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첫 글이 정보공유를 부탁하는 글이어서 송구스럽습니다만 제가 가입되어 있는 어떤 자동차 관련 싸이트들보다 고수 분들이 많다고 확신하는 테드 회원분들께 MDPS(EPS) 자석현상에 대한 정보 공유 부탁드립니다.
개인적으로 MDPS를 아반테md(2010년 8월 출고, 2015년 6월 처분), yf쏘나타 하이브리드(2011.11월 출고, 2016년 2월 처분), 맥스크루즈 페이스리프트(2015년 10월 출고~), 더뉴모닝(2016년 2월 출고~)를 통해 경험했고요. 그외 벤츠e220, bmw528i 등을 통해 eps를 경험한 적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현대기아 c-mdps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핸들링 느낌과 소음문제라기보다는 어느 순간 발생할 지 모르는 자석현상(스틱슬립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껏 탔던 현대기아 차량 중 아반테md, yf쏘나타 하이브리드에서 경험한 적이 있는데요. 일반적인 시내 주행에서는 자석현상을 거의 느끼기 힘듭니다. 하지만 고속도로에서 자석현상을 느끼게 되면 운전하는 게 정말 짜증날 정도로 미세조향 시 큰 불편함을 느낍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런 자석현상이 현대기아 mdps에만 있는 현상인 줄 알았는데... 말리부 eps에서도 간혹 발생하는 현상(스틱슬립)이더군요. 현대 사업소 들어가면 구체적인 원인에 대한 설명 없이 그냥 고가의 mdps모듈을 교체할 뿐입니다. 보증수리기간 내에서 자석현상이 발생할 경우 무상처리하는 게 가능하지만... 보증수리기간이 지나면... 좀 피곤한 과정(부품은 무상제공, 공임은 유료 또는 그 반대)을 거쳐야 하더군요. 반면에 쉐보레 말리부의 경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 같았습니다. 현대기아 mdps에 비해 판매량이 훨씬 적은 쉐보레 말리부 eps도 자석현상(스틱슬립 현상)의 발생 원인(차량 전류(전압) 문제)이 유추되는 것 같은데... 현대기아 mdps의 자석현상 발생원인은 정말 검색하기 힘들더군요.
혹시 mdps 자석현상의 발생원인에 대해 아시는 분 또는 어느 정도 유추하실 수 있는 테드 회원분들의 정보공유 부탁드립니다.

12년식 YF 입니다.
보증기한 지나도 부품값은 지원받을 수 있는건가요? *.*
간헐적으로 자석현상이 벌어지는데
모비스에서는 자기들은 그런 증상에 대한 리포트를 받아본 적 없다고 오리발 내밀고...
해결방법만 명확하다면 돈 들여서라도 고칠 의향이 있는데 어디서도 제대로 된 정보를 얻을 수가 없습니다.
MDPS 갈아 봤자 얼마 못 가 똑같은 증상이 나타난다고들 하니 애먼 돈 들이기도 그렇고
보증기한 내에는 문제가 없었기 때문에 교환도 못했는데요 T.T
다만 한가지 짐작으로는 센서문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유는
1. 증상이 일정하지 않다.
나타났다 나타나지 않았다 합니다. 기계적 고장이라면 항시 나타나 것 같은데
2.. 전기적 문제로 보인다는 의견들이 있다.
에어컨을 작동하는 등 부하를 가하거나 모드를 바꾼다던가 하는 식으로 증상이 완화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아시다시피 전자제품이 접촉불량이거나 하면 전기부하에 따라 증상이 개선되거나 하는 현상을 보이니
http://m.blog.naver.com/gumjong/220634299222
자석 현상이 윤활유 부족으로 생긴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제글을 링크 해주셧군요. 원인은 웜기어의 기어 간격과 마찰에따른 자석 현상입니다.
초기 HD I30 에 달려 있는 MDPS는 웜기어의 간격이 넓고 토크센서가 광학식이였죠. 초기 MDPS 자석 현상보다 웜기어의 간격이 넓어서 헐렁하고 핸들의 반응이 멍텅구리 였죠 자석 느낌은 없습니다.
2세대 K5 YF HG VG 로 넘어 오면서 토크 센서는 자석방식에 비틀림구조에 센서이고 웜기어의 간격을 차종마다 조정이 가능한 구조로 바뀌었습니다. 아래 참고
http://blog.naver.com/gumjong/220686448359
원인은 MDPS 조향의 유격을 줄이기 위해 웜기어의 간격이 적은데 거기에 초기 충진된 윤활유가 세월이 지나면서 사라진다는겁니다. 이건 C타입이던 R타입이던 똑같습니다. C는 웜기어 방신이 컬럼에 붙어 있고 R은 기존 C타입을 오무기어 쪾에 붙인거니깐요.. 이게 대표적인게 LF 터보 2.0 R타입입니다. 단지 랙에 MDPS를 옮기면서 모터의 토크 증가는 했지만 구조는 같습니다. 웜기어의 윤활유가 필요하지 않는 MDPS 장치를 만들어야하는데 기어사이에 윤활유가 담당하는 비율을 줄이고 볼베어링을 넣어서 그성능이 오래 지속 되게 되어 있습니다.
현재 그리스를 도포하기 쉽게 아래 링크 처럼 해놓은 상태이며
http://blog.naver.com/gumjong/220838405316
상당히 만족하고 부드러운 MDPS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리스에 따라서 새차일때보다 더 부드럽고 가벼운 MDPS 감각을 주기도 합니다. 주변 지인도 만족해 합니다.
핸들을 좌우로 끝까지 돌리고 일시적으로 자석 느낌이 없다가 다시 발생하면 윤활유가 거의 없다는 증상입니다.
현대기아에서는 분명 mdps 자석현상의 원인에 대해 알고 있겠죠? 필드에서의 실제 불량률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도 갖고 있을 것 같습니다.
구형 i30 1.6 타고있습니다만, 핸들이 오락기 핸들같은 느낌은 있는데 자석현상이라고 불리우는 건 경험하지 못했습니다.
한달에 2~3천키로 정도 타고 그 중 절반이 고속도로 & 고속화도로인데..
주위에 k5타는 친구도 있는데 딱히 얘기는 없네요.
제가 운이 좋은건가요? 아니면 이게 또 구형은 안 생기는 문제인가..
2015년 7월식 MD F/L 끝물을 타고 있습니다만, 벌써 자석현상 나타났습니다.
스티어링을 천천히 적은 각도로 돌릴 때 특정 각도마다 돌리는 방향으로
넘어갈 듯 다시 되돌아올 듯 인위적인 힘이 왔다갔다 하는게 느껴지는데,
고속도로에서 아주 짜증납니다.
보증기간에는 수리 받고 타다가 이후 재발시 유압식 개조로 알아본 뒤
불가능하다면 그냥 유압식인 XD 상태 좋은 중고로 돌아갈까 생각 중입니다.
타사 EPS조차 신뢰가 안 갈 정도로 짜증이 나는 상황입니다.
말로만 MDPS 소문을 들을 땐 몰랐는데, 직접 겪으니 상상을 초월하는 스트레스네요.
차가 제멋대로 가요. 자율주행... 아니, 자폭주행차인거 같습니다... ㅡㅡ;;

