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아마도 결혼하신 분들은 공감할거라 생각합니다만...
차매니아들에게 결혼후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수동을 포기해야만 하는 일이죠...
물론 마스터님을 비롯해서 성공하신 분들도 많이 계시지만, 저는 과연 그게 가능할까 의구심이 듭니다.
운전경력도 짧고 운전실력도 별로고, 차에 대해 아무런 관심도 지식도 없는 여자분께
수동을 가르치는게 과연 가능할런지... 또 여차저차해서 수동을 가르쳤다고 할지라도
제로백이 6초대인 차를 당장 몰라고 하면 그것이야 말로 사람잡는 일이 아닌가 싶어서 망설이고 있습니다. (운전이 서툰 여자분께 s2000이나 에보를 줬다고 생각해보면 아찔하기 그지없습니다.)
옛날에 잠깐 언급했듯이 무리해서라도 s2000중고를 열심히 알아보고는 있습니다만 결혼후엔 도저히 와이프한테 몰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네요....
오토매틱차를 본격적으로 몰아본건 nf와 xg 산타페정도 뿐이 없는데요, 일반적으로 외제차의 경우에는 오토매틱기술이 어느정도까지 발전했는지 궁금합니다. 차에 대한 리뷰를 뒤져서 읽어봐도 오토매틱의 특성에 대한 애기는 정말 눈씻고 찾아봐도 없네요....다들 거기서 거기인지...
nf같은 경우는 오토매틱 특유의 반응지체때문에 답답해 죽을 지경이었습니다. (제가 한성질합니다.) 또 왜그렇게 변속충격은 큰지..다운쉬프트때에는 수동보다 오토가 변속충격이 더 큰 것 같더군요...
벤츠나 아우니 bmw 또는 폭스바겐의 차들의 오토매틱 특성은 현대와 비교하면 어떤지
궁금하네요...회원님들의 경험이 있으시면 공유해주세요~~~
물론 DSG나 SMG같은 클러치없는 수동미션은 논외로 하겠습니당...^^;
차매니아들에게 결혼후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수동을 포기해야만 하는 일이죠...
물론 마스터님을 비롯해서 성공하신 분들도 많이 계시지만, 저는 과연 그게 가능할까 의구심이 듭니다.
운전경력도 짧고 운전실력도 별로고, 차에 대해 아무런 관심도 지식도 없는 여자분께
수동을 가르치는게 과연 가능할런지... 또 여차저차해서 수동을 가르쳤다고 할지라도
제로백이 6초대인 차를 당장 몰라고 하면 그것이야 말로 사람잡는 일이 아닌가 싶어서 망설이고 있습니다. (운전이 서툰 여자분께 s2000이나 에보를 줬다고 생각해보면 아찔하기 그지없습니다.)
옛날에 잠깐 언급했듯이 무리해서라도 s2000중고를 열심히 알아보고는 있습니다만 결혼후엔 도저히 와이프한테 몰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네요....
오토매틱차를 본격적으로 몰아본건 nf와 xg 산타페정도 뿐이 없는데요, 일반적으로 외제차의 경우에는 오토매틱기술이 어느정도까지 발전했는지 궁금합니다. 차에 대한 리뷰를 뒤져서 읽어봐도 오토매틱의 특성에 대한 애기는 정말 눈씻고 찾아봐도 없네요....다들 거기서 거기인지...
nf같은 경우는 오토매틱 특유의 반응지체때문에 답답해 죽을 지경이었습니다. (제가 한성질합니다.) 또 왜그렇게 변속충격은 큰지..다운쉬프트때에는 수동보다 오토가 변속충격이 더 큰 것 같더군요...
벤츠나 아우니 bmw 또는 폭스바겐의 차들의 오토매틱 특성은 현대와 비교하면 어떤지
궁금하네요...회원님들의 경험이 있으시면 공유해주세요~~~
물론 DSG나 SMG같은 클러치없는 수동미션은 논외로 하겠습니당...^^;
2007.03.24 09:42:23 (*.143.155.207)

개인적인 견해겠지만, 전 E46 3시리즈의 미션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변속 스피드도 빠르고 무엇보다 로직이 맘에 들더군요.
2007.03.24 09:57:19 (*.55.49.175)

