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지난번에 독일 상공회의소 창립 25주년 행사장에서 만난 Mr. Hennig씨를 지난 선거날 만났습니다.

주말마다 직접 정비 및 튜닝을 하는 할리데이비슨 Sports star라는 91년식 모델이었고, 1200cc에 이것저것 튜닝을 해놓은 상태였습니다.

120kg의 거구라 바이크가 약간 작게 보이기도 했지만 그래도 할리데이비슨 자켓을 걸친 독일인도 제법 보기가 좋았습니다.

할리데이비슨은 단순하고, 기계적이기 때문에 좋아한다는 Mr. Hennig는 독일에서 포르쉐 964 스피드 스터, 포르쉐 엔진을 장착한 비틀, 레인지로버, 등을 가지고 있으며 독일집에는 정비를 위한 모든 것이 다 구비가 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하 사진들은 바이크 전문가들의 코멘트를 요합니다.


앞뒤 6피스톤 브레이크로 개조되어있는데, 할리데이비슨의 순정 브레이크는 정말 한심하다고 하네요.


Hennig씨와 저녁시간에 만나 제가 5세대 GTI로 리드를 해서 제주차장으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E34 M5를 몰고 40분 정도 드라이브를 하는 내내 한국에도 이렇게 상태가 좋은 E34 M5가 있다는 것이 놀랍고, 독일에 있는 자기 친구도 이차를 가지고 있는데 독일가서 만나면 내 이야기를 하겠다며 아주 좋아합니다.
독일인들은 한국의 칼질문화나 1차선 안비워주기등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지만 Hennig씨는 한국에서 이미 오래 살아서 자리 매우기식 운전에 익숙해져있었습니다.
한국의 2nd generation 드라이버들이 많아지면 지금보다는 운전하기 나아질 것이라는 낙관론을 펼치기도 했습니다.
다시 차고지로 돌아와 제 VR6를 보여주며, 다음번에는 이녀석으로 드라이브를 가자고 했더니 기대하겠다고 합니다.
VR6의 배기음을 들려주었더니 아주 자지러지더군요.
다시 차를 제자리에 세워두고 주차장에서 거의 한시간 정도 대화를 나누는데, 자기는 워낙 주중에 바쁘고, 주말에는 두아이와 개를 포함한 가족들과 시간을 함께해야하기 때문에 애마들하고는 자주 못노는 형편이다.
하지만 애마들과 시간을 많이 가지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내가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 중요하고, 내가 여건이 되면 놀 수 있는 도구가 언제든지 나를 기다리고 있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겠냐는 말을 했습니다.
저 역시 제 애마와 한달에 한두번 밖에 데이트를 못하는 입장에서 너무나 공감이 가는 멘트였습니다.
어쩔때는 하루종일 손보고 타보지도 못하고 한달을 기다리는 경우도 있지만 그래도 여건이 허락될 때 헬맷을 쓰고 거리를 달릴 수 있다는 것이 너무 행복하다는 Hennig씨는 진정한 매니어였습니다.
3주후 독일에 가면 포르쉐에서 주관하는 상당히 큰 오너행사에 자신의 스피드스터를 가지고 참석할 예정이라는 Hennig씨는 제가 만난 독일인중에서 가장 심각한 환자였습니다.
유럽사람들 입장에서 한국사람들은 차를 잘 모른다 혹은 운전을 못한다는 선입견을 깰 수 있는 기회로서 저와의 만남은 서로에게 분명 의미가 있었고, 나름대로 한국 자동차와 자동차 문화의 발전속도를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testkwon-
2006.06.05 17:41:04 (*.145.76.171)

오..저 할리데이비슨은, 90년 영화 '블랙레인'에서 마이클더글라스가 새벽거리에서 일제R차와 돈내기 배틀하던 기종 같군요. 멋집니다.
2006.06.05 17:47:39 (*.155.187.217)

어제 서산에서 국도로 수원 방향으로 올라오는데, 할리 2대가 같이 투어링을 하더군요. 제 차로 옆을 지나면서 배기음이 공명하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2006.06.05 17:48:16 (*.236.122.215)
개인적으로 비슷한만남의 기회가 두어번 있었는데... 외국어능력부족으로...
한탄스럽던 과거가 기억납니다. ㅜㅜ
참 멋진만남이네요~ 이런만남이 많아졌으면 합니다^^
한탄스럽던 과거가 기억납니다. ㅜㅜ
참 멋진만남이네요~ 이런만남이 많아졌으면 합니다^^
2006.06.05 18:20:12 (*.111.92.151)

