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우리집엔 마티즈 한대와 CBR929RR, 효성 트로이 이렇게 세종류의 탈 것(?) 이 있습니다.
(인라인과 보드는 제외..^^;) 마티즈는 와이프의 출퇴근용도로 주로 쓰이구요 그이외의 용도엔 제가 운전을 합니다. CBR929RR 는 주말 투어용으로 가끔 이용하고 125cc 단기통메뉴얼 바이크인 트로이는 집과 직장의 출퇴근용도(왕복8km) 로 쓰입니다.
이 세가지 탈 것을 이용하다보니 자동차운전자의 입장에서 본 대형 바이크와 대형바이크운전자 입장에서 본 자동차 운전자의 입장 , 또한 출퇴근용 저배기량 바이크를 이용하는 운전자의 입장에서 본 자동차의 운전자 입장 ...이 세가지 상황 모두를 겪을 수 있더군요.
윗 글을 읽으면서 회원님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저역시 가끔 차 옆을 스치듯이 지나가는 바이크 땜시 놀란적도 있구요. 놀라서 주행중 핸들을 꺾은적도 있었지요. ^^;
자동차 운전자 입장에서 보면 바이크 타는 사람들은 참 눈에 거슬립니다. 움직임이 너무 순간적이라서 ...
반면 제가 대형바이크를 타고 교외로 나갈 때는 1차선에서 규정속도로 유유히 크루징하는 자동차 운전자 (특히 김여사, 김사장 버전) 들이 눈에 거슬립니다. 뒤에 오는 바이크를 보고 2차선으로 잠시 양보해주면 고마울텐데 2차선 차들과 나란히 주행을 하니 뒤에 쫓아가기란 참으로 힘든 고뇌의 연속이 됩니다. 제가 탄 바이크란 놈은 힘이 무시무시하게 좋은 놈이라서 마구마구 뛰쳐나가고 싶어 안달인데 앞에서 천천히(?) 가는 자동차가 비켜주기만을 기다린다는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지요. 더더군다나 레플리카(소위 알차 또는 뿅카 라 불리우는 바이크)바이크의 승차자세는 거의 엎드려뻗쳐 자세라서 오랜시간동안 꼿꼿이 달릴수가 없습니다. (만일 고속도로에 대형바이크의 통행이 허용되면 처음엔 레플리카들이 마구마구 달리겠으나 시간이 지나면 고속크루징바이크(골드윙 등등)나 아메리칸 바이크(할리 등등) 들이 많이 다닐겁니다. 레플리카 바이크로 30~40분이상 100~130km 정도로 크루징하면 라이더들이 꿈틀꿈틀 댈겁니다. ㅋㅋ 허리아프고 지루해서요. 레플리카 바이크의 주목적은 코너링이기때문이죠. 그리고 엄청나게 닳는 타이어를 보고 눈물을 흘릴 수 밖에 없을겁니다. 제 바이크의 뒷타이어가 미쉐린파일럿스포츠인데 소비자가격이 25만원정도하구요 내구성은 약 5000~7000km 정도입니다. 고속도로 몇번만 다니면 타이어 바꿔야합니다. ㅜㅜ)
이야기가 약간 옆길로 샛군요. ^^;...각설하고
앞에 가는 자동차가 당췌 비켜줄 생각을 안하니 결국 빨리갈 수 있는 방법은 차 사이로 가는 방법밖에 없더군요. 저역시 차사이로 지나다녀 봤는데 자동차 운전자들에게는 상당히 미안하더군요. 놀랄까봐 걱정도 되구요. 그래서 가급적 차사이로 갑자기 들어가지 않고 뒤에서 왔다갔다하면서 저의 존재를 알려줍니다. 그런 뒤에 지나가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때로는 제바이크를 보시고 살짝 비켜주시는 분도 계십니다. (얼마나 고맙던지..) 그러면 저역시 되도록 빨리 지나간 후 손을 들어주어 답례해드립니다. 반면 오히려 바이크가 지나갈 수 없도록 공간을 막는 분도 계시더군요. 그런 분이 계실 땐 그냥 참고 뒤 따라가다 틈이 보이면 급차선변경후 지나가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또 다른 탈 것인 125cc 트로이 입니다. 출퇴근용으로만 쓰기때문에 시내에서만 잠깐잠깐 이용합니다. 마티즈, CBR929RR, 트로이 이 셋중 트로이를 탈 때 제일 위험하고 제일 긴장하고 탑니다. 왜냐하면 자동차 운전자분들이 제일 무시하시기 때문이죠. 정상적으로 차선 중간에 주행하고 있어도 옆쪽으로 바짝 붙어서 추월하시는 운전자분...(한 번은 이렇게 추월하시는 분이 있어서 제가 무척 놀란적이 있었습니다. 화가 나서 앞쪽으로 추월해서 차을 세운 후 왜 위험하게 추월하느냐고 묻자 " 난 안전하게 추월했다~" 라고 이야기하시더군요.) 신호대기중에 옆에 슬쩍 다가와서 제 앞에서 좌회전하시는 분(저는 직진) , 뒤에 바짝 붙어서 위협하시는 분..(저에게 배틀거시는건지.. _ _+) 등등...