현대는 미션에 투자 안하는 가장 대표적인 자동차 메이커중 하나입니다. 엔진에 비해 소비자에게 그닥 눈에 안띄고 소비자들도 미션 개념이 없기 때문이죠. DSG, SMG 강추이지만 논외로 하신다면 G35에 들어가는 인피니티 5단 미션도 괜찮은 듯 합니다 변속도 빠르고 RPM보정도 해주고..^^
2007.03.24 11:09:51 (*.250.131.10)

그래도 현대미션만큼 완성도 떨어지는게 있을까요..ㅎㅎ
반응이 느리다, 충격이 크다 라는 정도를 떠나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내구성마저 밑바닥이니까요..
현대는 언제 오토미션의 안정적 내구성에 신경을 쓰기시작할까요.
노력하기싫고 자신이 없으면 그냥 남들처럼 우수한회사제품 수입해다 쓰던가...
제가 현대차를 완전히 제친건 현대차량의 한심한 오토미션 때문이라고 말할수있죠.
반응이 느리다, 충격이 크다 라는 정도를 떠나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내구성마저 밑바닥이니까요..
현대는 언제 오토미션의 안정적 내구성에 신경을 쓰기시작할까요.
노력하기싫고 자신이 없으면 그냥 남들처럼 우수한회사제품 수입해다 쓰던가...
제가 현대차를 완전히 제친건 현대차량의 한심한 오토미션 때문이라고 말할수있죠.
2007.03.24 11:35:01 (*.210.165.142)

도균님 안녕하세요? ccp 이후에 여기서 뵙네요
현대미션과 mb나 기타 독일메이커와 비교에서 떨어지는게
사실입니다. 머 차츰 나아지겠지요? 들리는 얘기론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있으나 오토미션의 완성도라는게 말처럼 몇년 사이에
후다닥 만들어지는게 아니니까요 전 세계 어느회사도 단기간에
이정도 만들어낸 회사는 없습니다. 다만 자동차 역사 몇년 안되는
후발주자가 100년 역사의 선진국과의 비교시 떨어질뿐이지요
조만간 많은 개선이 이루어지고 나아질겁니다.
어차피 핵심연구원들은 독일이나 미국이나 일본이나 우리나라나
학벌이나 학위나 실력은 거서 거기니까요
후속차들 중에는 거의 아이신 미션이 들어간다니(후륜) 후발차는
기대하셔도 좋을듯합니다. 현대파워택도 차츰 나아지겠죠...,
현대미션과 mb나 기타 독일메이커와 비교에서 떨어지는게
사실입니다. 머 차츰 나아지겠지요? 들리는 얘기론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있으나 오토미션의 완성도라는게 말처럼 몇년 사이에
후다닥 만들어지는게 아니니까요 전 세계 어느회사도 단기간에
이정도 만들어낸 회사는 없습니다. 다만 자동차 역사 몇년 안되는
후발주자가 100년 역사의 선진국과의 비교시 떨어질뿐이지요
조만간 많은 개선이 이루어지고 나아질겁니다.
어차피 핵심연구원들은 독일이나 미국이나 일본이나 우리나라나
학벌이나 학위나 실력은 거서 거기니까요
후속차들 중에는 거의 아이신 미션이 들어간다니(후륜) 후발차는
기대하셔도 좋을듯합니다. 현대파워택도 차츰 나아지겠죠...,
2007.03.24 11:36:28 (*.140.81.5)

수동운전 그렇게 어려운것만은 아닙니다. 어머니같은분께 가르치기는 힘들지 몰라도, 젊은 여성이라면 오토매틱보다는 배우기 어렵지만 충분히 배울 수 있습니다.
일단 배우면 제로백 6초는 크게 문제가 없을것이라 생각합니다. 오히려 토크가 충분하면 운전하기가 더 쉽겠지요. 처음부터 높은 rpm을 사용할리도 없고.;;
일단 배우면 제로백 6초는 크게 문제가 없을것이라 생각합니다. 오히려 토크가 충분하면 운전하기가 더 쉽겠지요. 처음부터 높은 rpm을 사용할리도 없고.;;
2007.03.24 11:47:07 (*.129.200.153)

