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눈팅만 하고 있는 신입입니다.
펀드라이빙을 추구할려고 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엔진오일문제가 자꾸 걸리네요.
여러의견이 분분한데, 제 생각에는 오일압/오일온도 게이지 다신분들의 경험이 정확할것 같네요.
순정오일과 합성유를 사용했을시 사용거리와 가혹한 주행후 오일압과 오일온도가 어느정도 차이를 보이는지 궁금하네요. 감성적인 측면도 중요하겠지만, 게이지로 살펴보면 두 오일간의 차이를 잘 파악할수 있을것 같네요.
많은 경험담 부탁합니다.
그럼, 꾸우벅.

SM5 터보차량에 유온, 유압, 수온, 부스트, 배기온게이지 장착하고 운행중인데요.
저역시 터보차량인지라 광유는 써본적이 없어서, 비교는 불가합니다만,
N/A 건 터보차량이건간에 가혹주행(고알피엠주행)후에는 당연히 오일온도가 급상승 하고, 더불어 오일압은 떨어지게 됩니다. 즉 점도가 깨지게 된다는 것인데.. 게이지를 장착함으로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주행후 아이들링시 다시 오일압이 복원되는 과정도 오일압으로 확인이 되고요.
단, 펀드라이빙을 추구하신다 하셨는데, 서킷주행을 염두에 두고있지 않다면, N/A 차량의 경우 오일온, 오일압에는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될듯한데요. 가혹주행을 자주하신다면, 아무래도 합성유가 좋을실듯 싶고, 사용거리도 또한 좀더 길게 가져갈수 있을것으로 생각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게이지를 장착하고 나서는 이오일, 저오일 계속 바꿔가며 넣어보게 되더군요..ㅋ 나름 비교를 해볼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가혹주행시 오일온 오일압이 너무신경쓰여서, 잘 못달리게 되더군요..ㅎㅎ

저는 HD 베타 순정엔진에 데피 유온, 유압게이지 사용중입니다.
오일은 게이지 장착 이후로는 bp visco 7000 0w-40만 사용해서 저도 광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위의 조건 기준으로 일상주행만 하면 계절에 따라 약간 차이는 있지만 아이들시 유온 80도 전후에 유압은 2바 정도입니다.
가혹주행 후 아이들시 유온은 최대 110도까지 찍어봤구요 유압은 1.5-1.75바 정도로 떨어집니다.
오일교환은 반년 8000km정도에 하는데 교환시기가 되면 유압이 아주 약간 내려가는 것 같습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하네요^^
여러분의 의견 감사합니다.
펀드라이빙에 아마 태백도 1달에 1-2번은 추가될것 같네요...
엔진은 순정인데, 마음은 터보라서 많은게 궁금하네요....

현재 데피 수온/유압을 달고 있지만... 수온대신에 유온으로 달껄하는 아쉬움이...^^;
제 생각으로는 유압상태로 오일컨디션뿐 아니라 엔진 컨디션도 어느정도 체크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엔진상태 한창 안좋을때는 오일을 갈아도 1.5바에서 왔다갔다하다가...
거의 퍼지기 직전에는 오일 교환후에도 1바를 겨우 넘기는 정도였습니다.
블럭교환후에는 기본 2.2바정도 나오구요~~ ㅎㅎㅎ

회사차 아방이 1.6(타이어빼고 모든게 순정)을 가혹하게...
(계기판이 꺽여서 계기판AS를 받을정도) 몰아봤습니다.
물론 오일은 그냥 오일...2만원에 모든것을 아니면 보험서비스로 공짜로....
강원도에서 서울까지 가혹,,고속드라이빙은 기본..시내에서도 당연....
브레이크 로터를 갈정도로 브레이크도..험악하게.....
그러나 4년째 오일은 그냥 막퍼주는 오일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