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지난 5월 1일 하노버에서 있었던 Kafer Treffen이라는 이름의 행사에서 찍은 사진들입니다. 이 행사는 폭스바겐 공냉식 차들의 잔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노버로 향하는 아우토반에서 페라리 456 GT와 250km/h을 넘나드는 속도로 함께 했었는데, 오너가 백발의 할아버지였고, 역시 백발의 아내와 함께 고속드라이빙을 즐기는 중이셨습니다. 아마 456 GT는 순간 속도 290km/h가까이 달리지 않았나 싶을 정도로 엄청나게 빨리 달리시는 분이셨습니다. 속도제한 구역에서 속도가 줄었을 때 옆으로 오시더니 엄지를 올려주셔서 특히 기억에 남는 하루였습니다.

550 스파이더는 레플리카를 서킷에서 타본 경험이 있고, 개인적으로 아주 좋아하는 모델이며, 보트형으로 만들어진 차체는 생각보다 상당히 단단한 느낌이었습니다.





워낙 많은 방문객들로 인해 차를 세울 곳이 마땅치 않아 인도 나무그늘에 세워두었는데, 경찰들이 아예 인도로 차를 올리라고 안내를 하더군요.

2차대전 때 사용되었던 군용차들도 대부분 폭스바겐에서 제작된 것들입니다.

유럽 전체를 커버하는 행사인만큼 엄청나게 많은 차들이 행사장을 찾았습니다.







카만 기어 역시 스페셜 모델중에 하나이며, 상태 좋은 녀석들의 가격은 엄청납니다. 한국에 두대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환자들의 차량 관리와 세차는 때와 장소를 안가리지요.

이 정도로 관리하느라고 여자친구와 헤어질 것 각오하지 않으면 안되지요.







550 스파이더를 베이스로 만든 경주용 차량인 듯 보이는데, 자세한 설명은 권규혁께 돌립니다.