과거 기술을 배워왔던 MMC가 유독 변속기를 못하기로 소문난(변속기 자체도 그냥저냥이지만, 그 방식도 독특한...) 정도로 변속기쪽이 별로였던 것도 HMC의 자동변속기가 그간 꽝이였던데 한 몫 했을 듯 합니다. HMC정도 수준과 규모의 회사가 자체개발을 완전히 제끼고, 100%외주로 변속기를 국외업체에서 조달한다면, 시장에서 가격을 맞추기가 쉽지 않겠죠. 10여년전처럼 공동개발을 하는 것도 불가능하고요.(말도 안되는 기술제휴료에 생산로열티까지..작정을 하고 외국업체들이 물을 먹이려고 들고 있으니까요..그렇다고 완제품을 싸게 파느냐?..약점을 노출하는 먹잇감에게 자비를 베푸는 맹수는 없겠죠?)
2007.03.24 14:32:03 (*.210.238.56)

저는 개인적으로 자동변속기는 어차피 사람이 기계에 맞추어 운전하는 수밖에는 없다는 결론을 내립니다 어느정도 익숙해지면 변속로직을 파악하게 되고 그에맞게 악셀링을 하는정도..
그리고 어느변속기가 좋다 나쁘다 보다는 엔진과의 세팅이 가장 관건입니다 차량과 좋은 매치를 시키는것이 빠르고 튼튼한 미션을 만드는것만큼 어렵다고 봅니다.. 이러한 측면에서만 본다면 아쉽게도 현대는 한참 분발해야 겠죠.. 실제로 해외에서 동급으로 많이 비교되는 푸조,폭스바겐,여타 일본차들과 비교해서 타보면 다른건 뒤쳐진다고 보기어려운데 가장 뒤쳐지는게 엔진과 변속기의 세팅인것 같습니다
그리고 어느변속기가 좋다 나쁘다 보다는 엔진과의 세팅이 가장 관건입니다 차량과 좋은 매치를 시키는것이 빠르고 튼튼한 미션을 만드는것만큼 어렵다고 봅니다.. 이러한 측면에서만 본다면 아쉽게도 현대는 한참 분발해야 겠죠.. 실제로 해외에서 동급으로 많이 비교되는 푸조,폭스바겐,여타 일본차들과 비교해서 타보면 다른건 뒤쳐진다고 보기어려운데 가장 뒤쳐지는게 엔진과 변속기의 세팅인것 같습니다
2007.03.24 15:23:18 (*.173.165.72)

현차 예전 미션에 비해 최근에 출시되는 차들의 미션은 많이 개선되었지 싶습니다.
전에 초기 베타에 적용된 미션 개발팀에 계셨던 분 얘길 들어보니 진짜 OTL같은 X많이 했더군요. 배선도 약하고 특히나 미션오일덕에 유리미션이랑 얘기도 많이 들은터라
오일이나 냉각을 신경쓰며 관리하니 나름대로는 내구성이 쫌더 나아지긴 하더군요 ^^;
전에 초기 베타에 적용된 미션 개발팀에 계셨던 분 얘길 들어보니 진짜 OTL같은 X많이 했더군요. 배선도 약하고 특히나 미션오일덕에 유리미션이랑 얘기도 많이 들은터라
오일이나 냉각을 신경쓰며 관리하니 나름대로는 내구성이 쫌더 나아지긴 하더군요 ^^;
2007.03.24 15:27:31 (*.148.33.122)

왜 DSG, SMG 를 마다하는지요? 논외로 할 이유가 없는 차세대의 대안이라고 봅니다. 물론 그 옵션들이 제공되는 차가 제한되긴 합니다만...
수입차의 오토매틱이 한결 마음에 들긴 하지만 그래도 오토는 오토라고 봅니다.
저도 한 몇 년은 수동운전 가르치고 괴로움을 강요해봤습니다만.. 결국은 한대는 완전 컴포트로 다른 하나는 스포츠로 갈라서는 게 오히려 돈도 절약하고 편리하다고 결론 나더군요. 하나로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하려면 의외로 돈 많이 듭니다. -_- ;
수입차의 오토매틱이 한결 마음에 들긴 하지만 그래도 오토는 오토라고 봅니다.
저도 한 몇 년은 수동운전 가르치고 괴로움을 강요해봤습니다만.. 결국은 한대는 완전 컴포트로 다른 하나는 스포츠로 갈라서는 게 오히려 돈도 절약하고 편리하다고 결론 나더군요. 하나로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하려면 의외로 돈 많이 듭니다. -_- ;
2007.03.24 22:02:59 (*.21.75.28)

스마트 한 번 타 보세요. 변속시 속 터지다 못해 잠 옵니다. 0.6초 라고 하는것 같은데 느낌으론 1초 이상인 것 처럼 느껴집니다. 단 토크컨버터 형식이 아니라 동력 전달 효율은 좋은듯 합니다.
2007.03.24 22:09:29 (*.25.142.173)