음....일단은 브레이크가 일단은 순정은 못쓸정도는 아니지만 300kg 다되는 덩치를 순간적인 멈추기에는 식은땀이 나지요... 물론 천천히 타면 모르지만 와인딩셋팅으로는 더블디스크에 6포트에 플로팅로터쯤이면.... 그나마.... 스포스터 할리네이키드입니다... 말그대로 스포츠타입이구요... 스텝위치도 수정했고, 발사이즈가 장난이 아닌분이군요....쉽프터라이트단 셋팅이면 엔진이 고회전을 쓰다는것인데.... 보통사람으로는 콘트롤이 쉬운 엔진이 아닌데...ㅋㅋ... 암튼 오너가 환자수준을 넘어선 매니아인것 인정합니다... 덩치와 체중에 딱맞는 바이크를 셋팅해서 드레그와 와인딩용으로 애용하느것 같은데요... 나중에 한번 시승을....하지만 면허가 없네요...이런
2006.06.05 20:19:13 (*.144.184.106)

"Sports Star"가 아니고 "Sportster"입니다. 그냥 "스포스터"라고 끊지말고 읽으세요. 모델코드는 XL1200C... 할리의 스포츠모델로 정통 아메리칸 스타일인 다른 할리들과는 달리 별개의 소비자층을 갖고있습니다. (심지어 할리 라이더들 사이에서도 따돌림이...)
쉬프터라이트나 8000rpm 220km/h의 게이지들은 모두 많은 개조를 통해 성능을 바꾸었다는 자랑거리일수 있겠네요. 물론 다른 일제바이크와는 성능에서 많이 부족하지만 할리의 소비자층은 완전히 다르니까요.
번호판을 옆으로 달은 건 상당한 쎈쓰네요. 실용성은 좀 떨어지겠지만...
바이크 예기보다는 정말 제대로된 환자를 만나셨다는 예기를 드리고싶네요. 언제한번 만나고도 싶구요.
쉬프터라이트나 8000rpm 220km/h의 게이지들은 모두 많은 개조를 통해 성능을 바꾸었다는 자랑거리일수 있겠네요. 물론 다른 일제바이크와는 성능에서 많이 부족하지만 할리의 소비자층은 완전히 다르니까요.
번호판을 옆으로 달은 건 상당한 쎈쓰네요. 실용성은 좀 떨어지겠지만...
바이크 예기보다는 정말 제대로된 환자를 만나셨다는 예기를 드리고싶네요. 언제한번 만나고도 싶구요.
2006.06.05 20:32:53 (*.237.82.195)

카페레이서풍의 뒷카울쪽 디자인이 매력적인 스포스터네요... ^^; 멋지게 커스텀 하셨군요.. 저도 아주 오래전에 88년식 불하받은 XL1200을 약 3달간 가지고 있었는데... 수리만 하다가 버리듯이 처분한 아풑 기억이 있습니다.. 할리마니아중에 스포스터 마니아는 따로있죠.. 부럽네요
2006.06.05 21:06:21 (*.140.153.252)
제목이 드리이빙입니다. ^^,
얼마전에 디스커버리에서 오도바이 순위를 매겼는데.. 1등이 혼다 컵이더군요..
짱께 배달하는 친구들이 타는 오도바이의 원조죠.. 언더본엔진, 50cc 짜리요. 독인사람이면 더 좋은 오토바이 많은데.. 특이하네요.. ㅎㅎ
얼마전에 디스커버리에서 오도바이 순위를 매겼는데.. 1등이 혼다 컵이더군요..
짱께 배달하는 친구들이 타는 오도바이의 원조죠.. 언더본엔진, 50cc 짜리요. 독인사람이면 더 좋은 오토바이 많은데.. 특이하네요.. ㅎㅎ
2006.06.05 22:08:35 (*.39.189.175)
그 혼다 컵... 10층인가 건물에서 떨어뜨렸는데도 시동이 걸리더군요... 참 신기하더라는... ㅡ,.ㅡ;; 근데 오토바이 엔진치고 8000RPM이면 좀 많이 안돌아가네요... 그게 더 신기한... ^^
2006.06.06 01:05:26 (*.94.206.214)

일전에 주한미군들의 할리 데이비슨 모터사이클 클럽인 '할리 보이스' 모임에 잠깐 합석한 적이 있습니다...20여명의 할리 오너들 바베큐 파티를 하는 자리였죠..매주 주말에 국도로 투어링을 다닌다는데 얼마까지 달려보았냐고 했더니 국도에서 200키로까지 내보았다고 해서 경악을 했던 적이 있었죠.. 잠시 할리에 올라 앉아 시동을 걸고 풀 스로틀로 땡겨 볼 기회를 얻었는데 소리가 정말... 장난이 아니더군요. 귀가 먹먹할 정도..
2006.06.06 09:58:55 (*.145.76.171)

