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2002년 2월1일 등록한 Jaguar X-type AWD입니다.
주행거리 20만 킬로미터 돌파 기념으로 저번 주말에 트랜스퍼 케이스 오일을 교환해주기로 했습니다.
메이커에서는 교환이 불필요하다고 하였지만 역시 무교환이라는 오토 미션 오일의 경우 실제로는 심한 부하 조건에서 5만, 일반에서 10만 km 마다 교환하라고 명시되어 있었고, 얼마전 교환한 디퍼런셜 오일도 뽑아보니 약간 색상이 갈색으로 변해 있더군요.
새 오일로 교환해주니 주행감이 좋아졌었고요.
그래서 필시 트랜스퍼 케이스 오일도 열화가 많이 되어 변성되었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엔진 바로 뒤에 있고 따로 쿨링 덕트가 있을만큼 고열에 노출되어 있다고 생각했지요.
더군다나 오일 양이 0.6리터밖에 되지 않습니다.
드레인 플러그가 아닌 줄 알고 트랜스퍼 케이스 옆에 있는 플러그를 제거했는데, 미처 대처할 새도 없이 오일이 줄줄 새어나와버렸습니다.
엇 하는 소리에 쳐다보니 물처럼 흘러 나오다가 순식간에 멈추더군요.
제가 잠깐 한 눈 파는 사이 일어난 일이라 얼마나 샜는지는 보지 못했습니다.
구멍 바로 앞에 기어가 있어서 안도 들여다 볼 수도 없고...
불행중 다행인지는 몰라도 오일은 거의 변색도 없고 괜찮더군요.
그 상태로는 오일을 조금이라도 더 넣을 수가 없어서 차를 앞을 약 25-30도 정도 들어 올려서 겨우 0.2리터 정도 넣었습니다.
0.2리터만 빠졌었길 기원하면서....
오일 양이 부족하면 transfer case 가 고장날 수 있다고 정비 매뉴얼에는 나오더군요.
제 차의 트랜스퍼 케이스 오일을 정석대로 교환하자면 아주 어려운 작업이 된다고 합니다.
프롭샤프트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를 빼야하는데 이게 재조립할 때 민감하다고 하네요.
그리고, 트랜스퍼 케이스에는 디퍼런셜 기어 뒤에 Viscous coupling unit도 함께 있을텐데요.
걱정스런 마음으로 테스트 드라이브를 해보았으나 다행히 소음은 없고, Viscous couplin도 정상 작동하는 것 같았습니다.
후륜을 스핀시키면 스키드 음 때문에 소음이 들리진 않겠지만... 뚜렷한 이상 진동이나 소음은 없는 것 같습니다.
X90에서 크루징할 때도 특이한 소음, 진동은 없었습니다.
1. 디퍼런셜이나 트랜스퍼 케이스의 정상 오일 레벨이 어느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기어가 완전히 잠기는지 아니면 기어 아래에 살짝 걸쳐서 있는 것인지.
2. 오일 레벨이 낮으면 기어에 데미지가 갈 것 같은데 어떤 증상이 먼저 나타나는지요?
특이한 소음이 먼저 나타나는지, 진동이 먼저 나타나는지, 덜그럭 거리는지...
3. 그리고 Viscous coupling은 다판 클러치 사이에 실리콘 오일이 들어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기어 오일과는 관계가 없는 것이겠지요?
우문에 현답을 기대합니다. - -;