자석현상이 계속 나는건 아니고 4번 중 3번은 자석현상 한번은 정상으로 되긴 하는데요.. 자석현상이 있을때마다 스티어링이 잠기는게 아닌가 정말 걱정하면서 탑니다.. 정말 탈때마다 이런 걱정으로 조마조마 하며 타야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13년형 크루즈 가솔린에서도 그런 증상 있었습니다. 고속도로에서 110~120km 정도 항속주행하면서 핸들을 살짝 돌리면, 간헐적으로 특정각도에서 자석과 자석이 떨어지는 듯한 느낌이 들었었습니다. 운전이 꽤나 피곤해지더라구요. 말리부 동호회에서는 꽤나 이슈가 되었었는데 크루즈동호회에서는 별 이야기가 없더군요. 지금은 여차저차한 이유로 크루즈디젤수동을 타고 있습니다.
부산에 부모님댁에 가면 어머니차가 YF라 종종 이용하는데 운전하다보면 미세조향할때 자석에 살짝 붙어있어서 약간 힘을 주면 자석에서 떨어지면서 핸들이 돌아가는 느낌이 나던데...문제가 있긴 있나봅니다...mdps 보증수리는 한번 받았는데...커플링만 교체 받은걸로 알고 있는데...다시 한번 a/s를 받아봐야겠네요~저도 명확한 이유나 해법이 있으면 좋겠네요...

11년8월 yf-t
자석현상 발생으로 보증기간 종료얼마 안남기고 수리한적 있습니다
고속도로에서 왼쪽팔 아플정도,살좀 붙혀 말하자면 랠리 드라이버 핸들링을 구사했습니다
모듈을 통째로 갈고나니 증상이 완젼 해결 되었습니다
그런데 교체하고 나니 달라진게
대략 시속20km 이하 구간에선 핸들이 한손가락으로 돌려도 될만큼 가벼워졌고
그이상 속도에선 무거워짐니다
교체전엔 이러지 않았고요
지금도 아무문제 없이 잘 사용하고 있는데
제 느낌엔 문제 해결된 새로운 장치로 교체해준게 아닌가 하네요
기존 제품은 커플링 같은거 바꿔봤자 소용 없을지도
그랜저HG 3년차 운용중 이고요,
자석현상으로 운전중에 열받아서 소리 지른적 많습니다.
요즘 느끼는건데요, 시동걸고 바로 출발하면 시동 끄기 전까지 자석현상이 거의 없습니다.(급한 출근길)
반대로 5분이상 시동 걸어놓고 출발하면 바로 자석현상이 나타납니다.(여유로운 퇴근길)
요즘 계속 아침엔 바로 출발하고 저녁엔 시동 걸고 좀 따뜻해지면 출발 하는데 항상 같은 현상 입니다.
이런 현상으로 보아 열과 어느정도 관계가 있지 않을까 조심스레 추측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