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포르쉐 수동 운전자입니다
15년 오토 타다가 포르쉐는 수동이라는 글을 보고,
3년 전 신차구입하여 익숙하지 못한 상태에서 부지런히 연습하였습니다
그러다보니
중요하다는 길들이기 기간에 시동을 무척이나 많이 꺼먹었고, 이 후에도 정확치 못한 클러치 타이밍으로 다운 쉬프트, 힐앤토우
등을 무리하게 연습하는 바람에 제법 많은 충격이 있었습니다
클러치는 밟을 때는 빨리하고 , 띌 때는 천천히 하라고 하던데, 돌이켜보면 저는 둘 다 빨리 붙이고 빨리 띈 것 같습니다
클러치야 갈면 된다 치고(클러치는 한 번도 안 갈았고 아직은 상태가 괜찮은 것 같습니다),
<<궁금한 점은 저처럼 하면 클러치외에 무리가 가는 부품이 어딘지, 따로 중점적으로 점검을 받아야 하는 부위가 어딘지,
혹시 데미지가 생긴다면 심각해지는 지가 궁금합니다>>
( 현재 누적거리는 5만 킬로입니다 , 주로 주말에 고속도로에서 운행했습니다.
엔진 오일 5천, 만 오천 , 2 만대 후반, 4만 근처 에서 갈았습니다 . 정기 정검 꼭 했구요, - 센터에서는 이상없다고는 합니다
답변 기대하며 감사드립니다

굳이 따지자면 엔진/변속기 마운트 류의 수명이 짧아질 수는 있겠습니다만 어차피 제 수명을 다 하면 교환해 줘야 하는 소모품이기에 센터에서 이상 없다 하면 신경 쓰실 필요 없습니다.
양산차의 경우 수많은 가능성에 대한 많은 테스트와 내구성을 고려해서 충분히 튼튼하게 만들어져 나오니 염려없이 즐기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도 포르테?? 포르쉐?? 헷갈려서...몇번을 다시 봤네요~! ㅎㅎ
변속이 서투르거나 오조작에 의한 충격은 거의 마운트가 다 흡수하리라 봅니다.
마운트 데미지 비용으로 수동 운전을 배웠다고 생각하면 맘 편하겠네요 .ㅎㅎ

클러치 연결타이밍 미숙으로 인한 변속충격이라면 그 충격은 엔진마운트에 일차적으로 가장 많이 갑니다. 기어변속하는 과정속에서의 실수가 아닌 경우라면 변속기 자체에 무리가 가진 않고 클러치에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스러스트 베어링의 수명저하나 클러치의 마모등으로는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만약 극단적인 결과로 독일차에서는 아주 드물기는 하지만 다운시프트를 할 때 회전수 보상없이 클러치를 on, off하듯 떼는 것이 반복되면 크랭크 샤프트 저널베어링에 미세하게 손상이 갈 수 있습니다.
보통 다운시프트때 회전수보상없이 하더라도 클러치를 살살 떼어 클러치의 슬립을 유도하면서 마무리하는 경우면 큰 상관이 없는데, 그냥 확 떼버리면 그 충격은 크랭크축의 급격한 회전상승이 커넥팅로드쪽 즉 회전의 역방향으로 비정상적인 충격이 걸리기 때문에 저널베어링 자체에는 결코 유익하진 않지요.
하지만 엔진마운트를 제외한 나머지 언급한 부분은 극단적인 경우이고 일반적으로 수동변속기를 운전하시는 분의 80%는 다운시프트 때 회전수 보상을 안하고 운전하는 경우가 많으며, 나름대로의 요령으로 충격을 줄이는 방법으로 운전합니다.
즉 아주 심하게 충격을 유발하는 운전이 아니라면 엔진부품에 큰 손상이 가는 쪽으로는 구지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정비가 필요할 정도의 무리한변속은..
알피앰을 최대토크와 출력 구간만큼 올려놓은 상태에서 클러치를 순간적으로 놔 버리는 정도의 강한 충격이 아니라면 (그것도 여러번 반복) 별 무리 없습니다. 더구나 주로 운행하는 구간이 서킷이나 급한 와인딩이 아니라 고속도로라면.. 온클러치 타이밍이 길고 상대적으로 빈번한 변속에 시달리는 조건이 아니라서.. 외려 길이 잘~ 들어있을지도.. ^^

제 경우 수동운전이 익숙치 않을무렵 친구차 한번 잡아보겠다고 한계까지 몰아부치며 무리하게 30분 정도 운전한 적이 있었는데 그 때 5->3, 4->2 다운쉬프트시에 실수를 많이 하였고 차도 그 충격에 많이 울컥거렸었습니다.
그렇게 주행한 직후 체크엔진라이트가 켜져서 정비소에 가져가 보니까 터빈에 어떤 부분?이 열렸다 닫혔다 해야 하는데 그게 뭔가에 걸려서 열린채로 있었고(터빈없이 NA상태로 주행;;;) 그리고 다운파이프와 중통을 연결해 주는 클램프가 틀어졌더군요
뭐 변속 과 관련되어 가장 무서운(!) 손상은 싱크로의 손상입니다. 흔히 말하는 '기어' 되겠는데요, 특정단수의 기어에 변속을 하시면서 갈리는 소리가 들린다거나, 갑자기 주행중에 기어가 그 단수에서 튀어 나온다거나, 잘 들어가지 않는다거나 하는 경우가 되겠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터보차에서 아무리 바이패스 벨브등이 있어도, 변속 시점가지고 터빈에도 손상을 줄 수 있다라는게 개인적인 경험에 따른 생각이기도 합나다만은.. 터보차량이 아니시니 이건 해당이 없고..여튼 잘못된 기어 변속으로 RPM이 너무 많이 올라가 엔진이 폭발(!) 하는 경우야 아주 드문 경우니까 그렇다치고.. 이 이외의 차량 손상은 크게 찾기 힘드실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