오히려 CBR929RR 을 타고 다닐 땐 자동차들이 제 옆에 얼씬도 안하시던데...
이 세가지 모두를 경험해보니 서로서로를 좀 더 이해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그래서 가급적 배려해주면서 운전하구요. 또 그렇게 이해하면서 운전하다보니 스트레스도 안받고 차안에서 저를 보고 손흔들며 웃는 아이들에게 손도 흔들어 주는 여유도 생기더군요. 프랑스 같은 경우는 고속도로나 일반도로에서 차가 정체시 차와 차사이 가운데 자리는 비워주더군요. 바이크가 지나갈 수 있도록 말입니다. 나는 정체중인데 바이크는 기분나쁘게 휙휙 지나간다는 마음이 아닌 바이크라도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마음이라고 하더군요. (역시 교통선진국..).. 또한 우리나라의 고속도로에 바이크통행금지 시킨것은 정말 사고사망률이 높아서가 아닌 그당시 정치하시는 아찌분들의 여론무마용으로 (당시 교통사고 사망률이 높아지자 전혀 근거없는 이륜차의 사고사망률이 높네..어쩌네 하면서 통행금지시킨것이라고 하더군요. 참고자료 cafe.daum.net/twowheel 을 참고해주세요. )
사람이 살다보면, 또 운전하다보면 서로서로에게 기분나쁜일도 생기고 다툼도 생기겠지만 서로를 이해하면서 운전한다면 좀더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지않을까 해서 글올립니다.
장문의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_ _)
2006.05.16 16:58:41 (*.244.218.10)

저도 한때 바이크를 탔던 사람의 한사람으로써 조금 첨언을 한다면, 우리나라에서 차를 운전하시는 분들 중 과연 몇퍼센트가 이륜차를 하나의 '차'로 인지할까 입니다...
바이크 뒤에서 차를 운전하게 되면 차에 비해 바이크 앞의 시야가 보여서인지는 몰라도 차선 중앙에 바이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운전하는 듯한 모습을 많이 보게 됩니다...
이륜차를 운전하고 있을 때 가장 큰 위협은 진영님께서 언급하신 것처럼 이륜차의 존재를 무시하고 들이대는 차량의 행동입니다...
차량의 내부에서 보호(?)받는 입장의 드라이버와 차량 외부에서 노출되는 드라이버의 입장은 엄연히 틀리기 때문에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보호해 주어야 하는 것이 맞지 않나 생각됩니다...
이륜차도 하나의 '차'로 인지하게 될 때 교통선진국으로 가는 그 시점인 것 같습니다...
바이크 뒤에서 차를 운전하게 되면 차에 비해 바이크 앞의 시야가 보여서인지는 몰라도 차선 중앙에 바이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운전하는 듯한 모습을 많이 보게 됩니다...
