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안녕하세요?
얼마 전 BMW Driving School을 다녀왔습니다.
교육 내용중에 사각을 줄이기 위한 미러세팅 방법에 대한 내용이 있더군요.
이미 여기 테드에서 거론되었을지도 모르는 이야기라 뒷북이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혹시나 해서 올려봅니다.
저는 기존에 사이드미러를 보면 제 차량이 약간 보이는 정도로 세팅을 해 놓았습니다만 교육받은 내용은 실내 룸미러(rearview mirror)와 사이드미러가 중첩되지 않도록 사이드미러를 바깥쪽을 향하도록 조정하기에 제 차량이 사이드미러에 바로 보이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무척 어색했습니다만 곧 익숙해져서 고개를 돌려서 보지 않아도 효과적으로 사각이 줄어들더군요.
다만... 주차시 제 차와 차의 주변부가 바로 보이지 않아서 불편한 것이 큰 단점입니다.
더불어 S2000의 경우 탑을 닫으면 이 방법이 별로 소용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미 볼록거울같은 것을 사용하시고 계시다면 굳이 이런 방법으로 바꿔야할 이유가 없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차량밀도(?)가 높은 한국보다는 단위면적당 차량이 적은 북미지역에서 편한 방법일 듯 싶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한번 시도해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아래는 http://www.wikihow.com/Set-Rearview-Mirrors-to-Eliminate-Blind-Spots 의 글을 허접하게 급번역한 글입니다. 이해가 안가시는 부분은 원문을 참고하세요~~~
<사각(Blind Spots)을 줄이기 위해 미러를 세팅하는 방법>
1. 머리를 운전석 유리창에 거의 기대다시피해서 운전석측 사이드미러를 본인 차량의 운전석쪽 뒷부분(the rear quarterpanel)이 살짝 보일정도로 조정합니다.
아마도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사이드미러를 바깥을 향하게 조정하게 될거예요.
2. 머리를 운전석과 조수석 중앙에 위치하고 조수석측 사이드미러를 본인 차량의 조수석쪽 뒷부분(the rear quarterpanel)이 살짝 보일 정도로 조정합니다.
3. 실내 룸미러 중앙을 뒷 유리창 중앙을 가리키도록 조정합니다.
4. 운전하시면서 관찰해보세요. 옆차선 후방에서 접근하여 지나가는 차량이 실내 룸미러를 통해 보이다가 사라지면 바로 사이드미러에 보이게 됩니다.
실내 룸미러와 사이드 미러에 오버랩되기 때문에 후면 사각지역이 생기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5. 이제는 미러들을 통해서 옆차선에 무엇이 있는지 바로 알 수 있게됩니다.
전에는 차선변경 전에 머리를 돌려서 옆차선에 차량이 있는지 확인해야했지만 이제는 미러들로도 사각지역을 볼 수 있게 됩니다.
* 최소 1주일정도는 지나야 익숙해집니다. 처음에는 무척 어색하지만 나중에는 무척 자연스러워집니다.
* 고개를 움직이지 않고는 차량의 좌우에 무엇이 있는지 보이지 않기 때문에 parallel 파킹이 더 힘들어집니다.
얼마 전 BMW Driving School을 다녀왔습니다.
교육 내용중에 사각을 줄이기 위한 미러세팅 방법에 대한 내용이 있더군요.
이미 여기 테드에서 거론되었을지도 모르는 이야기라 뒷북이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혹시나 해서 올려봅니다.
