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안녕하세요 김정민입니다.
올해 2월 국내 자동차 메이커로부터 하이패스를 하나 받게 되어...
차량에 이쁘게(?) 설치를 했습니다.
(대쉬보드 수납공간을 개조해서 안보이게 잘 꼭꼭 숨겨놓고 분리형 안테나만 창문에..)
하이패스에 대한 지식이 별로 없던터라... 인터넷을 뒤졌죠...
녹색박스에 하이패스 등록 이라는 검색어를 치고... 여기저기 사이트를 돌아봐도
온라인 등록은 없더군요...-_-;;
담당 공사에 물어보니 톨게이트 고객센터로와서 등록을 하라 합니다.
귀찮지만.... (무료로 받게 되어 들뜬 마음이 더 컸죠 ㅋㅋ)
빨리 하이패스 차로를 통과해보고픈 마음에... 필요없이 고속도로를 탔습니다.
숨겨놨던 하이패스를 다시 분리하고... 매립했던 전원선을 다시 뜯어내고 등록증을 들고 고객센터로 갔습니다.
"고객님의 단말기는 가출고 상태라 저희쪽에서 등록이 안됩니다. 구매처에 연락하셔서 등록하세요."
라는 벙찐 소리를 듣곤... 다음날 구매처의 연락처를 수소문합니다.
어렵사리 구매처 연락처를 알아내고 다시 등록증 사본을 팩스로 보냈습니다.
그 후 하이패스는 정상적으로 동작했고... 아무 의심없이 5개월을 보냈죠...
얼마전 차량을 교체하면서, 하이패스를 옮겨 달았고... 차량번호가 다르면 사용할 수 없다는 걸 줏어듣고는
고속도로를 탈 일이 생기면 등록해야지~~ 하며 하이패스 카드만 덜렁덜렁 비치해두고 다녔습니다.
과천-봉담간 고속화도로의 톨게이트를 지나며 안내원에 문의했더니 처리해줄 수 있다고 하더군요..
밤 늦은 시간에 톨게이트에서 고객센터를 찾아가기란 쉽지 않았습니다.
두번을 그냥 지나치고.... 등록을 다음으로 미룹니다.
드디어 고객센터를 들어간 날...
"고객님의 단말기는 미등록 상태라 저희쪽에서 등록이 안됩니다. 구매처에서 등록하세요"
-> "아니. 전 지금까지 잘 사용해오다가 차량이전을 하러 왔는데 미등록단말기라니요... 그동안 차량번호까지 잘 찍혔는데.."
"글쎄요 전산에 미등록으로 뜨니 처리할 수가 없네요"
결국 다시 판매처를 찾습니다... 물론 찾을 수가 없었지요...-_-;;
하이패스 단말기의 제조사로 연락하여 어렵사리 등록을 하려는데,
이번엔 새 차량에 전 차주가 등록했던 하이패스가 해지되지 않아, 등록이 불가하답니다....
(전 차주는 저희 매형으로 현재 미국에 거주중입니다.)
가족이니 그냥 해지해달라고 어르고 달래고 소리질러서 간신히 등록을 마치고 나니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장비들이, 왜 이런 어려운 절차들로 둘러 쌓여 있는 것인가"
참 이해할 수 없더군요...
인터넷이 모든 부분에 있어서 완벽한 것은 아니지만,
절차를 간소화하여 불필요하게 고속도로를 타야 하는 상황정도는 처리해 줄 수 있을텐데 말이죠..
하이패스 차단기와 같은 이유입니다. 철저하게 돈을 받아야겠다는 것이죠.
하이패스 카드 미삽입, 오삽입, 기기오류등등... 여러가지 이유로 요금이 정산되지 않았을때...
하이패스 단말기가 등록된 차주에게 요금을 청구하기 위해 등록절차가 복잡한 것입니다. ㅡ.ㅡ
하이패스 차단기도...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서가 아니라... 단말기 인식율 높이고 대포차등과 같이
차주에게 요금을 청구하기 어려워지는 상황 자체를 줄여보고자 설치한거거든요.
하이패스 차로증설이나 차선넓이 확보등... 자기들이 해야할일은 안하고 운전자에게 모두 떠맡기고
있다는...
요금 일일이 내는 게이트 차들이 더 빨리 빠져나가는 요즘의 로우패스...
시행 초기의 말그대로... 하이패스 였을때가 그립습니다.
또 하나 불편한건
평일에는 그나마 괜찬은 데 주말에는 오히려 일반차로보다 통과 시간이 더걸립니다.
하이패스 전용 차로 가 얼마 없어 그런지 알고 있으나 주말이나 차량이 많은 경우는 같이 사용할수 있게
하면 좋을 듯 하네요..
이름을 바꾸어야 맞을 듯 합니다.
하이패스 보다 선불패스나 신용패스 로...
차량이 달라도 전혀 지장없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 요금이 동일한 차량일 경우에 말이죠^^
저는 레조에 등록된 하이패스를 그랜드카니발에 사용하다가 지금은 지인의 승용차에서 사용합니다.
원칙적으로는 등록된 차량만 사용가능하다고 하지만,
현실에선 요금이 정상적으로 지급된 부분에 대해선 아직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하이패스 볼때마다 드는 생각이 우리나라 단속카메라 수준은 높은 걸로 알고 있는데 그냥 카메라로 찍어 번호판 인식해서 요금 청구 하는 시스템으로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청구서 보내는데 비용발생한다면 차량등록시에 신용카드나 계좌를 등록해 놓아서 그걸 통해서 나가도록 하던지 하면 될거 같은데
그럼 하이패스 요금소 만드는데 드는 비용도 줄어들고 땅값도 아끼고....