이륜차를 운전하고 있을 때 가장 큰 위협은 진영님께서 언급하신 것처럼 이륜차의 존재를 무시하고 들이대는 차량의 행동입니다...
차량의 내부에서 보호(?)받는 입장의 드라이버와 차량 외부에서 노출되는 드라이버의 입장은 엄연히 틀리기 때문에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보호해 주어야 하는 것이 맞지 않나 생각됩니다...
이륜차도 하나의 '차'로 인지하게 될 때 교통선진국으로 가는 그 시점인 것 같습니다...
2006.05.16 17:00:45 (*.145.76.171)

자동차 운전자도 천차만별인것 처럼, 라이더도 천차만별이죠. 하이레벨 바이크매니아중엔 의사 변호사..교수등 전문직 종사자와 사업하는 사람들이 많더군요. 수퍼카를 갖고있는 분도 많고.. 의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아닙니다. 헬멧과 윈드쉴드에 얼굴이 가려지니 묘한 자유본능이 좀 일긴 하지만..^^
고딩 양아리 무리가 경광등 흔들면서 무리져 달리는데, 뒷차들의 흐름이 빠르면.. 전 일부러 서행하며 막습니다. 언넘은 지 위협하는줄알고 받침대 내려 불꽃튀기며 가더군요.ㅎㅎ 가끔 개념없이 막고 가는 차가 있듯이, 개념없이 막고 서행하는 일반 바이크도 있죠.
함부로 타는 못된넘들은 혼내줘야하지만..차의 퀄리티에 따라 인명을 경시하는 풍토는 없어져야 하지요. 아주 조심스러운 얘기지만, 일부분..바이크와 차를 망라해, 차의 퀄리티에 따른 막운전과 매너운전의 차이가 있기도 합니다.
고딩 양아리 무리가 경광등 흔들면서 무리져 달리는데, 뒷차들의 흐름이 빠르면.. 전 일부러 서행하며 막습니다. 언넘은 지 위협하는줄알고 받침대 내려 불꽃튀기며 가더군요.ㅎㅎ 가끔 개념없이 막고 가는 차가 있듯이, 개념없이 막고 서행하는 일반 바이크도 있죠.
함부로 타는 못된넘들은 혼내줘야하지만..차의 퀄리티에 따라 인명을 경시하는 풍토는 없어져야 하지요. 아주 조심스러운 얘기지만, 일부분..바이크와 차를 망라해, 차의 퀄리티에 따른 막운전과 매너운전의 차이가 있기도 합니다.
2006.05.16 17:55:19 (*.147.76.64)
저는 간선도로 등 (오토바이 통행이 제한되어 있는곳)에서도 오토바이를 욕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대부분 퀵하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그렇지요..얼마나 바쁘면 그럴까 하는 생각도 하고요...그런데 옆차와 간격을 벌려 지나가게 해줘도 최진영님처럼 손을 들거나 비상등을 켜서 표시하는 경우는 한번도 본적이 없네요^^*
2006.05.16 18:39:36 (*.55.117.115)

저도 바이크 입문한 지 얼마되지않아서..(1년정도) 아직까지 양보해주는 차에 대해 모두 손을 들어주기가 상당히 힘듭니다. ^^; 글구 바이크에 따라서는 비상등 스위치가 없는 바이크도 많구요. 퀵하시는 분들은 일일이 손들어주시기가 거의 불가능이 아닐런지..^^; 차운전할 때 손들어주는거랑 바이크 운전할 때 손들어주는 건 천지차이더군요. ㅎㅎ ( 윤기섭님의 양보운전이 사고예방이라는 복으로 되돌아올겁니다. 세상은 공짜가 없더군요. ^^* )
2006.05.16 18:57:16 (*.147.76.64)
진영님 리플을 보고 곰곰히 생각해보니 오토바이라는 특성을 이해 못한 제게도 문제가 있군요...아직 저는 오토바이를 탈줄 몰라서요^^* 암튼 차보다는 좀더 위험에 노출된 상태로 다닐수 밖에 없으니 좀더 신경써야 겠네요...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2006.05.16 19:17:09 (*.92.251.96)
이륜차의 고속도로진입..자동차의 규정속도 해제..무엇보다도 선진 문화가 우선시 되었을때 가능하다고 봅니다.
car=bike 라는 상호간의 입장이 정착되었을때 비로소..
car=bike 라는 상호간의 입장이 정착되었을때 비로소..