유럽 전역에서 몰려온 올드 비틀의 모습은 과히 장관이었습니다.
지금은 단종되었지만 비틀은 독일 자동차 역사에 아주 중요한 모델입니다.
예전에 닥터 포르쉐의 일대기를 엔지니어로서 조명한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는데, 30년대 히틀러의 제안에 의해 비틀을 개발할 때 붙여졌던 국민차의 개념은 사실 우리가 이해하는 것과는 약간 다른 개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시 이 국민차의 국민은 서민이나 평민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게르만을 만족시킬 수 있는 그리고 기술적으로 앞서있는 차가 바로 히틀러가 생각하는 국민차였던 것이지요.
2차대전의 패배로 인해 독일은 혹독한 대가를 치른 마당에 게르만의 우수성 어쩌고하는 말을 지껄이는 것이 독일인들 입장에서 정서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사람들이 입에 올리지 않을 뿐이지 당시를 살았던 많은 증인들 그중에서도 페르디난트 피에히 박사 바로 전 폭스바겐 그룹 CEO였던 칼 한 박사의 당시를 회상하는 회고는 너무도 명확하게 비틀의 개발 배경 및 목적을 설명하고 있었습니다.
비틀이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한 45년도 당시의 자동차 산업을 되돌아보면 비틀은 이미 경쟁차량보다 기술적으로 성능적으로 월등히 앞선 차였고, 리터당 12.5km를 달릴 수 있고 최고속 120km/h로 주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상당히 진보된 차량이었습니다.
포르쉐 박사가 비틀을 개발할 당시 포르쉐 박사가 생각하는 내구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예정보다 개발이 늦어진 배경 역시 완성도가 높은 차를 개발하겠다는 강한 자존심 때문이었고, 히틀러는 비틀의 모양에는 그다지 좋은 평가를 내리지 않았지만 주행성능 자체에 대해서는 상당히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고 합니다.
2차 대전의 전범인 히틀러에 협조했다는 이유로 포르쉐 박사는 물론 포르쉐 집안 전체가 폭스바겐의 경영은 물론 폭스바겐이 비틀의 100만대, 200만대 생산 돌파와 같은 커다른 행사가 있을 때마다 철저히 배제된 것은 포르쉐 집안으로서는 분명 앙금이었을 것입니다.
60년이 지난 지금 포르쉐와 폭스바겐은 어떻게 변했나요?
포르쉐 박사의 외손자인 피에히 박사의 의도에 의해 포르쉐는 폭스바겐의 지분율을 올해 31%까지 높였고, 이제 대주주로서의 권한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혹자는 폭스바겐이 원래의 주인에게 돌아간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만 제 생각에 피에히 박사는 할아버지의 한을 풀고 잃어버린 가문의 영광을 되찾아야한다는 어마어마한 야망을 가졌던 것 같습니다.
결과만 놓고 본다면 폭스바겐은 적대적 인수합병에서 완전하게 자유로워졌기 때문에 포르쉐가 폭스바겐 지분율을 높인 것에 대한 국민적 환영을 받을 수 있었고, 폭스바겐의 R&D 및 프로덕트 기획에 대해 관여 내지는 공유할 수 있는 엄청난 혜택을 누리게 되었습니다.
부가티 베이롱을 만들 수 있었던 폭스바겐의 R&D는 역대 최강의 엄청난 지원을 받아왔던 엔지니어들에게는 성지나 다름없고, 게다가 새로 부임한 빈터콘 폭스바겐 그룹 회장은 둘째 가라면 서러울 엔지니어이기 때문에 폭스바겐 그룹은 다시한번 기술이미지를 높이는 도약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testkwon-
- IMG_8636.jpg (114.7KB)(0)
- IMG_8638.jpg (169.3KB)(0)
- IMG_8642.jpg (168.4KB)(0)
- IMG_8646.jpg (158.0KB)(0)
- IMG_8651.jpg (163.1KB)(0)
- IMG_8652.jpg (127.0KB)(1)
- IMG_8655.jpg (157.1KB)(0)
- IMG_8656.jpg (139.9KB)(0)
- IMG_8660.jpg (139.5KB)(0)
- IMG_8661.jpg (151.3KB)(0)
- IMG_8662.jpg (156.5KB)(0)
- IMG_8663.jpg (129.9KB)(0)
- IMG_8664.jpg (142.9KB)(0)
- IMG_8666.jpg (153.7KB)(0)
- IMG_8669.jpg (116.3KB)(0)
- IMG_8671.jpg (151.9KB)(0)
- IMG_8672.jpg (169.9KB)(0)
- IMG_8673.jpg (165.7KB)(0)
- IMG_8674.jpg (165.7KB)(0)
- IMG_8675.jpg (159.8KB)(0)
- IMG_8676.jpg (120.2KB)(0)
- IMG_8677.jpg (144.3KB)(0)
- IMG_8678.jpg (173.6KB)(0)
- IMG_8681.jpg (151.5KB)(0)
- IMG_8682.jpg (142.7KB)(0)
- IMG_8686.jpg (152.7KB)(0)
- IMG_8687.jpg (136.7KB)(0)
- IMG_8688.jpg (164.3KB)(0)
- IMG_8690.jpg (107.7KB)(0)
- IMG_8691.jpg (179.7KB)(0)
2007.06.20 06:50:55 (*.192.246.239)

히야아.. 빨간 비틀 카리브올레와 마이크로버스를 얼마전 아는형네 아파트 주차장에서 만났습니다. 참 재밌더군요. 특히 여기서 올드 비틀은 가끔 보지만 카리브올레는 처음이라 눈에 더더욱 띄었습니다. ^^
2007.06.20 10:13:43 (*.254.46.197)

사진 중에 수륙양용 군용차인 쉬벰바겐으로 추정되는 차가 보이네요.. 내가 학창시절에 제일 좋아했던 차였습니다..물과 땅을 마음대로 달리는 차...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깔끔하군요
2007.06.20 10:45:39 (*.64.140.230)

경찰이 인도위로 주차를 도와줬다는 얘길 들으니, 얼마전 열린 대구 수퍼카 페스티벌에서 주변 도로에 주차된 차량에 엄청난 주차딱지를 끊었다는 얘기가 문득 생각나는군요. 독일 경찰은 질서유지에 주안점을 두는 반면, 우리나라 경찰은 이런 행사를 세수확보를 위한 '대목'으로 생각하나봅니다 ㅋ
2007.06.20 11:09:30 (*.219.0.69)