저는 기존에 사이드미러를 보면 제 차량이 약간 보이는 정도로 세팅을 해 놓았습니다만 교육받은 내용은 실내 룸미러(rearview mirror)와 사이드미러가 중첩되지 않도록 사이드미러를 바깥쪽을 향하도록 조정하기에 제 차량이 사이드미러에 바로 보이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무척 어색했습니다만 곧 익숙해져서 고개를 돌려서 보지 않아도 효과적으로 사각이 줄어들더군요.
다만... 주차시 제 차와 차의 주변부가 바로 보이지 않아서 불편한 것이 큰 단점입니다.
더불어 S2000의 경우 탑을 닫으면 이 방법이 별로 소용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미 볼록거울같은 것을 사용하시고 계시다면 굳이 이런 방법으로 바꿔야할 이유가 없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차량밀도(?)가 높은 한국보다는 단위면적당 차량이 적은 북미지역에서 편한 방법일 듯 싶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한번 시도해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아래는 http://www.wikihow.com/Set-Rearview-Mirrors-to-Eliminate-Blind-Spots 의 글을 허접하게 급번역한 글입니다. 이해가 안가시는 부분은 원문을 참고하세요~~~
<사각(Blind Spots)을 줄이기 위해 미러를 세팅하는 방법>
1. 머리를 운전석 유리창에 거의 기대다시피해서 운전석측 사이드미러를 본인 차량의 운전석쪽 뒷부분(the rear quarterpanel)이 살짝 보일정도로 조정합니다.
아마도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사이드미러를 바깥을 향하게 조정하게 될거예요.
2. 머리를 운전석과 조수석 중앙에 위치하고 조수석측 사이드미러를 본인 차량의 조수석쪽 뒷부분(the rear quarterpanel)이 살짝 보일 정도로 조정합니다.
3. 실내 룸미러 중앙을 뒷 유리창 중앙을 가리키도록 조정합니다.
4. 운전하시면서 관찰해보세요. 옆차선 후방에서 접근하여 지나가는 차량이 실내 룸미러를 통해 보이다가 사라지면 바로 사이드미러에 보이게 됩니다.
실내 룸미러와 사이드 미러에 오버랩되기 때문에 후면 사각지역이 생기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5. 이제는 미러들을 통해서 옆차선에 무엇이 있는지 바로 알 수 있게됩니다.
전에는 차선변경 전에 머리를 돌려서 옆차선에 차량이 있는지 확인해야했지만 이제는 미러들로도 사각지역을 볼 수 있게 됩니다.
* 최소 1주일정도는 지나야 익숙해집니다. 처음에는 무척 어색하지만 나중에는 무척 자연스러워집니다.
* 고개를 움직이지 않고는 차량의 좌우에 무엇이 있는지 보이지 않기 때문에 parallel 파킹이 더 힘들어집니다.
2007.07.12 01:54:22 (*.32.51.35)
오래전에 같은 드라이빙 스쿨에서 배운 이론 그대로군요. ^^
(언젠가 한국타이어에서도 한 것 같은데... 기억이 가물가물...)
운전하다가 앞차 왼쪽 사이드 미러에 운전자 얼굴이 보이는 경우를 허다하게 보는데요, 저도 이 세팅법 이상은 없다고 봅니다. 해보면 금방 적응되고, 편하다는 걸 알 수 있죠.
하지만 역시 시내 도로에서 차선변경시에는 후측면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는 게 더 안전하겠죠. (경험상 ^^)
(언젠가 한국타이어에서도 한 것 같은데... 기억이 가물가물...)
운전하다가 앞차 왼쪽 사이드 미러에 운전자 얼굴이 보이는 경우를 허다하게 보는데요, 저도 이 세팅법 이상은 없다고 봅니다. 해보면 금방 적응되고, 편하다는 걸 알 수 있죠.
하지만 역시 시내 도로에서 차선변경시에는 후측면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는 게 더 안전하겠죠. (경험상 ^^)
2007.07.12 10:04:42 (*.133.99.104)