2006.05.16 23:19:37 (*.140.151.186)

윤기섭님께서 그렇게 이야기해주시니 제가 몸둘바를 모르겠습니다. ^^; 중요한 점은 오토바이가 위험하다 아니다를 떠나서 차를 운전하든 바이크를 운전하든 운전자의 마음가짐과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저역시 바이크를 운전하지만 가끔보면 생양*치 처럼 운전하는 라이더도 있는반면 정말 신사적으로 안전하게 운전하는 라이더도 있습니다. 양*치 처럼 운전하는 라이더라던지 헬멧 안쓰고 운전하는 라이더들은 라이더들사이에서도 욕을 먹기 쉽상입니다. 가끔 바이크메니아(국내최대 바이크라이더의 다음까페, 회원수 15만명, cafe.daum.net/bikemania) 에 보면 난폭운전이라던지 헬멧안쓰고 운전하는 라이더들 탓하는 글이 올라오곤한답니다. 바이크 타시는 분들중에 자동차도 운전하는분들이 많은 탓인지 바이크타다가 자동차때문에 곤란했던 글은 거의 올라오지 않습니다 . 그런 글이 올라오더라도 김여사 버전이나 김사장님 버전의 운전자분들(다들 아시죠? 김여사... 사이드미러안보고 차선바꾸시는 아주머니분들...불법유턴 마구마구 하시는 아저씨분들은 김사장님..)이야기일뿐 다른 이야기는 거의 안올라옵니다.
아무튼...서로서로 잘 이해하면서 안전한 교통문화가 정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참~! 방금 들은 소식인데요. 우리나라 최동관선수(야마하소속) 가 중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1억이상 튜닝된 1000cc 바이크를 물리치고 노멀순정 가와사키 600cc(닌자6R) 바이크로 우승을 차지했다는군요. ^^*
아무튼...서로서로 잘 이해하면서 안전한 교통문화가 정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참~! 방금 들은 소식인데요. 우리나라 최동관선수(야마하소속) 가 중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1억이상 튜닝된 1000cc 바이크를 물리치고 노멀순정 가와사키 600cc(닌자6R) 바이크로 우승을 차지했다는군요. ^^*
2006.05.17 08:35:58 (*.144.184.106)

최진영님 열정에 다시한번 박수를 보냅니다.
참고로, 제가 캠페인을 할때는 "왼손은 내손이 아니다"라는 생각으로 최대한 시내에서는 수신호와 감사의 표시를 하는것을 원칙으로 삼았습니다. 929정도의 자세에서는 상황이 많이 다를지도 모르겠지만 닌자6R을 타면서도 거의 그렇게 다녔습니다. 물론, 조금 느리긴 했습니다. 즐거운 라이딩 되시길~
참고로, 제가 캠페인을 할때는 "왼손은 내손이 아니다"라는 생각으로 최대한 시내에서는 수신호와 감사의 표시를 하는것을 원칙으로 삼았습니다. 929정도의 자세에서는 상황이 많이 다를지도 모르겠지만 닌자6R을 타면서도 거의 그렇게 다녔습니다. 물론, 조금 느리긴 했습니다. 즐거운 라이딩 되시길~
2006.05.17 08:45:41 (*.144.184.106)

참, 최동관 선수의 머신을 보지는 못했지만, 제가 아는 지식에서,(제가 2002년에 바이크에서 내렸거든요.) 닌자6R은 (정확히는 ZX-6RR <- 레이스용 머신은 R이 두개 붙습니다. 가와사키 머신의 명명법이죠) 레이스 호몰로게이션을 위한 머신이 나옵니다. 아무래도 레이스를 위해서 출고된 순정바이크를 탔다는 예기로 생각됩니다.
