애는 추세죠?
정말 두 손들고 환영할 일입니다.
요즘 환경이 좋아졌다고는 하지만,
저 어렸을 때랑 비교해보면 절대로 그렇게 생각이 안듭니다.
경쟁은 더 심해졌고, 배워야 할 것은 더 많아졌고,
먹는 거는 더 조심해야하고.. ㅡㅡ; 갑자기 뚜껑이 열릴려는.. 으윽..
아이들은 내 아이이건 다른 사람 아이이건 상관없습니다.
그냥 보호하고 양보하고 도와줘야 할 듯 싶습니다.
아침에 괜히 여러 생각이 들게 되는 군요.. ^^
2006.07.20 08:57:55 (*.144.184.106)

그게 아이들이 움직이는 빨간 신호등이란 말에 절대 공감이지요. 그렇지 못한 상황을 겪고나서 더 절감했습니다.
어릴때 교육 중요합니다. 중학생이나 되었는데도 대로 반대편에 스쿨버스 도착하는걸보고는 좌우 안보고 뛰어드는 아이들에게 크게 당한뒤로는 더욱 그렇습니다.
어릴때 교육 중요합니다. 중학생이나 되었는데도 대로 반대편에 스쿨버스 도착하는걸보고는 좌우 안보고 뛰어드는 아이들에게 크게 당한뒤로는 더욱 그렇습니다.
2006.07.20 09:28:56 (*.140.41.226)

정말 아드님이 동희님과 많이 닮았네요..ㅎㅎ
울 딸래미는 어찌하여 사과장수를 닮았는지..(ㅡ,.ㅡ")
易地思之란 한자성어를 우리가 쉽게 사용하기는 하지만.. 사실, 겪어보기 전에는 진심으로 알기가 어렵죠..
저는 모든것이 조금씩 나아지리라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사는 편입니다..
공감가는 글.. 잘 읽었습니다..쿠쿠.(^^*)
울 딸래미는 어찌하여 사과장수를 닮았는지..(ㅡ,.ㅡ")
易地思之란 한자성어를 우리가 쉽게 사용하기는 하지만.. 사실, 겪어보기 전에는 진심으로 알기가 어렵죠..
저는 모든것이 조금씩 나아지리라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사는 편입니다..
공감가는 글.. 잘 읽었습니다..쿠쿠.(^^*)
2006.07.20 09:43:58 (*.147.76.64)
이익렬님 말씀에 한표보탭니다. 아무리 작은 뒷골목길이라도 일단 사람이 발을 들여놓으면
경차든 덤프트럭이든 무조건 서더군요...
경차든 덤프트럭이든 무조건 서더군요...
2006.07.20 10:18:48 (*.74.230.252)

다른건 모르겠고, 제발 골목길 과속만은 우리모두 삼가했으면 합니다. 골목길 과속시 발생하는 돌발사태는 그야말로 불가항력적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제 아이도 이제 4살인디.. 아들한테 부모 잘만난줄 알라고 합니다. 흐흐. 햄버거도 잘먹이고, 콜라도 잘 먹이고 하거든요. 가리는것 없이 먹이자, 추가로 음식의 역차별도 없다~ 는 .... 그래도 아무런 강요안해도 차츰 김치도 달라고 하고 그러더군요. 길거리등에서 크게 혼내본적 없지만, 길가다가도 차 소리만 들리면 부모옆에 찰싹 붙어버립니다. 너무 겁이 많은것 같지만, 그 반대의 경우를 생각해 보면, 이게 더 맘편한것 같습니다.
갓났을때부터 카시트를 태워온지라 카시트를 안타고 차를 탄다는걸 아얘 몰라서 그런지 카시트 안탄다고 떼를 쓴 적도 없습니다. 즉, 카시트 습관은 카시트 없인 차 못탄다는 원칙을 부모부터 지키면 아이도 그걸로 떼를 쓰진 않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 고쳐야하는것 - 밥먹으며 돌아댕기기, 발까락 다친 후부터 부모옆에서 잠자는거 떼어놓기, 가끔 이유없이 떼쓰는것... 크크크
제 아이도 이제 4살인디.. 아들한테 부모 잘만난줄 알라고 합니다. 흐흐. 햄버거도 잘먹이고, 콜라도 잘 먹이고 하거든요. 가리는것 없이 먹이자, 추가로 음식의 역차별도 없다~ 는 .... 그래도 아무런 강요안해도 차츰 김치도 달라고 하고 그러더군요. 길거리등에서 크게 혼내본적 없지만, 길가다가도 차 소리만 들리면 부모옆에 찰싹 붙어버립니다. 너무 겁이 많은것 같지만, 그 반대의 경우를 생각해 보면, 이게 더 맘편한것 같습니다.
갓났을때부터 카시트를 태워온지라 카시트를 안타고 차를 탄다는걸 아얘 몰라서 그런지 카시트 안탄다고 떼를 쓴 적도 없습니다. 즉, 카시트 습관은 카시트 없인 차 못탄다는 원칙을 부모부터 지키면 아이도 그걸로 떼를 쓰진 않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 고쳐야하는것 - 밥먹으며 돌아댕기기, 발까락 다친 후부터 부모옆에서 잠자는거 떼어놓기, 가끔 이유없이 떼쓰는것... 크크크
2006.07.20 10:55:09 (*.149.56.132)

