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내일부터 바이오 디젤이라는걸 의무 혼합해야한다고 합니다.
디젤차 타시는 분들 참고하세요.
-----------------------------------------------------
내일부터 바이오디젤
[중앙일보 2006-06-29 18:53]
[중앙일보 권혁주] 콩과 유채 같은 식물로 만드는 연료유 '바이오 디젤'이 다음달 1일 상용화된다. 정유업계는 이날부터 경유에 바이오디젤을 5% 이하로 섞은 혼합유(BD5)를 주유소에 공급한다. 이는 정유업계가 3월 청정 연료인 바이오디젤을 쓰기로 산업자원부와 자발적 협약을 맺은 데 따른 것이다. 그러면 앞으로 주유소에 가서 "경유를 넣어달라"고 하면 혼합유를 넣어주는 걸까.답은 '그렇다'이다. 바이오디젤과 관련된 궁금증을 풀어본다.
문:바이오디젤 혼합유 말고 종전의 경유를 주유할 수 없나.
답:안된다. 국내 정유사들은 7월 1일부터 모든 경유에 바이오디젤을 섞어 판다. 따라서 소비자는 바이오디젤 혼합유만 쓸 수 있다. 제품명은 종전대로'경유'다.
문:바이오디젤의 혼합 비율은.
답:일단 0.5% 만 넣기로 하고 향후 2년 간 이를 유지한다. 그렇다고 정확히 0.5%를 지키란 뜻은 아니다. 법적으로 5%를 넘지 않으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바이오디젤 수급 상황에 따라 정유사가 0.1% 만 넣을 수도, 5%를 다 넣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함유량 표시 의무도 없다. 소비자의 알 권리를 존중해 함유량을 표기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문:바이오디젤에 면세 혜택이 있다는데 혼합유 값은 어떻게 되나.
답:경유와 거의 차이가 없다. 5% 이내로 섞는 바이오디젤 부분만 면세이고, 나머지 95% 이상의 경유에는 종전 세금이 붙는다. 바이오디젤을 5% 섞은 혼합유라면 100% 경유보다 값이 1ℓ 당 7원 정도 싸진다. 당분간 0.5% 혼합유를 팔 테니 가격 인하 효과는 1ℓ 당 1원도 되지 않는다.
문:차에 영향은 없나.
답:없다. 지난해 말 테스트 도중 혼합유를 넣은 일부 디젤 자동차의 시동이 꺼졌다. 이는 바이오디젤을 20% 섞은 혼합유였다. 바이오디젤은 날씨가 추워지면 응고되는 성질이 있다. 5% 이내로 섞은 'BD5'는 문제가 없다는 게 전문가 견해다. 독일과 프랑스에서는 10여년 전부터 BD5를 써 왔다.
문:바이오디젤은 누가 만드나.
답:품질 검사를 받고 정부에 등록한 9개 업체가 만든다. 대기업 계열은 없고 모두 중소업체다. 정유회사들은 각자 입찰과 품질시험을 거쳐 이들 업체 중에서 거래처를 정했다.
문:왜 바이오디젤을 쓰나.
답:바이오디젤은 콩이나 유채 기름을 가공한 것으로 원유처럼 고갈될 우려가 없다. 또 경유보다 매연을 덜 뿜는'청정연료'다.
권혁주 기자 woongjoo@joongang.co.kr
디젤차 타시는 분들 참고하세요.
-----------------------------------------------------
내일부터 바이오디젤
[중앙일보 2006-06-29 18:53]
[중앙일보 권혁주] 콩과 유채 같은 식물로 만드는 연료유 '바이오 디젤'이 다음달 1일 상용화된다. 정유업계는 이날부터 경유에 바이오디젤을 5% 이하로 섞은 혼합유(BD5)를 주유소에 공급한다. 이는 정유업계가 3월 청정 연료인 바이오디젤을 쓰기로 산업자원부와 자발적 협약을 맺은 데 따른 것이다. 그러면 앞으로 주유소에 가서 "경유를 넣어달라"고 하면 혼합유를 넣어주는 걸까.답은 '그렇다'이다. 바이오디젤과 관련된 궁금증을 풀어본다.
문:바이오디젤 혼합유 말고 종전의 경유를 주유할 수 없나.
답:안된다. 국내 정유사들은 7월 1일부터 모든 경유에 바이오디젤을 섞어 판다. 따라서 소비자는 바이오디젤 혼합유만 쓸 수 있다. 제품명은 종전대로'경유'다.
문:바이오디젤의 혼합 비율은.
답:일단 0.5% 만 넣기로 하고 향후 2년 간 이를 유지한다. 그렇다고 정확히 0.5%를 지키란 뜻은 아니다. 법적으로 5%를 넘지 않으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바이오디젤 수급 상황에 따라 정유사가 0.1% 만 넣을 수도, 5%를 다 넣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함유량 표시 의무도 없다. 소비자의 알 권리를 존중해 함유량을 표기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문:바이오디젤에 면세 혜택이 있다는데 혼합유 값은 어떻게 되나.
답:경유와 거의 차이가 없다. 5% 이내로 섞는 바이오디젤 부분만 면세이고, 나머지 95% 이상의 경유에는 종전 세금이 붙는다. 바이오디젤을 5% 섞은 혼합유라면 100% 경유보다 값이 1ℓ 당 7원 정도 싸진다. 당분간 0.5% 혼합유를 팔 테니 가격 인하 효과는 1ℓ 당 1원도 되지 않는다.
문:차에 영향은 없나.
답:없다. 지난해 말 테스트 도중 혼합유를 넣은 일부 디젤 자동차의 시동이 꺼졌다. 이는 바이오디젤을 20% 섞은 혼합유였다. 바이오디젤은 날씨가 추워지면 응고되는 성질이 있다. 5% 이내로 섞은 'BD5'는 문제가 없다는 게 전문가 견해다. 독일과 프랑스에서는 10여년 전부터 BD5를 써 왔다.
문:바이오디젤은 누가 만드나.
답:품질 검사를 받고 정부에 등록한 9개 업체가 만든다. 대기업 계열은 없고 모두 중소업체다. 정유회사들은 각자 입찰과 품질시험을 거쳐 이들 업체 중에서 거래처를 정했다.
문:왜 바이오디젤을 쓰나.
답:바이오디젤은 콩이나 유채 기름을 가공한 것으로 원유처럼 고갈될 우려가 없다. 또 경유보다 매연을 덜 뿜는'청정연료'다.
권혁주 기자 woongjoo@joongang.co.kr
2006.06.30 11:50:01 (*.251.229.168)