다른 각도의 사진



주행거리 20만 킬로미터 돌파 기념으로 저번 주말에 트랜스퍼 케이스 오일을 교환해주기로 했습니다.
메이커에서는 교환이 불필요하다고 하였지만 역시 무교환이라는 오토 미션 오일의 경우 실제로는 심한 부하 조건에서 5만, 일반에서 10만 km 마다 교환하라고 명시되어 있었고, 얼마전 교환한 디퍼런셜 오일도 뽑아보니 약간 색상이 갈색으로 변해 있더군요.
새 오일로 교환해주니 주행감이 좋아졌었고요.
그래서 필시 트랜스퍼 케이스 오일도 열화가 많이 되어 변성되었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엔진 바로 뒤에 있고 따로 쿨링 덕트가 있을만큼 고열에 노출되어 있다고 생각했지요.
더군다나 오일 양이 0.6리터밖에 되지 않습니다.
드레인 플러그가 아닌 줄 알고 트랜스퍼 케이스 옆에 있는 플러그를 제거했는데, 미처 대처할 새도 없이 오일이 줄줄 새어나와버렸습니다.
엇 하는 소리에 쳐다보니 물처럼 흘러 나오다가 순식간에 멈추더군요.
제가 잠깐 한 눈 파는 사이 일어난 일이라 얼마나 샜는지는 보지 못했습니다.
불행중 다행인지는 몰라도 오일은 거의 변색도 없고 괜찮더군요.
그 상태로는 오일을 조금이라도 더 넣을 수가 없어서 차를 앞을 약 25-30도 정도 들어 올려서 겨우 0.2리터 정도 넣었습니다.
0.2리터만 빠졌었길 기원하면서....
오일 양이 부족하면 transfer case 가 고장날 수 있다고 정비 매뉴얼에는 나오더군요.
제 차의 트랜스퍼 케이스 오일을 정석대로 교환하자면 아주 어려운 작업이 된다고 합니다.
프롭샤프트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를 빼야하는데 이게 재조립할 때 민감하다고 하네요.
그리고, 트랜스퍼 케이스에는 디퍼런셜 기어 뒤에 Viscous coupling unit도 함께 있을텐데요.
걱정스런 마음으로 테스트 드라이브를 해보았으나 다행히 소음은 없고, Viscous couplin도 정상 작동하는 것 같았습니다.
후륜을 스핀시키면 스키드 음 때문에 소음이 들리진 않겠지만... 뚜렷한 이상 진동이나 소음은 없는 것 같습니다.
X90에서 크루징할 때도 특이한 소음, 진동은 없었습니다.
1. 디퍼런셜이나 트랜스퍼 케이스의 정상 오일 레벨이 어느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기어가 완전히 잠기는지 아니면 기어 아래에 살짝 걸쳐서 있는 것인지.
2. 오일 레벨이 낮으면 기어에 데미지가 갈 것 같은데 어떤 증상이 먼저 나타나는지요?
특이한 소음이 먼저 나타나는지, 진동이 먼저 나타나는지, 덜그럭 거리는지...
3. 그리고 Viscous coupling은 다판 클러치 사이에 실리콘 오일이 들어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기어 오일과는 관계가 없는 것이겠지요?
우문에 현답을 기대합니다. - -;

다른 각도의 사진



2008.05.20 02:54:30 (*.79.156.51)

양상규 님 답변 감사합니다.
매뉴얼상으로 600ml이고 보충용량은 550 ml입니다.
또 다른 스펙 매뉴얼 상에서는 0.5리터로 나옵니다.
드레인 플러그로 보기에는 케이스의 옆 쪽에 위치하고 홀을 통해서 기어의 아래부분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아래에 잔유 오일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그 양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습니다.
정비 매뉴얼 상에서는 그 플러그를 빼서 드레인을 시키는 것이 아니더군요.
필링 플러그는 위쪽에 따로 있다고 하고요.
그렇다면 그 옆쪽에 있는 플러그는 뭔지....
조립할 때 기어 돌리기 위한?
제대로 드레인 작업을 하고 리필을 하려니 센터 미캐닉분은 추천하지 않으시네요.
그렇게 하다가 더 망가지는 수가 있을 것 같다고.... - -;
좀 리스크가 있는 작업이라고 합니다.
고민됩니다.
매뉴얼상으로 600ml이고 보충용량은 550 ml입니다.
또 다른 스펙 매뉴얼 상에서는 0.5리터로 나옵니다.
드레인 플러그로 보기에는 케이스의 옆 쪽에 위치하고 홀을 통해서 기어의 아래부분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아래에 잔유 오일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그 양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습니다.
정비 매뉴얼 상에서는 그 플러그를 빼서 드레인을 시키는 것이 아니더군요.
필링 플러그는 위쪽에 따로 있다고 하고요.
그렇다면 그 옆쪽에 있는 플러그는 뭔지....
조립할 때 기어 돌리기 위한?
제대로 드레인 작업을 하고 리필을 하려니 센터 미캐닉분은 추천하지 않으시네요.
그렇게 하다가 더 망가지는 수가 있을 것 같다고.... - -;
좀 리스크가 있는 작업이라고 합니다.
고민됩니다.
2008.05.20 07:10:09 (*.238.97.183)