DSG나 SMG가 아닌이상 오토는 오토다에 저도 한표 던집니다^^ 최근 접해본 차들 sm7, tg, is250, Audi A6, E46 등 대부분 비슷한 반응이었습니다. 조금씩 변속속도의 차이와 느낌이 다르긴 했지만 이렇다할 큰 차이를 말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합니다. 현대미션의 내구성은 차츰 나아지고 있으니....
2007.03.24 22:33:57 (*.143.155.207)

가족이 있다는 전제하에 종권님 말씀에 공감이 가네요. 어차피 요즘 시대에 사회생활 할 경우 차 없이 힘든 경우라면 결국 부부차가 따로 있어야 할 테고, 부인의 차를 가족용 편안한차로 할 경우 본인차는 선택에서 제법 자유로워 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2007.03.24 22:55:49 (*.254.173.57)

경험의 차이로 인한 의견의 분화가 좀 있는것 같습니다. 최근 현대자동차의 트랜스미션이 반응은 여전히 느리지만 내구성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다는 생각이 듭니다.
많은 차를 접해보진 못했지만 e46이나 z4등에 포함되는 오토매틱에 비해 G35나 350z의 오토매틱 트랜스미션은 정말 대~단하더군요!
많은 차를 접해보진 못했지만 e46이나 z4등에 포함되는 오토매틱에 비해 G35나 350z의 오토매틱 트랜스미션은 정말 대~단하더군요!
2007.03.25 01:09:47 (*.47.60.18)
저는 뭐.....현재 여자친구가 운전면허가 아예 없고...운전이란걸 할 생각조차 안하고있으니 모르겠네요...;;
토크컨버터의 오토미션에서 더욱 발전된 형태가 DSG같은 세미오토입니다. 배제하신 이유는 전혀 짐작이 안갑니다;
토크컨버터의 오토미션에서 더욱 발전된 형태가 DSG같은 세미오토입니다. 배제하신 이유는 전혀 짐작이 안갑니다;
2007.03.25 01:43:11 (*.64.116.129)
DSG같은 세미오토가 모든 차종에 일반화되었으면 고민할 필요도 없고 정말 바랄나위 없겠지만, 현재 GTI와 제타, R32 정도 뿐이 적용안된 걸로 알고있습니다. 대부분의 다른 차량은 아직 오토가 대세입니다. 더구나 국내에 들어오는 거의 모든 외제차는 오토죠.. 그래서 저는 그냥 현재 일본차 및 독일차들의 오토미션 기술이 현대차에 비해서 얼마나 다른지 궁금해서 질문드렸던 겁니다.
2007.03.25 01:51:24 (*.117.67.51)

요즘 현대차 오토 미션들도 정말 내구성이 좋아졌다고 봅니다.
많은분들이 유리미션이다 라고 하시지만..
저는 아직 거쳐간 현대차들이 한번도 고장을 낸적이 없기에.. 음..
오토매틱은 그냥 오토매틱이라고 봅니다.
타기 아주 편한.. 앞으로 시대가 흐르면 DSG같은 미션들이
지금의 오토처럼 돌아다니겠죠. ^^;
많은분들이 유리미션이다 라고 하시지만..
저는 아직 거쳐간 현대차들이 한번도 고장을 낸적이 없기에.. 음..
오토매틱은 그냥 오토매틱이라고 봅니다.
타기 아주 편한.. 앞으로 시대가 흐르면 DSG같은 미션들이
지금의 오토처럼 돌아다니겠죠. ^^;
2007.03.25 09:35:19 (*.96.191.135)

현대미션의 내구성은 이미 어느정도로 올라와있다고 생각이 들구요 변속패턴도 5년전과 비교하면 로직이 상당히 긍정적으로 변한다고 생각이 듭니다. 변속속도가 0.1초든 0.5초든 1초가되든 여성오너에게 변속속도는 별차이가 없다고 생각이 들고 남자도 마찬가지 인거같습니다. 변속속도 더빠른 수동미션이 시내에서는 오히려 오토보다 느린경우가 많습니다.^^ 다운쉬프트와 알피엠 속도보상 순간적인 단수조정이 완벽하지 않는이상은 아무리 변속속도가 빠르더라도 필요없는거 같습니다. 인간의 운전능력과 수동이 만나면 극상의 드라이빙 머쉰이 되겠지만 힐앤토도 모르는 일반인에게는 구지 미션하나의 변속속도 보다는 지능적인 로직으로 운전자의 의지를 뛰어넘는 수준으로 컨트롤해주는 오토미션이 낳다고 봅니다.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지요. 물론 수동을 알아가는맛은 떨어질겁니다. 저는 제 와이프가 오토를 원한다면 구지 강요는 안하겠지만 직간접적으로 수동의 장점에 대해서 은근히 세뇌를 하고 수동을 운전하고 싶어서 안달날 정도로 만들면 알아서 잘 할거같습니다.^^
2007.03.25 09:35:29 (*.96.191.135)