예전에 KBS에서 방송한 내용보니까 미국에서는 폐식용유로 바이오디젤을 만들어 쓰는 환경단체들이 있더군요. 패스트푸드점 돌아다니면서 폐식용유 공짜로 모아다가 정제하는 과정을 거쳐 별다른 어려운 공정없이 그냥 디젤차에 주입하는 거 같던데 차에 아무 이상없이 100% 바이오디젤로만 운행하더군요
2006.06.30 13:34:16 (*.238.254.4)

유럽에 사브와 같은 경우는 이미 차에 상용화되서 적극 사용하고 있으며, 문제는 업계에서 바이로를 사용하면 마진폭이 준다는게 솔찍한 현실인것 같습니다. 5%이상 혼합도 현실적으로 가능한것으로 알고 있는데..
곡물 선물거래에서 옥수수등 식용유재품의 원자재 가격이 2년전부터 자동차 시장을 기대하고 보합, 반등하는데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 입니다.
곡물 선물거래에서 옥수수등 식용유재품의 원자재 가격이 2년전부터 자동차 시장을 기대하고 보합, 반등하는데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 입니다.
2006.06.30 13:53:32 (*.6.15.132)

메이커 측에서 A/S 같은 경우 바이오디젤 사용에 대한 여부를 아직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습니다...
시동 꺼짐 등의 문제 발생을 바이오디젤 사용여부에 따라 안받아줄지도 모른다던데...
외산 차량들의 경우는 어떻게 처리할지 모르겠네요...
대표적으로 TDI나 HDI등의 엔진을 가진 폭스바겐, 푸조 등이 어떻게 나올지... 훔...
시동 꺼짐 등의 문제 발생을 바이오디젤 사용여부에 따라 안받아줄지도 모른다던데...
외산 차량들의 경우는 어떻게 처리할지 모르겠네요...
대표적으로 TDI나 HDI등의 엔진을 가진 폭스바겐, 푸조 등이 어떻게 나올지... 훔...
2006.06.30 13:59:49 (*.151.223.169)