눈을 감으면 사고가 자꾸 떠오르는군요.. ㅠㅠ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속도인 30km/h 보다 낮은
약20km/h 에서도 정지거리가 10cm 정도 모자랐는데
그 이상의 속도에서 치었더라면 어떻게 돼었을까
생각하니 무섭네요..
저희 부모님도 한때 스포츠드라이빙(1세대이신듯..)을 하셨었지만
제가 항상 보고 배운건 주택가에서는 절대 서행 이었습니다
아이가 안다친건 다행인데..
부모가 돈을 원하니 씁쓸합니다..
프로미가 알아서 해주겠지요.. (동부화제)
모두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__)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속도인 30km/h 보다 낮은
약20km/h 에서도 정지거리가 10cm 정도 모자랐는데
그 이상의 속도에서 치었더라면 어떻게 돼었을까
생각하니 무섭네요..
저희 부모님도 한때 스포츠드라이빙(1세대이신듯..)을 하셨었지만
제가 항상 보고 배운건 주택가에서는 절대 서행 이었습니다
아이가 안다친건 다행인데..
부모가 돈을 원하니 씁쓸합니다..
프로미가 알아서 해주겠지요.. (동부화제)
모두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__)
2006.07.20 11:03:52 (*.74.253.23)

꽉막힌 골목길에서 사람이 뻔히 다는게 횡하고 다니는 사람들을 보면
너무하다 싶습니다.
자기 식구들이 걸어다니는데도 그럴지 의심스러워요.
오늘 아파트에서 바라본 풍경이엿습니다.
너무하다 싶습니다.
자기 식구들이 걸어다니는데도 그럴지 의심스러워요.
오늘 아파트에서 바라본 풍경이엿습니다.
2006.07.20 14:00:14 (*.113.120.183)
'맞은 놈은 두자리 뻗고 자도 때린놈은 맘편히 못잔다'는 옛속담이 있지만
맞은 놈의 부모는 정말 밤잠을 설치게됩니다. 애마의 손상이나 헛돈은 몇년 후면 잊혀 버릴거지만 자식이 조금만 흠이 생겨도
부모는 받아들이는 것이 다를 수 있습니다.(때론 과잉반응도 있지만)
개인적인 얘기지만,
골목길 사고로 다리를 절룩거리는 동네 얘를 보고 상의끝에 학교가 가까운 곳으로
이사했습니다.
부모 마음으로 조금만 이해하시고,운전자 보행자 모두 안전운전하세요.
맞은 놈의 부모는 정말 밤잠을 설치게됩니다. 애마의 손상이나 헛돈은 몇년 후면 잊혀 버릴거지만 자식이 조금만 흠이 생겨도
부모는 받아들이는 것이 다를 수 있습니다.(때론 과잉반응도 있지만)
개인적인 얘기지만,
골목길 사고로 다리를 절룩거리는 동네 얘를 보고 상의끝에 학교가 가까운 곳으로
이사했습니다.
부모 마음으로 조금만 이해하시고,운전자 보행자 모두 안전운전하세요.
2006.07.20 17:00:56 (*.9.133.221)
골목에서 길로 이어는 곳에서 길에서 달리는 차 위주로 골목차들이 운전을 해야지 골목에 차없다고 개념없이 이어지는 곳까지 튀어나어면서 급정거 하는 사람들.. 정지 싸인 무시하는 사람들.. 주거지 지역/횡단보도에서 천천히 운전 하는 기본적인 커먼센스들이 결여된 우리나라.. 경찰의 무서운 단속에서 살던 저에겐..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입니다.
2006.07.20 21:37:28 (*.219.0.69)

