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재미있는 상상이지만, 이 두차종이 대결을 벌인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참으로 궁금합니다. 지인이 소유하고 있는 Integra Type-R DC5(일본내수용)는 흡배기튠을 통해 다이나모 휠파워가 211ps마력에 달하는 놈입니다. 8400rpm까지 사용하는 2리터 N/A 괴물이죠. (차량중량이 1100kg대라고 하네요 OTL ㅡ_ㅡ;;) 6천rpm에서 VTEC캠쉬프트가 이루어지면 급상승하는 G포스가 가슴으로 느껴집니다.
평지에서는 GPS기준으로 Y47kph를 마크하며, 내리막에서는 좀 황당하지만 Y55까지 나갑니다. 가벼운 중량으로 인해 드래그나 롤링 스타트에서는 M3급 이상의 "준수퍼카"급이 아니면 앞서기가 쉽지 않습니다.
타입R은 FF치고는 대단히 뛰어난 R&H를 보여줍니다. 전세계 FF차중 가장 진보한 R&H감성을 느낄 수 있다고 감히 평가해보고 싶군요.
그리고 또하나의 2리터 괴물, GTI는 테드 회원님들이 너무나도 친절하고 많은 분량의 시승기를 써 주셔서 더이상 언급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누군가에게 pocket rocket이란 단어의 의미를 설명하고 싶다면 별다른 말 필요없이, 그저 GTI를 한번 시승시켜 주기만 하면 되겠죠.
N/A한계까지 쥐어짜낸 고회전 엔진과 경량바디에 날카로운 핸들링 실려까지 갖춘 타입R....
그리고 독일차 특유의 엄청난 바디강성과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고속안정성, 칩튜닝만으로도 250마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엔진, 보다 진보된 성능의 6속DSG을 만재한 GTI...
두 차가 지향하는 방향이 다르고, 즐거움을 얻는 방법도 다르겠지만, 이 두대가 자웅을 겨룬다면 과연 어느차의 우세로 판가름날지, 매니어라면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즐거운 일일것입니다. 각각 일본과 독일을 대표하는 2리터급 FF머신인 만큼 두 나라의 차만들기 특성을 비교해보는것도 재미있을것 같습니다.
1. 쿼터마일 드래그
2. 120kph 롤링스타트
3. 고속 주행
만약 이렇게 3가지 종목으로 나누어 대결을 해본다면 과연 어떤 결과가 나올런지? (얼마전 카앤드라이버지에 시빅Si비교한 기사가 나긴 했습니다)
테드 회원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
2006.05.17 15:16:33 (*.189.163.250)

칩튜닝만으로 300마력 나오기는 힘들텐데요...^^;
보통 250마력 수준이고, 아주 어그레시브하게 가도 270마력?
보통 250마력 수준이고, 아주 어그레시브하게 가도 270마력?
2006.05.17 16:43:31 (*.37.198.195)
제 생각에 측정해보면 수치상으로 1, 3번은 근소하게건 아니면 인정할 정도로 차이가 나건 Type-R 이 우세할것 같습니다. 2번은 GTi가 우세할거 같구요. 그런데, 드라이버가 느끼는 GTi의 필링이 그 수치를 어느정도 커버해줄것 같습니다. 아직까지 편협하게도 저는 독일차와 일본차를 동일선상에 놓지 않고 있습니다. ^^ 하지만 말그대로 편협한것은 편협한것이고... Type R이 어쨋건 성능상으로는 우세할것 같습니다. ^^
2006.05.17 19:17:35 (*.12.173.144)
비슷한 수준의 라이트튜닝을 했을 경우, 아마 모두 다 인테그라의 근소한 우위일 것입니다. 코너링 능력도 신형 시빅 type R이 좀더 우세한 능력을 보인것으로 미루어 짐작해보면 인테그라의 승리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아마도...) 하지만 리뷰어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형 GTI의 손을 들어준 것은 객관적으로 수치를 매기기 애매한 감성적인 측면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 저도 GTI를 몰고 있지만 무게가 있어서인지 경쾌한 핸들링은 일본차에 비해 좀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만 VW의 매력은 뭔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그 무엇이 있는것 같습니다.
2006.05.17 19:55:15 (*.117.249.33)
감성을 배재한 비교를 원하신것 같군요..
예전에 RSX와 드래그를 해봤기 때문에 GTI의 스타드 보다는 조금 빠르다고 사료 됩니다.
GTI는 몰아본 결과 런칭을 세게 하면 땅파는 결과나 나옵니다.
0-60ft의 스타트가 70%의 승부를 가름하기 때문에 쿼터마일에서는 GTI의 뒷힘이 들어오더라도 미스쉬프트가 없다면 RSX보다 뛰어난 인테그라 Type-R이 근소한 차이로 유리할겁니다. 초반은 정말 무섭게 나갑니다. GTI의 앞바퀴 사이드 월이 높고 공기압을 낮추면 비슷할것 입니다.
롤링에서도 둘다 6단(파워밴드를 6번 친다)이라는 점에서 순발력은 Type-R이 고알피엠Vtec과 라이트 웨이트 바디로 인해 뛰어날것으로 사료되나 뒷심을 주는 GTI가 다시 따라 붙거나 최고속이 더 나오는 차가 이기겠지요. 실질적 승부는 200키로 뒤에서 나올거라 생각 됩니다.
3번째 비교는 간튜닝이기 떄문에 비교가 어렵습니다. 이만 저의 허접한 의견이였습니다.
예전에 RSX와 드래그를 해봤기 때문에 GTI의 스타드 보다는 조금 빠르다고 사료 됩니다.
GTI는 몰아본 결과 런칭을 세게 하면 땅파는 결과나 나옵니다.
0-60ft의 스타트가 70%의 승부를 가름하기 때문에 쿼터마일에서는 GTI의 뒷힘이 들어오더라도 미스쉬프트가 없다면 RSX보다 뛰어난 인테그라 Type-R이 근소한 차이로 유리할겁니다. 초반은 정말 무섭게 나갑니다. GTI의 앞바퀴 사이드 월이 높고 공기압을 낮추면 비슷할것 입니다.
롤링에서도 둘다 6단(파워밴드를 6번 친다)이라는 점에서 순발력은 Type-R이 고알피엠Vtec과 라이트 웨이트 바디로 인해 뛰어날것으로 사료되나 뒷심을 주는 GTI가 다시 따라 붙거나 최고속이 더 나오는 차가 이기겠지요. 실질적 승부는 200키로 뒤에서 나올거라 생각 됩니다.
3번째 비교는 간튜닝이기 떄문에 비교가 어렵습니다. 이만 저의 허접한 의견이였습니다.
2006.05.17 20:31:35 (*.119.172.114)