저도 이 방법은 10년 넘게 쓰고 있습니다. 위와 같이 하더라도 주차할 때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그 이유는 주차할 때 고개를 약간 좌측으로 옮기면 차체 좌측 측면이 아웃사이드미러로 보입니다. 마찬가지로 고개를 약간 우측으로 옮기면 우측 측면이 미러로 보입니다. 운전할 때 고개를 빳빳하게 움직이지 않고 운전한다면 모를까 실제로를 그렇지 않으므로 주변에 이런 미러 세팅방법을 권하고 있습니다.
2007.07.12 10:05:36 (*.133.99.104)

또한 각 미러를이 중첩되게 세팅하면 후방에서 전조등 광축을 올린 몰상식한 운전자가 따라올 때 눈도 두배로 부십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눈부심도 많이 줄어들죠
2007.07.12 10:25:35 (*.24.144.219)
익숙해지면 좋은 방법중 하나인것 같습니다. 참고로 유럽에서는 오른쪽 사이드 미러가 옵션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즉 룸미러에서 볼수 있는 부분이 아니면 고개를 돌려서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하죠. 제 경우는 왼쪽이던 오른쪽이던 차선변경시에는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것 같고 이 방법을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 16~17년전쯤 제가 처음 운전배울때 보았던 운전관련 교재등에는 사이드 미러를 볼때, 최대한 고개를 돌리지 말고, 눈을 흘깃거리는 식으로 보라고 나온 기억이 있는데, 미국에서 운전면허시험볼때 이러면 불합격 시킨다는 얘기도 들은것 같고요. 또 실제적으로 오른쪽 차선 변경을 위해 고개를 확 뒤로 돌려서 확인하는 운전자도 여럿봤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우리나라의 혼잡한 도로에서는 사용하기 애매한 방법이겠죠~
2007.07.12 10:50:57 (*.152.36.112)

8년전에 사용하던 방식이로군요.
불편해서 이방법은 안쓰고 있습니다.
한국처럼 좁은 땅떵이에서 운전하려면 매번 코너에 들어갈 때마다 제 차량의 옆구리를 봐줘야하는데 그게 안되죠.
이 방법대로 다니다가는 문짝이 남아나지 않을 것같아 기존의 방법으로 돌아갔습니다.
위에 제안된 방법은 고속주행시 한번에 일을 마치기에는 대단히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되지만 저는 그냥 속도를 줄이고, 조심조심 들어가는 방법이 더 안전할 듯하네요
불편해서 이방법은 안쓰고 있습니다.
한국처럼 좁은 땅떵이에서 운전하려면 매번 코너에 들어갈 때마다 제 차량의 옆구리를 봐줘야하는데 그게 안되죠.
이 방법대로 다니다가는 문짝이 남아나지 않을 것같아 기존의 방법으로 돌아갔습니다.
위에 제안된 방법은 고속주행시 한번에 일을 마치기에는 대단히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되지만 저는 그냥 속도를 줄이고, 조심조심 들어가는 방법이 더 안전할 듯하네요
2007.07.12 11:02:35 (*.55.112.82)

처음 운전을 배울때 사이드미러에서 제차량이 1/3쯤 보이게 하라고 배워서 그대로 쓰니 사각이 많앗습니다. 특히 우측으로 들어설때 고개를 돌려서 보아도 놓치는수가 있더군요. 국산차의 경우 애당초 볼록 거울로 나올경우 이러한 셋팅으로도 볼만하지만 제차의 경우는 김휘영님이 말씀하신대로 하여야만 사각이 줄더군요 생각보다 밖을 보도록 해야 하더군요
2007.07.12 11:06:39 (*.55.192.254)

이년여 전 인터넷에서 같은 내용의 글을 보고 했었는데, 어려운 점이 몇 있더군요, 선암님같은 이유도있고, 주차시 문제도 있고, 제차 뒷모서리에 아동이나 낮게깔린 장애물에 겁나기도하고... 하지만, 좀 끈기있게 적응하니 불편이 줄어들어 현재는 운전석에서 머리만 좌우로 돌릴때 제 차량 꽁무니가 미러에 눈꼽만큼 보이도록 나름대로 타협하여 쓰고 있습니다. 이게 BMW 등 정식school에서도 권고한다면 다시 좀 더 벌려볼까나요?
2007.07.12 12:58:08 (*.22.116.52)
각 나라별 차량별로 다른지 않나요?
국산차와 독일차를 예로 들어보면 어깨선을 지나는 윈도우 라인의 높이(시트 포지션자체가 더 낮아)가 달라 국산차량은 좁거나 가까운곳을 보기쉽고..독일차들은 고속주행시 멀리보게 되어있는듯합니다. bmw만해도 사각지대로 인해 불편할때가 많습니다.
자신의 기준에 맞혀서 조정하는것이 정답일듯합니다.
국산차와 독일차를 예로 들어보면 어깨선을 지나는 윈도우 라인의 높이(시트 포지션자체가 더 낮아)가 달라 국산차량은 좁거나 가까운곳을 보기쉽고..독일차들은 고속주행시 멀리보게 되어있는듯합니다. bmw만해도 사각지대로 인해 불편할때가 많습니다.
자신의 기준에 맞혀서 조정하는것이 정답일듯합니다.
2007.07.12 13:08:13 (*.107.44.39)

