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순정대비 무거운 휠과 무거운 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겠지만..
오늘 갑작스레..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무거운 휠과 타이어가 결합되어서..현가하중량이 증가하면..당연히 로드홀딩시
접지를 잃었다가 확보하는 순간 시간이 더 걸릴거라고 생각되고..
서스펜션이 무른상태에서 중량만 증가된다면..
무거운휠의 움직임이 스프링의 웨이트를 순간적으로 증가시킬듯한데.
제 상식으론 그렇습니다.
여태까지 아무리 생각을 해봐도 그렇고요..
보통 차량의 현가상중량에 따라 스프링 웨이트가 결정될거라 알고있습니다.
거기에 따라 댐퍼의 감쇄력도 결정될테고요..
궁금한건..순정 차량에서 서스펜션과, 휠 타이어를 새로이 셋팅하려고할때.
휠,타이어가 순정대비 지나치게 무거운(거의두배)것이 들어갈때는.
동차종 경량 휠타이어를 사용하는 차량보다 높은 감쇄력과 스프링을 사용해야 할거라고..
생각이 되어서요..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다른 요소는 완전 배제하고...휠,타이어의 무게와..서스펜션의 관계만 궁금합니다^^;
p.s 종래보다 커진 인치와 무거운휠을 사용하게되면..회전관성증가로..
브레이크 시스템도 늘어난 무게만큼 제동력도 올려야 할거라고 생각하고요^^;
의견 부탁드립니다~
오늘 갑작스레..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무거운 휠과 타이어가 결합되어서..현가하중량이 증가하면..당연히 로드홀딩시
접지를 잃었다가 확보하는 순간 시간이 더 걸릴거라고 생각되고..
서스펜션이 무른상태에서 중량만 증가된다면..
무거운휠의 움직임이 스프링의 웨이트를 순간적으로 증가시킬듯한데.
제 상식으론 그렇습니다.
여태까지 아무리 생각을 해봐도 그렇고요..
보통 차량의 현가상중량에 따라 스프링 웨이트가 결정될거라 알고있습니다.
거기에 따라 댐퍼의 감쇄력도 결정될테고요..
궁금한건..순정 차량에서 서스펜션과, 휠 타이어를 새로이 셋팅하려고할때.
휠,타이어가 순정대비 지나치게 무거운(거의두배)것이 들어갈때는.
동차종 경량 휠타이어를 사용하는 차량보다 높은 감쇄력과 스프링을 사용해야 할거라고..
생각이 되어서요..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다른 요소는 완전 배제하고...휠,타이어의 무게와..서스펜션의 관계만 궁금합니다^^;
p.s 종래보다 커진 인치와 무거운휠을 사용하게되면..회전관성증가로..
브레이크 시스템도 늘어난 무게만큼 제동력도 올려야 할거라고 생각하고요^^;
의견 부탁드립니다~
2008.04.29 10:35:00 (*.148.159.138)

아... 재원님...
Matlab...
정말 오랜만에 보는 툴 네임이네요... ^^
정작 학부때는 잘 쓰지도 않으면서 인스톨해놨었다는... ㅡ.ㅡ;;
쓸데없는 댓글 이해해주시길... ^^;;
Matlab...
정말 오랜만에 보는 툴 네임이네요... ^^
정작 학부때는 잘 쓰지도 않으면서 인스톨해놨었다는... ㅡ.ㅡ;;
쓸데없는 댓글 이해해주시길... ^^;;
2008.04.29 13:17:33 (*.176.70.15)

아하~그렇군요^^;일단 방향은 제가 처음에 생각한것이 맞으니...
좀더 공부해보면 되겠네요^^;; 하하..
답변감사합니다^^;
단순하게..물리적인 상식으론...그게 맞다고 생각했거든요^^;
완전 감사^^;
좋은 하루 되세요^^;
좀더 공부해보면 되겠네요^^;; 하하..
답변감사합니다^^;
단순하게..물리적인 상식으론...그게 맞다고 생각했거든요^^;
완전 감사^^;
좋은 하루 되세요^^;
2008.04.29 13:42:00 (*.73.10.82)