베이지색의 수륙양용 쉬벰바겐이 눈에 띄는군요. 연합군쪽에는 2차세계대전 때 포드에서 만든 타입A가 있었지요. 역시 수륙양용...
군용차인 퀴벨바겐처럼 보이는 차는 타입181입니다. 속칭 'Thing'이라고 부르는 차죠. 영화 스피드에서 산드라블록이 처음 타고 나오는 차이기도 합니다. 국내에도 두세대가 있는데, 참 재미있는 차입니다. ^^; 앞뒤 도어 모양이 같고, 떼어낼 수 있는 유리는 대각선(운전석 앞쪽-조수석 뒤쪽)으로 서로 바꾸어 끼울수도 있습니다.
550스파이더는 국내에 있는 레플리카를 저도 타볼 기회가 있었고, 칼만 기아도 종종 보기도 했고 타보기도 했었습니다. 비틀이라는 베이스가 좋았기에 다양한 배리에이션이 가능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군용차인 퀴벨바겐처럼 보이는 차는 타입181입니다. 속칭 'Thing'이라고 부르는 차죠. 영화 스피드에서 산드라블록이 처음 타고 나오는 차이기도 합니다. 국내에도 두세대가 있는데, 참 재미있는 차입니다. ^^; 앞뒤 도어 모양이 같고, 떼어낼 수 있는 유리는 대각선(운전석 앞쪽-조수석 뒤쪽)으로 서로 바꾸어 끼울수도 있습니다.
550스파이더는 국내에 있는 레플리카를 저도 타볼 기회가 있었고, 칼만 기아도 종종 보기도 했고 타보기도 했었습니다. 비틀이라는 베이스가 좋았기에 다양한 배리에이션이 가능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2007.06.20 12:38:32 (*.168.160.2)

2차대전당시 히틀러는 비틀이라는 아주 매력적인 자동차를 만들었고, 이차를 이용하여 전쟁비용을 조달하였다고 하던데...차를 팔아서 조달한것이아니고 우표를 팔아서 조달했다고 하더군요... 그당시에 900마르크 어치의 우표를 산사람에게 비틀을 한대씩 준다고 했다더군요~~다 아시는 얘긴가요^^
2007.06.20 13:38:33 (*.229.109.2)

쉬무바겐과 큐벨바겐이 아직도 굴러다니다니 놀랍네요. 어릴때 프라모델로 조립했던 차들..
제임스딘이 150 km 로 달리다 세상을 떠난 차라서 항상, 안타까움이 배어있는 차.. 550 스파이더도 굴러다니는 군요. ^^
제임스딘이 150 km 로 달리다 세상을 떠난 차라서 항상, 안타까움이 배어있는 차.. 550 스파이더도 굴러다니는 군요. ^^
2007.06.20 14:17:22 (*.46.97.125)
책에 있는 내용을 정리해보면 1934년 히틀러는 국민차를 선보이며 누구나 주당 5마르크씩 4년간 정부 발행 저축 우표를 구입하면 차를 한 대 구입할 수 있는 예약 월부제를 제안했고 336,668명의 사람들이 참여해서 약 2억 8000만 마르크까지 모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1939년까지 국민차는 단 210대만 제작되어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전쟁이 끝나면서 소련이 베를린 은행에서 투자받은 2억 8000만 마르크를 탈취했다고 합니다..이후 독일 정부는 나치스 시대의 저축 우표를 유효한 것으로 인정했다고 합니다...
2007.06.20 16:45:32 (*.83.168.202)

VR6를 얹은 타입 3 노치백 세단도 있군요. O.O 아래서 다섯번째 사진은 포르쉐 RS60으로 보입니다. 타입 718 계열로 550A의 뒤를 이은 레이스카죠. 당시 포뮬러 2 규정에는 풀 바디를 씌운 차들도 가능했기 때문에 718 계열중에는 운전석이 정중앙에 있는 차들도 있었습니다. 사진의 차는 RSK인지 RS60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헤드레스트부터 연장된 차 뒤쪽의 돌출부는 보통 운전석쪽에만 있는데 조수석은 실제 탑승을 위해서라기보다는 레이스 규정 때문에 설치했기 때문이었습니다. 당시 포르쉐 RSK나 RS60이 출전하던 클래스에는 조수석및 화물공간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구종이 있었다네요. 사진속의 차는 양쪽에 헤드레스트가 있는데 사실 이런 후면부를 본 것은 처음이네요. 718시리즈는 그 이후 904에게 바톤을 넘겨주었습니다. 지난번에 영주님께서 타보셨던 550 레플리카를 만들던 회사에서 904 레플리카 프로토타입까지는 개발했는데 그 이후 아직 소식이 없네요. 904 레플리카 프로토타입에는 동승을 해보았는데 그게 벌써 몇년 전 일이네요. 재미있는 이야기와 사진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