혹시 오일량 레벨 맞추는 플러그일 가능성도 한번 생각해 보세요~
정비 매뉴얼이 있으시다면 오일레벨맞추는 방법도 나와있을법 한데...
한번 잘 탐독해보시기 바랍니다..
정비 매뉴얼이 있으시다면 오일레벨맞추는 방법도 나와있을법 한데...
한번 잘 탐독해보시기 바랍니다..
2008.05.20 10:35:53 (*.98.75.113)
일반적으론 오일채우는 플러그에 오일을 넣어 쏟아지지 않게 채웁니다만.
그렇게 하면 실제 정량보단 조금더 들어가게 됩니다.
손가락 넣어서 한마디 정도에 오일이 찍히면 적정량입니다.
손가략 넣었다가 안빠져도 전 책임 안집니다.^^
그렇게 하면 실제 정량보단 조금더 들어가게 됩니다.
손가락 넣어서 한마디 정도에 오일이 찍히면 적정량입니다.
손가략 넣었다가 안빠져도 전 책임 안집니다.^^
2008.05.20 11:27:09 (*.73.19.61)

답변들 고맙습니다.
박재인 님/ 오일 레벨 맞추는 법은 피니언 트랜스퍼 케이스 뒤쪽에 프롭샤프트랑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를 탈거해서 오일을 전부 빼고 트랜스퍼 케이스 위쪽에 filling 플러그를 빼고 그 곳으로 오일을 550ml 주입하는 것입니다. 정확한 용량은 600ml인데 잔유오일 감안한 수치입니다.
후륜 디퍼런셜 오일은 플러그가 오일 레벨 위쪽에 있어서 그 곳으로 빼고 넣고를 할 수 있었는데 트랜스퍼 케이스는 그렇질 안네요.
하긴.... 필링 플러그는 위쪽에 있다고 하니까요.
민경찬 님 /
그런데 홀 바로 앞에 기어가 떡 하니 있어서 손가락아 안 넣어집니다.ㅎㅎ
하지만 실리콘 호스를 주사기에 연결해서 넣어보았는데 빨리지도 않고.. 들어가지도 않더군요. 하는 수 없이 차를 통째로 기울여서 넣어줬습니다만 겨우 0.2리터도 안 들어간듯 합니다.
문제는 빠져나온 오일의 양을 모른다는 것.
특이한 증상은 없지만 뒤쪽 디퍼런셜 오일을 교환했을 때랑 비슷하게 차가 조금 더 가볍고 부드럽게 나가는 느낌입니다만 이게 얼마나 갈지 걱정인 것이지요. - -;
출발과 제동시 소음은 없는 것 같은데...
센터 미캐닉분들도 오일 레벨이 옆쪽에 있던 플러그 아래에 있을 것이라고 했는데 플러그 빼자마자 바로 오일이 나와버리더군요( 얼마나 나왔는지 측정을 못한 것이 아쉽네요.)
아마도 피니언 기어 장착할 때 안쪽 기어를 돌리기 위한 홀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빠져나온 오일 상태도 생각보다 괜찮던데 자세히 알아보지도 않고 괜한 짓 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래도 빠른 시일 내에 재작업해야할듯. - -;
박재인 님/ 오일 레벨 맞추는 법은 피니언 트랜스퍼 케이스 뒤쪽에 프롭샤프트랑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를 탈거해서 오일을 전부 빼고 트랜스퍼 케이스 위쪽에 filling 플러그를 빼고 그 곳으로 오일을 550ml 주입하는 것입니다. 정확한 용량은 600ml인데 잔유오일 감안한 수치입니다.