차체 무게는 변하지 않았으므로 스프링이 강해지면 차량이 들썩거릴 수도 있겠네요.
튜닝에 문외한이나, 순정보다 더 무거운 휠타이어를 끼우는 것은 기본적인 튜닝의 방향과는 반대일 것 같습니다.
가속과 연비도 그렇고, 승차감, 제동력 등 등... 잃는 것이 훨씬 많을텐데요.
그러한 튜닝은 아무도 추천하지 않을 것이고 거기에 맞춰서 다른 파트를 보강해서 손실을 보상하려 것은 비효율적이고 어느 모로 보나 득 될 것이 없을 것입니다.( 뽀대는 제외)
튜닝에 문외한이나, 순정보다 더 무거운 휠타이어를 끼우는 것은 기본적인 튜닝의 방향과는 반대일 것 같습니다.
가속과 연비도 그렇고, 승차감, 제동력 등 등... 잃는 것이 훨씬 많을텐데요.
그러한 튜닝은 아무도 추천하지 않을 것이고 거기에 맞춰서 다른 파트를 보강해서 손실을 보상하려 것은 비효율적이고 어느 모로 보나 득 될 것이 없을 것입니다.( 뽀대는 제외)
2008.04.30 16:27:55 (*.193.141.132)

무거운 휠과 단단한 타이어가 만드는 단단한 진동은 기존에 부드러운 순정 댐퍼 스프링으로는 성능이 떨어져서 여과하지 못할겁니다. 이런경우는 기존보다 스프링 레이트을 올려주는게 좋고, 그리고 스프링 레이트를 컨트롤하는 쇽업쇼버의 샥 스피드와 감쇄력 성능에 따라서 무거운 휠 타이어의 진동을 제어하는데 도움이 되겠네요.
2008.04.30 16:44:41 (*.38.27.137)

네^^;
물론... 저런것이 마이너스 요인이란걸 알지만..아는지인께서..
구지..무거운 휠을 장착하신다고 하셔서..그렇습니다^^;;
코너 선회시...가벼운휠과,무거운휠 적용시에..
로드홀딩문제로...제 생각엔 불안감이 가중될것 같아서요^^;;;
순정쇼바에 무거운휠을 장착하면..한번 튀거나하면...그 진동을 순정 댐퍼와스프링이
못잡아줘서 위험한 상황에 처할것 같단생각에서 시작한 궁금증입니다^^;
물론... 저런것이 마이너스 요인이란걸 알지만..아는지인께서..
구지..무거운 휠을 장착하신다고 하셔서..그렇습니다^^;;
코너 선회시...가벼운휠과,무거운휠 적용시에..
로드홀딩문제로...제 생각엔 불안감이 가중될것 같아서요^^;;;
순정쇼바에 무거운휠을 장착하면..한번 튀거나하면...그 진동을 순정 댐퍼와스프링이
못잡아줘서 위험한 상황에 처할것 같단생각에서 시작한 궁금증입니다^^;
2008.04.30 17:22:42 (*.193.141.132)

순정에서 빌스타인 스프린터 + H&R으로 컵킷을 바꾼다고 가정 하더라도 현가질량하 무게가 가벼운쪽이 로드홀딩이 좋은건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노면조건을 무시하고 무조건 하드하게 세팅 하는것도 좋지않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고속도로 세팅이라면 에어로파츠와 윙을 보강해서 로드홀딩을 개선하는 방법도 좋습니다. 그라운드 이펙트와 다운포스를 적절하게 이용하는 방법이죠. 다운포스는 고속으로 가면 갈수록 차체를 누르는 힘은 강하지기 때문에 현가상질량을 늘리는 효과를 볼수있습니다. 참고로 현가하질량 1kg를 감량하면 현가상질량 10kg를 늘리는 정도의 로드홀딩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품질좋은 무거운 휠은 절대강성이 높다는점과 항속주행 하는데는 오히려 유리한면도 있습니다.^^
예전에 게시판에서 인보드댐퍼에 관한 글에 리플에 이동섭님께서 "unsprung mass의 질량을 줄이는 것이 F1카의 인보드 서스펜션의 목적"이라고 설명해 주셨었습니다.. 아마 이 글을 보시게 되면 저보다 백배 더 자세히 정리해주실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