초보일때는 뒷트렁크부분이 크게 보이다가.....운전을 오래 할 수록...점점 보이는 부분이 줄어들지요...저는 트렁크가 거의 안 보이게 조절하고 다닙니다...보조 미러나 볼록랜즈는 한번도 쓴적이 없습니다.....웬만한 사각은 고개를 돌려서 다 보이니까요...룸미러로도 활용하고..
2007.07.12 14:27:49 (*.150.199.106)

개인적으로는 이 방법은 습관하기 나름이라고 봅니다. 제 경우 끼어드는데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서울시내에서만 주로 운전하는데도 말이죠^^ 오히려 차체가 보이게 하면 차선변경할 때 매번 고개를 돌려야 하는데 그게 더 위험하다고 봅니다. 고개를 돌린 순간 앞차가 정차할 수도 있고 우리나라처럼 차간 거리 띄우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더욱 그렇다고 봅니다. 차간 거리 띄워놔봐야 다른차가 끼어들어서 말짱 도루묵이니까요.
물론 요즘 대형차들처럼 좌우 미러 모두 볼록인 경우에는 굳이 이 방법을 쓰지 않아도 사각지대가 없어서 문제는 없습니다.
물론 요즘 대형차들처럼 좌우 미러 모두 볼록인 경우에는 굳이 이 방법을 쓰지 않아도 사각지대가 없어서 문제는 없습니다.
2007.07.12 18:45:08 (*.121.128.168)

그래서 제가 구상했던 생각은... 윙커를 넣는 순간 미러가 순간적으로 사각지대까지 비출 수 있도록 자동으로 움직인다던가 아니면 이중유리(?)로 만들어서 평소에는 일반적인 반사를 하다가 윙커를 넣는 순간 속에 있던 이중유리로 반사가 전환되는 구조(가능할라나요? ㅎㅎ)의 제품을 만들면 돈벌겠다...였는데 볼록유리가 나오는 바람에 접었습니다.ㅎ
2007.07.12 23:40:51 (*.6.245.184)

저는 운전을 배운뒤로 쭉 저런식의 세팅을 해왔었는데 별로 불편하지 않습니다. 약간의 노하우라면, 차량 손잡이 끝동이 살짝 보일때까지만 세팅해주는겁니다. 그럼 차폭도 감지가 가능하고 사각도 없어집니다. 사각이 만약 있다고 해도 고개를 앞쪽으로 살짝 내밀어서(거북목) 사이드미러를 보면 사각이 없어집니다.
2007.07.13 01:30:15 (*.248.21.20)

왼쪽의 차가 내 차를 추월해 갈 때 룸미러->사이드미러->왼쪽시야 이렇게 차례로 보이도록 세팅해 보세요.
왼쪽차선의 차가 내 차에 접근하면서 사이드미러에서 사라지는 순간, 고개를 돌리지 않은 왼쪽시야에(눈짓만) 그 차가 보이도록 세팅하면 됩니다. 이렇게 세팅하면, 당연히 사이드미러에 내 차는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세팅하면 왼쪽차선의 왼쪽차선(내가 3차선에 있을경우, 1차선) 차가 바로 내 옆에 있는걸로 보여서 가끔 흠칫할때가 있습니다;
분당 내곡 서킷 같은 경우는.. 1차선 차와 3차선 차가 동시에 2차선으로 진입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숄더첵 필수입니다. 한번은 저보다 100km/h이상 빨라 보이는 brabus와 동시에 2차선으로 진입해서 큰일날뻔 했지요;;;
왼쪽차선의 차가 내 차에 접근하면서 사이드미러에서 사라지는 순간, 고개를 돌리지 않은 왼쪽시야에(눈짓만) 그 차가 보이도록 세팅하면 됩니다. 이렇게 세팅하면, 당연히 사이드미러에 내 차는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세팅하면 왼쪽차선의 왼쪽차선(내가 3차선에 있을경우, 1차선) 차가 바로 내 옆에 있는걸로 보여서 가끔 흠칫할때가 있습니다;
분당 내곡 서킷 같은 경우는.. 1차선 차와 3차선 차가 동시에 2차선으로 진입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숄더첵 필수입니다. 한번은 저보다 100km/h이상 빨라 보이는 brabus와 동시에 2차선으로 진입해서 큰일날뻔 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