윤명근님 그래서 제가 경찰서에 신고해 딱지 하나 끊으시고 경찰 있는 곳에서 확인서 하나 받으시는 편이 더 나을 수도 있다는 겁니다.
애들 버릇 잡는 거 간단합니다.
경고 1회, 경고 2회, 경고 3번째에서는 반드시 매를 맞는다. <-이게 기준입니다.
경고1~2회 때는 분명하게 이유를 이야기합니다. 대충 네살 정도부터 말이 통하더군요.
"아빠는 네가 XXX 하는거 싫다. XXX하면 너 한테도 OOO하게 안좋고, 아빠나 엄마도 ZZZ해져서 기분이 나쁘다. 그러니까 하지 말아라. 첫번째 이야기 했다"
그 다음에 또 그러면 한번 더 경고를 줍니다.
"아빠가 XXX 하지 말라고 했지? OOO해서 안좋고, ZZZ해서 싫다고 했지? 또 할꺼야?"
그러고 또 하면 최후 통첩을 날립니다.
"아빠가 XXX 하면 싫다고 이번이 세번째 이야기하는거야. 맞지? 한번 더 하면 엉덩이 맞을 거야. 알았지?"
그 다음에 또 하면 정말 가차없이 때립니다. 그 때도 이야기해야죠.
"아빠가 XXX하면 어떻게 한다고 했지? 니가 약속 어겼으니까 엉덩이 대."
하면 안되는 이유 설명->경고1회->경고2회->경고3회->체벌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반드시 아이에게 설명하고 납득시키고 논리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방식이 몇 가지 원칙, 그러니까 식당에서 밥 안먹는다거나(물론 예외는 있습니다. 안먹겠다고 하면 몇 번 더 물어보고 얼마만큼만 더 먹은 다음에 그만 먹으라고 합니다. 물론 배고프다고 해도 절대로 아무것도 안줍니다. '너 아까 밥 안먹는다고 했으니까 없어' 역시 원칙의 문제죠.), 공공장소에서 뛰어다닌다거나, 무조건 떼를 쓰는 것들은 가차없이 위의 3번 경고 후에 벌을 받는다는 원칙을 지키는 것이죠.
일단 이 방법이 기준으로 세워지면 대체로 경고 1~2에서 해결됩니다. 정말 애들 다루기 편해지고 애들 버릇도 확실하게 고쳐집니다.
대신 아이가 '실수'한 것은 관대하게 용서해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자면 밤에 쉬야를 했다거나, 놀다가 뭔가를 부셨다거나, 다쳤다던가 등등이죠. 이럴 때는 감싸주고 실수한 것을 아니까 괜찮다고 애를 위로해줍니다.
무조건 오냐오냐는 절대로 아니지만 그렇다고 폭군 아버지도 아닙니다.
결국 원칙을 납득시키고 소신을 지켜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죠.
또한 부모가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안됩니다.
내 기분이 아무리 나쁘더라도, 단순히 화가나서 때리거나 혼을 내는 것이 아니라 논리를 심어주고 그 논리에 따라 혼을 내고 약속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부모도 사람이기 때문에 가장 힘든 일이기도 합니다.
또 힘든 부분은 애들만 보면 오냐오냐 하시는 할아버지할머니와 다른 친척들이 있을 때 이 원칙을 지키는 일입니다.
처가에 있으면서 제 딸이 잘못한 거를 혼낼 때, 장인어른이 얼마나 섭섭해 하시는지는 그 자리에 있어야 느끼고 알게되는 일입니다. 하지만 그것도 한두번 장소/사람에 구별없이 원칙이 지켜진다는 걸 애들이 깨닳으면 어렵지 않습니다.
어쩌다가 이렇게 육아 이야기로 빠졌는지.. ^^;;;
테드의 많은 어린이 부모들과 예비 아빠엄마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애들 버릇 잡는 거 간단합니다.
경고 1회, 경고 2회, 경고 3번째에서는 반드시 매를 맞는다. <-이게 기준입니다.
경고1~2회 때는 분명하게 이유를 이야기합니다. 대충 네살 정도부터 말이 통하더군요.
"아빠는 네가 XXX 하는거 싫다. XXX하면 너 한테도 OOO하게 안좋고, 아빠나 엄마도 ZZZ해져서 기분이 나쁘다. 그러니까 하지 말아라. 첫번째 이야기 했다"
그 다음에 또 그러면 한번 더 경고를 줍니다.
"아빠가 XXX 하지 말라고 했지? OOO해서 안좋고, ZZZ해서 싫다고 했지? 또 할꺼야?"
그러고 또 하면 최후 통첩을 날립니다.
"아빠가 XXX 하면 싫다고 이번이 세번째 이야기하는거야. 맞지? 한번 더 하면 엉덩이 맞을 거야. 알았지?"
그 다음에 또 하면 정말 가차없이 때립니다. 그 때도 이야기해야죠.
"아빠가 XXX하면 어떻게 한다고 했지? 니가 약속 어겼으니까 엉덩이 대."
하면 안되는 이유 설명->경고1회->경고2회->경고3회->체벌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반드시 아이에게 설명하고 납득시키고 논리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방식이 몇 가지 원칙, 그러니까 식당에서 밥 안먹는다거나(물론 예외는 있습니다. 안먹겠다고 하면 몇 번 더 물어보고 얼마만큼만 더 먹은 다음에 그만 먹으라고 합니다. 물론 배고프다고 해도 절대로 아무것도 안줍니다. '너 아까 밥 안먹는다고 했으니까 없어' 역시 원칙의 문제죠.), 공공장소에서 뛰어다닌다거나, 무조건 떼를 쓰는 것들은 가차없이 위의 3번 경고 후에 벌을 받는다는 원칙을 지키는 것이죠.
일단 이 방법이 기준으로 세워지면 대체로 경고 1~2에서 해결됩니다. 정말 애들 다루기 편해지고 애들 버릇도 확실하게 고쳐집니다.
대신 아이가 '실수'한 것은 관대하게 용서해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자면 밤에 쉬야를 했다거나, 놀다가 뭔가를 부셨다거나, 다쳤다던가 등등이죠. 이럴 때는 감싸주고 실수한 것을 아니까 괜찮다고 애를 위로해줍니다.
무조건 오냐오냐는 절대로 아니지만 그렇다고 폭군 아버지도 아닙니다.
결국 원칙을 납득시키고 소신을 지켜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죠.
또한 부모가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안됩니다.
내 기분이 아무리 나쁘더라도, 단순히 화가나서 때리거나 혼을 내는 것이 아니라 논리를 심어주고 그 논리에 따라 혼을 내고 약속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부모도 사람이기 때문에 가장 힘든 일이기도 합니다.
또 힘든 부분은 애들만 보면 오냐오냐 하시는 할아버지할머니와 다른 친척들이 있을 때 이 원칙을 지키는 일입니다.
처가에 있으면서 제 딸이 잘못한 거를 혼낼 때, 장인어른이 얼마나 섭섭해 하시는지는 그 자리에 있어야 느끼고 알게되는 일입니다. 하지만 그것도 한두번 장소/사람에 구별없이 원칙이 지켜진다는 걸 애들이 깨닳으면 어렵지 않습니다.
어쩌다가 이렇게 육아 이야기로 빠졌는지.. ^^;;;
테드의 많은 어린이 부모들과 예비 아빠엄마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2006.07.21 02:48:34 (*.145.76.171)