제가 쓰던걸 법인차에 쓰려고 고속도로공사 영업소 찾아갔더니 서류도 여러가지 필요하고 일처리도 상당히 오래걸리더군요. 대략 20분이상 기다렸는데 직원들이 능숙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전산상의 처리가 상당히 복잡해 보였습니다. 기존에 쓰던 기계는 공기계 처리가 안되고 분실처리 비슷하게 해놨다가 필요시 다시 이전에 쓰던 차의 서류와 앞으로 쓸 차들의 서류를 지참해서 등록해야 되구요.ㅋ 뭐하자는건지.

ㅎ. 하이패스를 차량마다 따로 등록해야 한다는 말에 깔끔하게 포기했습니다.
차가 여러대라 단말기 값만해도 밥알 솟구치더군요.
정작 설치후 통행료 챙기기 쉬워지고 인건비 줄고 기타등등 이득보는건
도공인데 돈은 내돈다주고.
일반차선이 없어져도 하이패스 안달고다닐겁니다.
톨게이트 앞에서 멈춰서 빵빵거리며 직원불러낼겁니다...ㅎㅎ

초기 등록은 인터넷으로 되는 업체가 많던데요..
전 삼성SDS에서 나온 배터리용을 사용중인데, 방문하지 않고 인터넷으로 등록하였습니다.
이틀정도 후에 문자로 등록되었다고 연락 받았고요..
회사마다 편차가 있는것 같고, 요즘은 등록증 없이 인터넷등록이 되는 업체가 많은것 같습니다.
2009년에 구입했던 하이패스는 등록은 인터넷으로 쉽게 했고,
차량을 처분하면서 변경은 톨게이트에 있는 사무실에 가야 했습니다.
차량 인식해서 과금하는 방식은 독일에도 있다고 합니다.
승용차량은 아우토반 무료지만 컨테이너 트럭은 고속도로 요금을 내는데 차량마다 인식장치가 있어 나중에 합산청구 되는 방식이라더군요.
진정한 하이패스라면 기기 설치하고 뭣하고 할 거 없이 그냥 차량만 지나가면 나중에 차량 소유주 카드나 고지서로 청구되도록 해야겠죠.
하이패스 차로에 설치된 번호판 인식 카메라는 그냥 덤으로 설치한 것인지..........

저랑 비슷한 경우네요. 저는 작년 초에 E34를 사오고 하이패스 쓰던거를 이전할려니까 전차주가 하이패스를 하나 해놨더군요. 그것때문에 제 단말기를 등록을 못시키고, 제 차를 사가신 분도 제 단말기 때문에 하이패스를 못쓸 수도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전차주에게 전화거니까 나이 지긋한 분인데, 아들이 해놓은 거라 자기는 쓸줄도 모르고 해지할 줄 모른다고 계속 버티더라구요. "그건 선생님 사정이고요, 아들을 시키시든 제발 좀 해지해주세요" 라고 1달을 계속 전화를 걸고 그 어르신을 갈궈서 겨우 해지 받고 제 단말기 등록했습니다. 그동안 저는 제 하이패스를 쓰고자 하는 권리를 찾으려는 것이었는데 왜 그 어르신에게 '너는 위아래도 없냐? 호로자식이...' 라는 말을 들어야 했는지... 차량이 매매되면 그 정보가 등록사업소와 도로공사가 연계되어 자동으로 해지되고 이전되게 하면 안돼는걸까요?
공기업에서 하는일인데.... 쉬운일이 있나요...
후불제 하이패스전용카드 받아서 톨게이트결제용으로 사용중인데요...
첨에 하이패스 구입해서 사용하려고 했는데요.... 아직도 생각보다 가격이 높고
고속도로운행시 왠지 피로감이 심해져서 1시간 더걸리더라도.....
요즘은 천안이하 지역은 국도를 주로 이용합니다....
시간상 갈때는 고속도로 올때는 국도로 오는데..... 괜찮은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