당시, 가와사키에서 미들클래스 바이크를 636cc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레이스 규정에 맞지 않게 되자, 아예, 레이스 전용 ZX-6RR을 따로 내놓은거죠.(여기까지가 2002년까지 제가 기억하는 내용입니다.) 이전에 ZX-7R도 7RR이라는 레이스 전용 모델이 있었습니다.
경험상으로는, 마지막으로 탔던 YZF750SP (야마하는 SP로 끝나는 모델이 레이스를 위한 머신입니다.)에 비추어 봤을때, 레이스 호몰로게이션 모델은 한차원 높은 주행이 가능합니다. 물론 실용성은 많이 떨어지지만 한번 그맛을 보니 잊을수가 없더군요.
FCR 캬브레터의 즉각적인 콘트롤, 올린즈 서스펜션, 클로즈 미션, 초강성의 프레임까지 모든 것이 한차원 다른 주행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물론, 그 모든게 순정이었죠. 참고하세요.
당시, 가와사키에서 미들클래스 바이크를 636cc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레이스 규정에 맞지 않게 되자, 아예, 레이스 전용 ZX-6RR을 따로 내놓은거죠.(여기까지가 2002년까지 제가 기억하는 내용입니다.) 이전에 ZX-7R도 7RR이라는 레이스 전용 모델이 있었습니다.
경험상으로는, 마지막으로 탔던 YZF750SP (야마하는 SP로 끝나는 모델이 레이스를 위한 머신입니다.)에 비추어 봤을때, 레이스 호몰로게이션 모델은 한차원 높은 주행이 가능합니다. 물론 실용성은 많이 떨어지지만 한번 그맛을 보니 잊을수가 없더군요.
FCR 캬브레터의 즉각적인 콘트롤, 올린즈 서스펜션, 클로즈 미션, 초강성의 프레임까지 모든 것이 한차원 다른 주행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물론, 그 모든게 순정이었죠. 참고하세요.
2006.05.17 11:49:01 (*.147.192.126)

저는 바이크는 안타봤지만, 수년전 MTB 자전거 동호회 따라다니면서 시내와 산길에서 자전거 열심히 탔었습니다. 도로교통법에는 자전거가 차도로 다닐 수 있지만, 실제로 차도로 달리면 헬멧 등 복장을 다 갖춰도 자동차 특히 버스의 견제를 많이 받습니다. 그러면 우리도 호각을 세게 불곤 했지요.
요즘 자동차를 타면서 동네 좁은 길에서 자전거를 만나면 참 귀찮습니다. 잘못 추월하면 사고날 것 같고, 그냥 따라가자니 속에서 열불나고....
그뿐 아니고 인도가 제대로 없는 좁은 옛길이 아직 많은데, 옆에서 느려터진 보행자가 짜증이 납니다. 보행자 입장에서는 자동차가 밉고요....^^
결국 일상적인 공도에서는 서로 배려해주고 양보하고 잠시 늦어도 참고 뭐 그러는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위에 어느 분이 언급하셨던 프랑스에서 같은 관용과 배려가 있으면 더할나위 없겠지요...
운전을 많이 할수록, 무조건 빨리 달리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
요즘 자동차를 타면서 동네 좁은 길에서 자전거를 만나면 참 귀찮습니다. 잘못 추월하면 사고날 것 같고, 그냥 따라가자니 속에서 열불나고....
그뿐 아니고 인도가 제대로 없는 좁은 옛길이 아직 많은데, 옆에서 느려터진 보행자가 짜증이 납니다. 보행자 입장에서는 자동차가 밉고요....^^
결국 일상적인 공도에서는 서로 배려해주고 양보하고 잠시 늦어도 참고 뭐 그러는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위에 어느 분이 언급하셨던 프랑스에서 같은 관용과 배려가 있으면 더할나위 없겠지요...
운전을 많이 할수록, 무조건 빨리 달리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
이륜자동차 고속도로 통행 관련해서 캠페인을 하던때가 몇년전인데, 시간이 많이 지나도 서로간의 이해가 없다면 발전이 없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