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제가 사는 동네에 , 고급유 파는 주유소가 없어
근접 다른시의 GS 칼텍스 직영에서만 주유를 했었는데요
저 같은 경우 차량은 w204 c63 (510hp 맵핑) 이고
개인차가 있겠지만 만족도는 느낌상
칼텍스 >= 오일뱅크 > SK
순으로 좋았습니다 ,
운행중 SK의 경우 약하게 노킹이 들어온 적도 있습니다.
S-Oil은 이용해본적이 없네요..
최근 동네 주유소중 오일뱅크 직영에서 고급유를 다시 팔기 시작해 이곳에서 넣어 보려고 하는데
테드 횐님들은 어느 브랜드 고급유를 많이 이용 하시는가 궁금해서 글 쓰게 되었습니다
특히 직영 오일뱅크 고급유 사용 하시는 분들 만족도가 높으신지도 궁금 하네요
이상하게 노킹이나 경고등이 꼭 sk일때만 생기더군요.
저뿐 아니라 주변에도요.
좀 더 가면 SK도 있긴한데 예전에 주유품질때문에
산소센서 코드 두세번 뜬 이후 가지않습니다

고급휘발유에호불호가갈리는건
제가느끼기에어느정도소비자심리일가능성도
크다고봅니다
실제로수도권기준으로말씀드리겠습니다
직영주유소를제외하노든주유소에는
각정유사마다현물단가를따져
기름을구매후소비자분들께판매된답니다
예를들어대외비내용이라자세하게
말씀드릴순없지만
각정유사별로구매하여판매할수있으므로
브랜드만따지신다면
직영주유소를이용하시면되겠습니다
수도권에는현대나에스오일고급휘발유보기힘드시죠?
그이유는에스오일은온산에서현대는대산에서
출하받아수도권까지운송을해서판매합니다
사업주입장에선어마어마한물류비용때문에
사실꺼리는것도있습니다만
소비자들에게더다가설수있는방법은
수도권외곽에서출하받을수있는
sk.gs제품을구매해판매하기도합니다
물론타제품을판매하는게의아하게생각하실수도
있으시겠지만석유사업법상불법은아닙니다
하이마트에서각전자회사제품을판매하는것과
비슷한이치라고생각하시면편할겁니다
또한가지더저희나라유류정제기술은
세계최고입니다
따라서국내정유사품질은도토리키재기라고
보시면될거같습니다
거의품질은비슷합니다
이상현직유류운송업하는사람이
댓글달아봤습니다
죄송하지만간단한질문은받지않겠습니다^^
간단한답변은가능합니다^^

이전 블로그에서 고급유 옥탄가 측정한걸 본적이 있는데, 색상이 녹색에 가까울수록 옥탄가가 높구, 노랑에 가까울수록 옥탄가가 낮게측정된 것을 본적이 있는데, 노랑이면 섞은거로 봐야되지않나싶습니다. 옥탄이 높을수록 녹색을 띄는 성질이 있는것이 아니고 정유사에서 유종구별위해 색을 다르게하는걸로 알고있거든요.
그리고 투명막을 고급유 라인만 검정색으로 칠해놓은 주유소들을 본적이 있습니다.
시골이라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사실 S-Oil 옥탄가가 높다고해서 찾아다녔는데,
얼마전 지인의 말이 고급유는 GS가 높다는 말에 혹해서
지금은 2개의 브랜드, 정해둔 주유소에서만 주유합니다.

고급유는 GS 직영 주유소에서만 넣습니다.
고속도로에서 할 수 없이 SK 고급유 넣은적 있는데, 헉~ 하는 느낌이 바로 와서 정유사나 주유소별
고급유 품질이 다르다는 소문이 진짠가 싶더군요. 그런데 제 썩차를 너무 몰아 붙이면 사단이 날 것
같아서 이제 슬렁슬렁 타려고 올해부터 GS 보통휘발유 넣고 있습니다. ㅠㅠ

일반유, 고급유 관계없이 항상 GS직영만 사용합니다.
전문가가 아니라 느낌이 어떻다 정확하게 말씀은 못 드리겠지만,
살고 있는 동네 주변에서 경험해본 주유소 중 GS직영만 "아 고급유 넣었다" 느낌이 확 다르더군요..
심지어 차알못인 저희 와이프도 느낄 정도입니다.
SK에서 주유하고나면 느낌이 확 다르다고 하더군요... SK 휘발유를 거의다 소모하고 GS로 넣으면 또 느끼구요...
그리서 GS직영점(집근처)만 이용합니다.

집 주변 일반GS/직영SK에서 그때그때 싼곳을 골라 고급유 주유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조건하에서 테스트 시 일반GS고급유가 가속력이 좋았고요 같은 구간 운행 시 연비도 좋았습니다.
예전 일반S-oil에서도 두어번 넣었는데 그 때 평소와 다른 컨디션에 이상하다...생각했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옥탄가테스트에서 일반휘발유로 나왔습니다. 이 후 이 주유소는 고급유 판매를 하지 않습니다.

위에 댓글들의 경험과는 반대로 제가 가는 곳만 비교해보면 SK>GS입니다. (직영은 주변에 없습니다)
동네에 GS 고급유 파는 주유소가 두 곳(집근처, 대로변), SK 고급유(대로변 GS와 SK는 가까이 위치해 있어서 경쟁상대) 파는 곳이 한 곳, 나머지는 매번 주유소 브랜드가 바뀌는 시골길에 있어서 안가는 곳... 이렇게 있는데요. 비싸게 파는 SK에서 넣었을 때는 힘이 없다가 갑자기 차가 힘이 넘치는 것 같구요, 가깝고 싼 GS에서 넣었을 때는 힘알탱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의심되는건, 옥탄가에 따라 점화시기를 조절하는 건지도 모르겠네요...
동네에 고급유 넣으시는 지인분은 대로변에 있는 GS에서만 넣으시던데, 뭔가 차이가 있나 봅니다. SK는 비싼 대신 24시간 운영합니다. 일반 휘발류 차 탈때는 취급점이 널렸으니 싸고 품질좋은 곳을 찾으면 되는데, 고급유는 이게 수가 적다보니... 어렵네요. 현대 고급유는 넣어보질 않았었는데요. 처음엔 왠지 너무 싸게 팔아서 왠지 불안했고, 지금은 그 집이 현대에서 SK로 바뀌어서 브랜드로 평가하려면 뭐 넣어보지도 못하겠네요. 지금은 시내에 있는 기름집과 10원 차이납니다.

석유관리원에서는 개인이 신청하면, 수수료를 받고 검사해주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고급유 휘발류는 검사해주지 않는 걸까요? 홈페이지 찾아보니 15만원에 리서치 방법(RON)으로 옥탄가 측정을 해주고 있군요.
http://www.kpetrotest.or.kr/exam/support/pricesInfo.do?sub=support&menu=testRequest
리서치 측정방법은 이쪽에 설명이 잘 되어있네요...
실제로 네이버 찾아보시면 정유사별 고급유 품질 찾아보시면 왜 그런지 아실 듯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