감성 무시못하죠 사실 뒤에가니 출력보단 감성에 따라가게 되더군요 :) 타기즐거운 차로~ (펀치력 좋은차가 좋아요 우흐흐)
2006.05.17 21:46:41 (*.205.168.70)

개인적으로 인테그라 타입 알의 손을 들어주고 싶습니다.
성능이나 편의장치등등의 비교는 일단 젖혀두고 감성적 드라이브에서
타입알의 핸들링에 손을 들어주고 싶네요 펀 투 드라이브에 좋은
국도에서의 타입알이 주는 기쁨은 운전자체에 빠져드는 매력이 있습니다.
비록 고출력은 아니지만 비록 고급스러운 분위기는 아니지만
비록 s2000보다 떨어지는 스타일링에 출력도 낮지만 펀투 드라이브라는
감성적 측면에서 인테그라가주는 기쁨은 손을 들어 주기에
부족함이 없다는 사견입니다.
성능이나 편의장치등등의 비교는 일단 젖혀두고 감성적 드라이브에서
타입알의 핸들링에 손을 들어주고 싶네요 펀 투 드라이브에 좋은
국도에서의 타입알이 주는 기쁨은 운전자체에 빠져드는 매력이 있습니다.
비록 고출력은 아니지만 비록 고급스러운 분위기는 아니지만
비록 s2000보다 떨어지는 스타일링에 출력도 낮지만 펀투 드라이브라는
감성적 측면에서 인테그라가주는 기쁨은 손을 들어 주기에
부족함이 없다는 사견입니다.
2006.05.17 22:02:42 (*.140.188.58)

왠지 드래그는 인테그라 2,3번은 GTI가 이길것 같네요 고속에서의 독일차는 배기량과
출력에 비해 무섭기때문에... 예전에 passat탈때(1.8T) 4리터 팔콘을 고속도로에서 이겨본적이 있습니다 무서운 폭스바겐...
출력에 비해 무섭기때문에... 예전에 passat탈때(1.8T) 4리터 팔콘을 고속도로에서 이겨본적이 있습니다 무서운 폭스바겐...
2006.05.18 01:13:52 (*.79.242.146)

차를 바라볼 때 역시나 '감성'이 빠질수 없는 테드의 수준 높은 분위기가 느껴지네요... ^^
오직 고회전 지향의 엔진은 특성상 날카롭고 신경질적인 것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때문에 드라이빙에 별 관심이 없거나 아직 능숙하지 못한 이들에겐 그저 다루기 까다롭기만한 엔진일 뿐이기도... 드라이빙이 원숙하고 운전에 능숙한 분들에겐 오히려 귀찮은 존재가 되기도 합니다. 반면 드라이버의 욕구를 한층 자극하는 엔진으로 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9000회전을 바라보는 구간의 변속은 어떤이에겐 일상일 수도 어떤이에겐 순간 순간이 아드레날린 펌프가 될 수도 있겠지요... 한방의 미스 쉬프트에 모든게 날아갈지 모른다는 긴장감... 어떤이 에겐 이해하기 힘든 사서 고생이고.... 누군가에겐 일상의 모든 번뇌가 날아가는 순간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오직 고회전 지향의 엔진은 특성상 날카롭고 신경질적인 것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때문에 드라이빙에 별 관심이 없거나 아직 능숙하지 못한 이들에겐 그저 다루기 까다롭기만한 엔진일 뿐이기도... 드라이빙이 원숙하고 운전에 능숙한 분들에겐 오히려 귀찮은 존재가 되기도 합니다. 반면 드라이버의 욕구를 한층 자극하는 엔진으로 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9000회전을 바라보는 구간의 변속은 어떤이에겐 일상일 수도 어떤이에겐 순간 순간이 아드레날린 펌프가 될 수도 있겠지요... 한방의 미스 쉬프트에 모든게 날아갈지 모른다는 긴장감... 어떤이 에겐 이해하기 힘든 사서 고생이고.... 누군가에겐 일상의 모든 번뇌가 날아가는 순간일지도 모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