헤닠씨를 베닠씨로 잘못써서 리플 삭제했네요.^^;
배기 단열테이핑한 바이크는 처음 봅니다.
카울없는 할리로 200 달릴램 무지힘들텐데.. 그속도는 따귀맞으면서 달리는 느낌입니다. 알차들은 중고속정도밖에 안되는 속도지만..ㅎㅎ
배기 단열테이핑한 바이크는 처음 봅니다.
카울없는 할리로 200 달릴램 무지힘들텐데.. 그속도는 따귀맞으면서 달리는 느낌입니다. 알차들은 중고속정도밖에 안되는 속도지만..ㅎㅎ
2006.06.06 15:02:20 (*.4.17.103)
역시 같은 관심분야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끼리는 국적도 필요가 없는거 같습니다^^
제 친구중 태국인 어머니와 백인 아버지를 둔 녀석이 있는데, 이녀석이 15살때부터
LA쪽에서 유명한 튜닝샾들이 서로 데려갈려고 할정도로 상당한 내공을 가지고있어서,
어쩌다보니 친해지게 되었는데 관심분야가 같다보니 대화 몇마디 나누다 보니 바로 그냥 가까워지더군요 ^^; 벌써 제차에 이것저것 파츠 싸게 소개시켜준다 그러고 역시 차 좋아하는 친구랑 대화하는게 가장 재미있는거 같습니다 ^^;;
제 친구중 태국인 어머니와 백인 아버지를 둔 녀석이 있는데, 이녀석이 15살때부터
LA쪽에서 유명한 튜닝샾들이 서로 데려갈려고 할정도로 상당한 내공을 가지고있어서,
어쩌다보니 친해지게 되었는데 관심분야가 같다보니 대화 몇마디 나누다 보니 바로 그냥 가까워지더군요 ^^; 벌써 제차에 이것저것 파츠 싸게 소개시켜준다 그러고 역시 차 좋아하는 친구랑 대화하는게 가장 재미있는거 같습니다 ^^;;
2006.06.06 17:20:34 (*.159.88.123)
참고로 할리의 엔진은 전통의 OHV엔진입니다. 푸쉬로드가
밸브를 개폐하는.....위 바이크의 시프트라이트 점등시점은 5000rpm에
셋팅되어있군요^^ 알피엠게이지가 8,000rpm까지 표시되어있다고 해서
8000까지 휘돌리는 것은 아닌것 같구 사제 알피엠게이지의 가장 작은 단위를
구해서 장착하셔서 그런게 아닌가 합니다.^^
밸브를 개폐하는.....위 바이크의 시프트라이트 점등시점은 5000rpm에
셋팅되어있군요^^ 알피엠게이지가 8,000rpm까지 표시되어있다고 해서
8000까지 휘돌리는 것은 아닌것 같구 사제 알피엠게이지의 가장 작은 단위를
구해서 장착하셔서 그런게 아닌가 합니다.^^
2006.06.06 19:51:45 (*.216.115.204)

황호선님 이글 보면서 손목과 발목에 힘좀 들어 갔겠습니다..ㅎㅎㅎㅎ
마스터님이 한국을 재대로 알릴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니 참으로 기쁩니다.
스쳐지나가는 외국애들이 한국 자동차 문화에 대해서 비평을 하지만, 저는 항상 그럽니다..로마에서는 로마의 법을 따르라....
제가 아는 유럽인중에 위의 분과 같은 중산층 자동차 메니아 친구들이 몇사람 있는데, 모두들 진지하고 자신들과 사회의 조화를 먼저 생각하는 친구들이 였습니다.
마스터님이 한국을 재대로 알릴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니 참으로 기쁩니다.
스쳐지나가는 외국애들이 한국 자동차 문화에 대해서 비평을 하지만, 저는 항상 그럽니다..로마에서는 로마의 법을 따르라....
제가 아는 유럽인중에 위의 분과 같은 중산층 자동차 메니아 친구들이 몇사람 있는데, 모두들 진지하고 자신들과 사회의 조화를 먼저 생각하는 친구들이 였습니다.
2006.06.06 19:57:00 (*.216.115.204)