구지 DSG SMG가 아니더라도 토크컨버터 방식으로 나오는 미션중 ZF6단은 0.1초 간격으로 변속을 해주는게 이미 출시가 되있습니다. 물론 한정된 차종에 해당하는거라 좀... 논외가 될수도 있겠군요.^^
2007.03.25 14:35:33 (*.28.165.161)

제 회사 옆 동료는 와이프가 수동매니아인데요~ 뉴코란도 290 수동부터
시작해서 XD VVT 5door까지 수동만 고집하는데요~ 일반사람 기준에
준한다면 운전 상당히 잘합니다.
울산의 모 자동차클럽에는 Accent TGR(동/압력판) 수동모델을 힐을
신고 드래그 및 스트리트 배틀을 즐기는 고수녀도 있습니다.
정말 인영님 말씀처럼 생각의 전환이 필요할 것 같아요. ^^;;;
시작해서 XD VVT 5door까지 수동만 고집하는데요~ 일반사람 기준에
준한다면 운전 상당히 잘합니다.
울산의 모 자동차클럽에는 Accent TGR(동/압력판) 수동모델을 힐을
신고 드래그 및 스트리트 배틀을 즐기는 고수녀도 있습니다.
정말 인영님 말씀처럼 생각의 전환이 필요할 것 같아요. ^^;;;
2007.03.25 20:23:37 (*.97.208.47)

다양한 오토미션을 경험해 본 적은 없지만, 쓸만한 팁트로닉(임의선택방식)기능을 가진 차량을 가족용차로 한 대 가지고 있다면 위안은 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엔진과 미션의 절묘한 세팅을 차량 선택에 외형만큼이나 중요하게 생각하는데요, 빠르고 충격없는 변속감에선 DSG가 최고였지않나 싶지만, 감각이 오락기스러울 정도여서 쫌... 그러나, 향후 오토미션들은 비슷한 쪽으로 발전하지 않을까하며, 그때는 저도 충분히 좋은 감각으로 받아들일지 모르겠습니다. 수동선택시 반응속도와 운전자의 개입 없이는 자동변속을 하지 않는 우직함, 파워로스량의 최소화, rpm보상 등을 주안점으로 현재까지 경험해본 중엔 인피니티 G35 sedan sports, 이번에 나온 335i 의 패들쉬프트 능력이 가장 깔끔하고 매력적이었습니다.
제 경우 G35구형세단이지만, 집사람은 편안한 오토기능에 불만없고, 제가 운전석에 앉을때면 주로 수동선택방식(90%는)으로 나름대로 재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변속편의성이 있는 패들쉬프트 방식의 new G35 sports 만큼은 아니지만, 지리한 고속도로에서 악셀링과 동시에 다운쉬프트는 운전내내 졸음 방지에도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습니다.
질문하신 벤츠, 아우디, 페이톤, 5, 7시리즈 등의 오토차량에서 수동변속감은 기대할만한 재미가 거의 없었습니다. 반면, new 335i 는 부드러우면서도 너무 좋더군요. (SMGII는 논외라니깐...)
제 경우 G35구형세단이지만, 집사람은 편안한 오토기능에 불만없고, 제가 운전석에 앉을때면 주로 수동선택방식(90%는)으로 나름대로 재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변속편의성이 있는 패들쉬프트 방식의 new G35 sports 만큼은 아니지만, 지리한 고속도로에서 악셀링과 동시에 다운쉬프트는 운전내내 졸음 방지에도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습니다.
질문하신 벤츠, 아우디, 페이톤, 5, 7시리즈 등의 오토차량에서 수동변속감은 기대할만한 재미가 거의 없었습니다. 반면, new 335i 는 부드러우면서도 너무 좋더군요. (SMGII는 논외라니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