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뉴 G35 S와 e92 M3를 타고 있습니다.
이 두 녀석이 비슷하면서도 다른 건 바로 쉬프팅입니다.
기본 피시컬은 다르지만 두 녀석 모드 패들 쉬프트가 있고 기어 스틱으로 업다운 쉬프팅을 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근데 일단 +와 - 위치가 서로 반대입니다..;;
저는 매뉴얼을 오래 운전하다 보니 핸들 뒤쪽에 있는 패들 쉬프트 보다도 쉬프팅 스틱으로 변속하는게 더 편하더군요.
근데 업쉬프팅과 다운쉬프팅의 위치가 두 녀석이 서로 반대이다 보니 매우 헷갈려요..;;
운동 방향이 직선인 이상 앞으로 미는 것이 다운쉬프트, 몸쪽으로 당기는 것이 업쉬프트인 BMW쪽에 한표 던지고 싶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점이 패들쉬프트..
G35는 차체에 고정이고 핸들이 따로 돕니다.(람보르기니가 이런것 같던데..)
BMW는 핸들에 달려 있어서 같이 돕니다.
특히 낮은 단수에서 코너를 돌며 쉬프팅 하게 되는 경우에는 핸들이 많이 돌아가 있기 때문에 M3처럼 핸들에 패들쉬프트가 달려있는 경우는 변속이 어렵습니다.
이 부분은 G35처럼 핸들에 붙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쪽이 좋은 것 같습니다.
핸들은 돌아가 있어도 항상 다운과 업쉬프팅의 패들쉬프트 위치가 일정하기에 덜 헷갈리는 듯..
이거 뭐 서로 자기네가 좋다고 고집피울게 아니라 미터법 통일하듯이 좀 표준을 만들어서 회사들이 공유해야 하지 않을까요? ;;;
(물론 영국같이 자신들의 기준만을 고집하는 곳이 생기겠지만..)
2010.09.22 15:11:02 (*.148.169.192)
ㅎㅎ
와이퍼 작동레버가 제가 갖고 있는 국산차는 아래 방향으로 내려야 작동이 되고, 펀카는 위로 올려야 작동이 됩니다.
첨엔 좀 헤깔리더니,, 펀카를 비오는 날은 안 갖고 나가다 보니 뭐 이럭저럭 자동으로 해결되었습니다.
G35S 충분히 스포티한 차량이지만 이 차로는 오토모드로 편하게 운전만 하시고,
M3 로만 스포티한 주행을 하신다면 헤깔릴 일이 없을듯 합니당... ^^
2010.09.22 18:06:15 (*.185.146.143)

스티어링휠을 조작하는 방법에 따라서 컬럼고정식과 휠고정식 패들시프트의 장단점이 다르게 느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항상 3시/9시 위치의 스포크 주변을 파지하게 되는 크로스-스티어링(즉, 조작중 팔이 교차하게 되고 스티어링 휠의 일정한 위치를 파지하게 되는)이라면 E92 M3의 방식이 당연히 편하겠죠. 언제나 손 있는 곳에 패들이 있으니까. (저는 이쪽 -_-)
오히려 우리나라에서(만?) 정석으로 가르치고 있는 넌크로스 스티어링(즉, 조작중 팔이 교차하지 않도록 스티어링 휠의 방향과 상관없이 항상 왼손은 왼쪽 오른손은 오른쪽에)의 경우엔 G35가 편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휠조작 방식의 장단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패스입니다. ^^;
항상 3시/9시 위치의 스포크 주변을 파지하게 되는 크로스-스티어링(즉, 조작중 팔이 교차하게 되고 스티어링 휠의 일정한 위치를 파지하게 되는)이라면 E92 M3의 방식이 당연히 편하겠죠. 언제나 손 있는 곳에 패들이 있으니까. (저는 이쪽 -_-)
오히려 우리나라에서(만?) 정석으로 가르치고 있는 넌크로스 스티어링(즉, 조작중 팔이 교차하지 않도록 스티어링 휠의 방향과 상관없이 항상 왼손은 왼쪽 오른손은 오른쪽에)의 경우엔 G35가 편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휠조작 방식의 장단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패스입니다. ^^;
2010.09.22 19:33:23 (*.51.122.197)

음..패들쉬프트는.. 서킷처럼 180도 이상 돌일일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는 핸들과 같이 돌아가는게 편하구요... 랠리나 일상주행처럼 조타각이 큰 경우엔 고정되어있는쪽이 다루기 편한듯합니다..
차량의 용도에 맞게 의도된 설계겠죠...
경기용 차량들을 보아도 F1은 핸들과 함께 움직이고 WRC 차량들은 대부분 고정식이죠...
반면 쉬프트레버로의 수동조작 방향은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BMW 처럼 앞으로 미는게 다운쉬프트가 되는것이 정석이라고 느껴지는데... 뭐.. 이것도 나름의 이유가 있겠죠..
BMW도 한동안 수동모드로의 전환이 레버를 몸쪽으로(왼쪽) 당겨서 이동시키느냐 밖으로 미느냐(오른쪽)를 갈팡지팡하며 모델마다 틀렸었는데.. 요즘에 와서는 몸쪽으로 당기는것으로 통일된듯한 모습입니다..
2010.09.23 05:43:51 (*.124.22.9)
위에 넌 크로스 스티어링에 대해서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오른손은 오른쪽, 왼손은 왼쪽입니다. (캘리포냐 기준) 면허 시험때도 크로스 하면 탈락이고요. (감점이 아니라 즉시 탈락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아마 이유가 에어백등의 사정으로 크로스형태로 파지할 경우 더 크게 다치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고요.
2010.09.24 13:28:35 (*.23.144.32)

저는 오토차량의 매뉴얼모드는 거의 쓰지 않아서 불편함을 모르겠습니다.
아주 가끔 다운힐에서 엔진브레이크로 내려올 때 쓰는데 벤츠와 BMW가 업/다운이 반대더군요.
단지 익숙함의 차이로 인해 저는 BMW방식이 약간 더 불편하게 느껴졌습니다.
그보다도 차량마다 헤드라이트 켜는 방식, 와이퍼 작동 방식, 비상등 스위치 위치, 주유구 여는 방식, 주유구 방향 등이 다르니 차를 바꿔 탈 때 마다 정말 헛갈리더군요.
특히 주유소에 들어갔다가 주유구와 반대로 차를 대서 난감했던 기억이 몇 번 있는데 이번에 차량을 바꾸면서 우연히 모두 한 쪽으로 통일되어 그 것 하나는 참 편합니다.
이전까지는 주유소 들어 갈 때마다 긴장했었습니다. 오른쪽이던가 왼쪽이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