ㅋㅋㅋ동희님 넘웃겨요~ㅎㅎ
미치겠다..울아들넘 어릴때 교육방식과 비슷하네요.
나중에 고딩 들어가 180에 100키로쯤 되보세요.. 매를 드는 횟수는 훨씬 줄어들어 일년에 한번정도 푸닥거리를 하는데, 그럴때 죄목은 엄마한테 무례함을 반복했을때입니다. 근데 문제는.. 무섭게 호통을 치는데, 함께 소리치며 반항하는겁니다.
조금 흥분을 해 쿠션을 집어던졌는데 이눔이..턱 받아서 되던지는거있죠.ㅎㅎ 다음 순간은.. 죽도를 꺼내 배 얼굴 머리..구분없이 반 죽여놓는데, 반항이 만만치 않아집니다. 그래서 요즘은..아들넘한테 안밀릴라고 격투기 중계같은거 틈틈이 열심히 보면서, '싸움의 기술'을 연구한답니다. ㅋㅋ
미치겠다..울아들넘 어릴때 교육방식과 비슷하네요.
나중에 고딩 들어가 180에 100키로쯤 되보세요.. 매를 드는 횟수는 훨씬 줄어들어 일년에 한번정도 푸닥거리를 하는데, 그럴때 죄목은 엄마한테 무례함을 반복했을때입니다. 근데 문제는.. 무섭게 호통을 치는데, 함께 소리치며 반항하는겁니다.
조금 흥분을 해 쿠션을 집어던졌는데 이눔이..턱 받아서 되던지는거있죠.ㅎㅎ 다음 순간은.. 죽도를 꺼내 배 얼굴 머리..구분없이 반 죽여놓는데, 반항이 만만치 않아집니다. 그래서 요즘은..아들넘한테 안밀릴라고 격투기 중계같은거 틈틈이 열심히 보면서, '싸움의 기술'을 연구한답니다. ㅋㅋ
도쿄에서 잠시 머물러 보니, 인도를걷다가 짧은 골목입구를 지나기 한참전인데도 골목으로 들어오려던 차량들이 차분히 기다려 주더군요. 거의 모든차량들이 그랬습니다. 자동차 선진국으로서의 오너의식에 경외심이 듭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