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차를 2대 소유하게 된다면 대형/경차 이렇게 할까 생각중입니다.
(사실 생각만 할 뿐이지요)
가격대 만족도가 높은 대형차를 생각해 보니, 남들도 다 좋아하는 BMW, Benz 등 독일/유럽차 보다 미국차들이 여러 모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어차피 대형차의 연비야 극악이라 좋을 리가 없겠지요.
주행거리가 많지 않다면 한국 도로에 맞는 푹신한 서스, 넉넉한 힘, 넓은 실내, 고급스런 옵션 등 한국 대형차의 덕목을 미국차들도 가지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일본메이커들이 미국 진출할 때 '미국차는 허접하고 품질이 떨어진다'고 맹공을 하였기에 미국차들의 느낌이 엉망이 되었고,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미국 고급 브랜드(캐딜락, 링컨 등)도 제 값을 못 받더군요.
콜벳 Z06 경우도 페라리와 거의 대등한 대결을 하였다던 이야기도 들었고요.
미국산 차는 포드 Five hundred 시승을 해 본 경험밖에 없습니다만 의외로 괜찮았습니다.
대략 1,000만원대의, 너무 오래 되지 않은 미국차를 골라보니
- 링컨 LS
- 홀덴(대우)스테이츠먼(호주산입니다만 호주 대형차 취향은 거의 미국스럽더군요. 코모도도 그렇고..)
- 캐딜락 드빌 DHS
미국산 차를 소유하신 분의 느낌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과연 소문대로 '기름먹는 하마'에 '마무리 조악', '수리비 엄청' 인지 사실은 그렇지 않은지 말이지요
(사실 생각만 할 뿐이지요)
가격대 만족도가 높은 대형차를 생각해 보니, 남들도 다 좋아하는 BMW, Benz 등 독일/유럽차 보다 미국차들이 여러 모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어차피 대형차의 연비야 극악이라 좋을 리가 없겠지요.
주행거리가 많지 않다면 한국 도로에 맞는 푹신한 서스, 넉넉한 힘, 넓은 실내, 고급스런 옵션 등 한국 대형차의 덕목을 미국차들도 가지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일본메이커들이 미국 진출할 때 '미국차는 허접하고 품질이 떨어진다'고 맹공을 하였기에 미국차들의 느낌이 엉망이 되었고,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미국 고급 브랜드(캐딜락, 링컨 등)도 제 값을 못 받더군요.
콜벳 Z06 경우도 페라리와 거의 대등한 대결을 하였다던 이야기도 들었고요.
미국산 차는 포드 Five hundred 시승을 해 본 경험밖에 없습니다만 의외로 괜찮았습니다.
대략 1,000만원대의, 너무 오래 되지 않은 미국차를 골라보니
- 링컨 LS
- 홀덴(대우)스테이츠먼(호주산입니다만 호주 대형차 취향은 거의 미국스럽더군요. 코모도도 그렇고..)
- 캐딜락 드빌 DHS
미국산 차를 소유하신 분의 느낌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과연 소문대로 '기름먹는 하마'에 '마무리 조악', '수리비 엄청' 인지 사실은 그렇지 않은지 말이지요
2008.05.02 09:52:33 (*.104.184.54)

아버지께서 세컨카로 뷰익 파크 애비뉴 96년식을 지금도 타고 계십니다.
말씀하신대로 조악한 마무리는 어쩔 수 없나 봅니다. 조악하기 보다는 편차가 심하죠. 하지만 그 상태로 잡소리 한 번 안나고 10년 넘는 세월을 잘 버티고 있습니다.
기름은 V6 3,800CC 엔진에 4단 오토미션, 앞좌석만도 3명이 일렬로 탈 수 있을 정도로 제법 큰 차체이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많이 먹지는 않는다고 하시더군요. 구체적인 연비는 제가 타고 다니는 것이 아니라서 확실히는...... . ^^;;;
마지막으로 수리는 분당의 GM대우 서비스센터에서 100% 가능합니다. 덕분에 수리비도 그다지 눈탱이 수준은 아니고요. 아직도 캐나다에 부품 재고가 많아서 생각보다 수리도 쉽고, 심지어 슈퍼챠져 버젼으로 스왑까지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원래 북미에선 슈퍼챠져 버젼이 나왔었는데 한국엔 NA 버젼만 수입되었죠)
말씀하신대로 조악한 마무리는 어쩔 수 없나 봅니다. 조악하기 보다는 편차가 심하죠. 하지만 그 상태로 잡소리 한 번 안나고 10년 넘는 세월을 잘 버티고 있습니다.
기름은 V6 3,800CC 엔진에 4단 오토미션, 앞좌석만도 3명이 일렬로 탈 수 있을 정도로 제법 큰 차체이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많이 먹지는 않는다고 하시더군요. 구체적인 연비는 제가 타고 다니는 것이 아니라서 확실히는...... . ^^;;;
마지막으로 수리는 분당의 GM대우 서비스센터에서 100% 가능합니다. 덕분에 수리비도 그다지 눈탱이 수준은 아니고요. 아직도 캐나다에 부품 재고가 많아서 생각보다 수리도 쉽고, 심지어 슈퍼챠져 버젼으로 스왑까지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원래 북미에선 슈퍼챠져 버젼이 나왔었는데 한국엔 NA 버젼만 수입되었죠)
2008.05.02 09:57:46 (*.104.184.54)

추가로 출렁출렁 하면서도 희한하게 코너링 잘 돌아 나갑니다. 북악에서도 한 번 몰아봤는데 차체가 커서 부담스럽기는 해도 출렁출렁 하면서도 은근히 잘 돌아 나가더군요.
더불어 직빨에서 시원시원하게 뻗어주는 맛과, 소문대로 튼튼한 내구성, 그리고 엉덩이 위치를 고민하게 만드는 크고 푹신한 시트, 넓직하다 못해 광활한 실내는 이 맛에 미국차 타나보다 싶더라고요. ^^
더불어 직빨에서 시원시원하게 뻗어주는 맛과, 소문대로 튼튼한 내구성, 그리고 엉덩이 위치를 고민하게 만드는 크고 푹신한 시트, 넓직하다 못해 광활한 실내는 이 맛에 미국차 타나보다 싶더라고요. ^^
2008.05.02 10:35:38 (*.20.190.225)

96년 Pontiac (GM 계열사)의 Firebird를 한 2년 넘게 탔었습니다. 물론 중고로 산 차기도 하지만, 미제차는 더 이상 구입하고 싶지 않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어이없는 잔고장도 여러번 있었고, 예상하신대로 도시주행이 특히 연비가 정말 안좋습니다. 대신 배기량이 넉넉해서 엔진 토크가 좋아서 직선에서는 나름 재밌습니다. 그리고 미국처럼 장거리 고속도로 주행을 매일같이 하는 곳에서는 배기량이 넉넉한 것이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만, 그 점 빼고는 장점을 찾기가 힘들었습니다. 기름이 싸고 넓은 미국 땅에서, 그리고 부품값이 비교적 저렴한 미국에서나 탈만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외에도 렌트를 해서 타봤던 쉐비 코발트, 크라이슬러 PT 크루저등은 미국차임에도 불구하고 배기량이나 출력도 넉넉하지 못해서 많이 실망을 했었습니다.
두고 저렴한 미국차를 탄다해도...메인터넌스 비용은 덕목이
아닐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미국에 있을때 여러종류의 미국차를
타보고 역시 미국차는 미국차만의 매력이 있구나...라고 생각합니다만
미국차가 북미 이외의 시장에서 잘 안팔리는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는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