제가 아는 연구.개발 부분에서의 바이크는..(미국산으로...)
대중적인 제품으로 할리는 쎄시를 중국에서 만들면서 부터 기본이 부실한 바이크가 되어 버린 느낌입니다. 트럼프?(갑자기 메이커가 생각이 않납니다...죄송)는 여전히 한국에서 만들어 가더군요. 차체의 용접부를 비교해보면 그 차이가 확연히 드러나더군요.
제 친구중에 한 친구가 부업으로 미시건에서 커스텀 바이크를 만들고, 엔진은 야마하를 넣어서 파는 친구가 있는데..그쪽 친구들 이야기는 예전의 할리가 아니라고 안타까워 했던 기억이 납니다.
대중적인 제품으로 할리는 쎄시를 중국에서 만들면서 부터 기본이 부실한 바이크가 되어 버린 느낌입니다. 트럼프?(갑자기 메이커가 생각이 않납니다...죄송)는 여전히 한국에서 만들어 가더군요. 차체의 용접부를 비교해보면 그 차이가 확연히 드러나더군요.
제 친구중에 한 친구가 부업으로 미시건에서 커스텀 바이크를 만들고, 엔진은 야마하를 넣어서 파는 친구가 있는데..그쪽 친구들 이야기는 예전의 할리가 아니라고 안타까워 했던 기억이 납니다.
2006.06.06 21:06:29 (*.83.144.114)

제가 바이크에 관심이 멀어졌다는 것을 다른 분들 지식으로부터 느끼게되네요.
할리는 원래 엔지니어가 좋아하기 어려운 엔진이라서 잘 알지는 못했지만, 독일분께서 할리를 좋아하는게 가장 신기한 부분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파리다카르랠리에서 날리던 시절의 박서트윈엔진 BMW R80을 가장 좋아합니다.)
할리는 원래 엔지니어가 좋아하기 어려운 엔진이라서 잘 알지는 못했지만, 독일분께서 할리를 좋아하는게 가장 신기한 부분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파리다카르랠리에서 날리던 시절의 박서트윈엔진 BMW R80을 가장 좋아합니다.)
2006.06.06 21:11:55 (*.216.115.204)

할리는 엔지니어가 제일 싫어하는 엔진 아닌가요...ㅎㅎㅎㅎㅎ
타이트하고 기름한방울 비치지 않는...뭐 그런거가 딱이죠&^^
타이트하고 기름한방울 비치지 않는...뭐 그런거가 딱이죠&^^
2006.06.06 22:44:04 (*.119.172.114)

트럼프가 아니고 영국의 3기통으로 유명한 트라이엄프일겁니다 스프린트 본네빌 스피드마스터등이 유명하죠(그러고보니 마티즈도 3기통이군요 후후후) 할리는 엔진 까보면 의외로 단순해보입니다 큼직큼직해서말이죠 ^^; 할리에 엄청난 실용 퍼포먼스 커스텀을 해놓으신거같네요 저도 엔진달린기관의 탈것은 전부 좋아해서 후흣 감탄입니다~ 영주님도 2종 소형따셔서 한번 타보시는건 어떠하실련지요
2006.06.07 00:49:19 (*.187.194.143)

네 트라이엄프를 말씀하셨나 봅니다. MI2 에서 탐크루즈가 스피드 트리플 타고 날라서 2의 전성기를 맞았었죠^^ 섀시나 주요 부품은 아직 미국에서 만들고 있을텐데요. 제가 타는 녀석은 all 밀워키 공장 출신이라 ㅋㅋ 주변에서 쓸대없는 자부심을 부추김 당하곤 합니다 ^^ 개인적으로 할리의 엔진과 필링 그 포텐셜을 대할 때 마다 호기심을 무한하게 자극 받습니다. 도전의식도 팍팍 불러 일으키지요. 공랭 빅트윈은 그날그날 온도와 습도 컨디션에 따라 다른 필링과 반응을 보여주지요.
2006.06.07 00:55:28 (*.221.58.235)

아..그 바이크 같습니다..죄송 워낙에 제가 무식해서리^^
그 바이크의 차체는 한국에서 만듭니다^^ 모르셨죠^^...ㅎㅎㅎ
제 아는 분이 제작해서 미국으로 납품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바이크회사 회장이 한국에 왔을때 저는 임시 통역으로 3~4번 만난적이 있어서 귀동냥으로 알고 있는 것 뿐입니다.^^
그 바이크의 차체는 한국에서 만듭니다^^ 모르셨죠^^...ㅎㅎㅎ
제 아는 분이 제작해서 미국으로 납품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바이크회사 회장이 한국에 왔을때 저는 임시 통역으로 3~4번 만난적이 있어서 귀동냥으로 알고 있는 것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