후륜 디퍼런셜 오일은 플러그가 오일 레벨 위쪽에 있어서 그 곳으로 빼고 넣고를 할 수 있었는데 트랜스퍼 케이스는 그렇질 안네요.
하긴.... 필링 플러그는 위쪽에 있다고 하니까요.
민경찬 님 /
그런데 홀 바로 앞에 기어가 떡 하니 있어서 손가락아 안 넣어집니다.ㅎㅎ
하지만 실리콘 호스를 주사기에 연결해서 넣어보았는데 빨리지도 않고.. 들어가지도 않더군요. 하는 수 없이 차를 통째로 기울여서 넣어줬습니다만 겨우 0.2리터도 안 들어간듯 합니다.
문제는 빠져나온 오일의 양을 모른다는 것.
특이한 증상은 없지만 뒤쪽 디퍼런셜 오일을 교환했을 때랑 비슷하게 차가 조금 더 가볍고 부드럽게 나가는 느낌입니다만 이게 얼마나 갈지 걱정인 것이지요. - -;
출발과 제동시 소음은 없는 것 같은데...
센터 미캐닉분들도 오일 레벨이 옆쪽에 있던 플러그 아래에 있을 것이라고 했는데 플러그 빼자마자 바로 오일이 나와버리더군요( 얼마나 나왔는지 측정을 못한 것이 아쉽네요.)
아마도 피니언 기어 장착할 때 안쪽 기어를 돌리기 위한 홀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빠져나온 오일 상태도 생각보다 괜찮던데 자세히 알아보지도 않고 괜한 짓 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래도 빠른 시일 내에 재작업해야할듯. - -;
2008.05.22 09:35:53 (*.79.156.51)

사진 링크가 잘 안먹히는군요.
오일을 넣었던 샵을 어제 재방문해서 상담했습니다.
원래는 오일을 다시 빼내고 공구를 직접 만들어서 주사기로 역주입해보려고 했습니다만 피니언 기어 쪽의 레벨이 더 낮아서 플러그를 빼더라도 그 곳에 오일이 남아 있을 것으로 보이며 드레인된 오일 양도 그다지 많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오일이 부족하지는 않을 것 같다고 하셔서 일단 그냥 타기로 했습니다.
그렇지만 아무래도 동일 차종으로 체크를 해봐야 확실할 것 같습니다.
현재 차량 상태가 최상이 아니라 이상 증상을 가려내는 것이 쉽지가 않네요.
오일을 넣었던 샵을 어제 재방문해서 상담했습니다.
원래는 오일을 다시 빼내고 공구를 직접 만들어서 주사기로 역주입해보려고 했습니다만 피니언 기어 쪽의 레벨이 더 낮아서 플러그를 빼더라도 그 곳에 오일이 남아 있을 것으로 보이며 드레인된 오일 양도 그다지 많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오일이 부족하지는 않을 것 같다고 하셔서 일단 그냥 타기로 했습니다.
그렇지만 아무래도 동일 차종으로 체크를 해봐야 확실할 것 같습니다.
현재 차량 상태가 최상이 아니라 이상 증상을 가려내는 것이 쉽지가 않네요.
잔류오일이 남으니 500ml 만 들어가면 될듯하네요
헌데 0.2리터면 조금 모자르는군요 어떻하든 넣는 방향을 찾으셔야
할듯합니다. 오일이 모자르다고 해서 당장 어떻게 돼지는 않지만서도
좋은 영향을 줄수는 없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