골프5디젤은 연료주입구-캡에 "Not for biodiesel" 이라고 써 있던것 같은데, 저정도의 혼합비율은 상관없는건가요?
2006.06.30 14:14:36 (*.221.97.232)

싼타동에서는 바이오 디젤에대한 견제가 심합니다
커먼레일은 수분에 취약하다, 바이오 디젤 제조의 핵심은 수분제거이다
걱정이 되긴하네요 경유값 오르기전에 가득 채워야겠습니다
커먼레일은 수분에 취약하다, 바이오 디젤 제조의 핵심은 수분제거이다
걱정이 되긴하네요 경유값 오르기전에 가득 채워야겠습니다
2006.06.30 15:04:06 (*.78.191.43)

국내 바이오디젤의 두어가지 검사항목이 누락되어서 연료분사장치 공급업체에서 보증을 못해준다는 내용의 기사를 봤습니다. 즉 국내 바이오디젤이 정품인지 확신할수가 없다는 내용같았습니다. 지방에선 고급경유도 없고..겁만납니다..ㅠㅠ
마스터님~~ 문제 없는건지 좀 알려주세요~~^^
마스터님~~ 문제 없는건지 좀 알려주세요~~^^
2006.06.30 16:25:16 (*.120.215.183)

저도 오늘 불안한 마음에.. 우선 2대 모두 가득 채워놓긴 했습니다만.. 며칠 못가겠지요..
자동차 브랜드에서 A/S를 안해준다면.. 정말 어찌해야 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불안해서 앞으로는 고급 경유만 넣어야 할 듯 싶네요..
자동차 브랜드에서 A/S를 안해준다면.. 정말 어찌해야 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불안해서 앞으로는 고급 경유만 넣어야 할 듯 싶네요..
2006.06.30 17:43:03 (*.117.221.167)
브란자를 사용하는 차량에는 별 이상이 없을수 있지마 커먼레일은 위험하다고 싼타동에서는 반대하더라구요. 저도 싼타지만 가다가 서버리면 누구 책임이죠..?
2006.06.30 18:39:18 (*.126.249.35)

커먼레일 시스템을 생산하는 보쉬, 덴소, 델파이, 지멘스 (4대EMS메이커)에서 공식적으로 바이오디젤에 대해서 불가 판정을 내렸습니다.
연료동결부분은 고압펌프에 심각한 손상을 줍니다. 제가 디젤차 오너라면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윗분 말씀대로 커먼레일 시스템은 사용안하시는게 좋습니다.
연료동결부분은 고압펌프에 심각한 손상을 줍니다. 제가 디젤차 오너라면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윗분 말씀대로 커먼레일 시스템은 사용안하시는게 좋습니다.
2006.06.30 21:21:38 (*.81.251.82)

그럼 위의 독일과 프랑스에서는 10년전부터 라는 소리는 혼합 사용이지, 우리나라처럼 완전 바이오디젤은 아니라는 소리 인가요?
2006.06.30 22:54:52 (*.230.133.80)

사용하고 않하고를떠나.. 혼합된 경유만 나오는 시점에서..
어떻게 사용을 안하겠습니까. ㅡㅡ; 에휴~ 저는 커먼레일 펌프부터 인젝션까지
바구어봐서.. 맘아픈일은 또 벌이고 싶지 않은데-
어떻게 사용을 안하겠습니까. ㅡㅡ; 에휴~ 저는 커먼레일 펌프부터 인젝션까지
바구어봐서.. 맘아픈일은 또 벌이고 싶지 않은데-
2006.06.30 23:58:26 (*.141.36.50)

며칠전 TV에 나온 내용인데, 군산에서 트럭운전을 하는분이 모는 리베로 트럭이 계속 시동이 꺼지는 현상이 있어서 사업소에 차를 넣었더니 바이오디젤을 사용해 난 고장이어서 수리비 180만원인가를 소비자가 부담해야 한다고 했답니다. 그래서 이 운전자는 군산시에 민원을 넣었는데 알고보니 군산시내 주유소에서는(모두인지는 모르지만) 바이오디젤이 20% 함유된 디젤을 소비자에게는 말도 안하고 넣었다더군요. 암튼 싸워서 결국엔 정유사가 차 수리비를 물어줬답니다.
과연 5% 미만 들어갔다는 그 경유는 어떨런지... 짜증나네요.
과연 5% 미만 들어갔다는 그 경유는 어떨런지... 짜증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