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내연기관인 엔진에서는 항상 최대토크와 최대출력이 나오는 회전수영역이 정해져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현대의 1.6 감마엔진의 경우에는 최대출력이 6200rpm에서 121마력이라든지 하는 식으로요.
그런데 궁금한건 말입니다.
회전수는 7000까지 돌릴 수 있는데,
최대출력은 6500에서 나오는 엔진의 경우,
6500에서 변속하는 것이 가속에 빠를까요, 7000에서 변속하는 것이 가속에 빠를까요?
일단, 아무리 출력이 떨어져도 단수가 한단 낮으면 바퀴에 더 큰 힘을 걸어 줄 수 있을 것 같긴 하고,
반대로, 출력이 떨어지면 그만큼 토크하락폭도 크고, 가속력도 떨어진다는 얘긴데,
7000rpm까지는 돌리나 최대출력이 6500rpm에서 나오는 엔진의 경우, 어떤 변속이 가속에 유리할까요?
예를들어, 현대의 1.6 감마엔진의 경우에는 최대출력이 6200rpm에서 121마력이라든지 하는 식으로요.
그런데 궁금한건 말입니다.
회전수는 7000까지 돌릴 수 있는데,
최대출력은 6500에서 나오는 엔진의 경우,
6500에서 변속하는 것이 가속에 빠를까요, 7000에서 변속하는 것이 가속에 빠를까요?
일단, 아무리 출력이 떨어져도 단수가 한단 낮으면 바퀴에 더 큰 힘을 걸어 줄 수 있을 것 같긴 하고,
반대로, 출력이 떨어지면 그만큼 토크하락폭도 크고, 가속력도 떨어진다는 얘긴데,
7000rpm까지는 돌리나 최대출력이 6500rpm에서 나오는 엔진의 경우, 어떤 변속이 가속에 유리할까요?
2008.06.15 23:20:30 (*.106.97.30)

다이나모 돌려봐서 자기차에 맞는 변속시점을 찾는게 좋은거겠죠??
저도 평소에 궁금해 하던점이였는데...
질문하신 이상훈님과 답변해주신 김균택님 감사합니다 ^^
저도 평소에 궁금해 하던점이였는데...
질문하신 이상훈님과 답변해주신 김균택님 감사합니다 ^^
2008.06.15 23:39:22 (*.80.51.186)
마력 그래프를 보고 회전수별 출력을 해당 차량의 기어비로 계산하여서 각단 각rpm별 출력을 빼보면 정확하게 할수 있겠죠...
2008.06.16 01:12:53 (*.120.254.242)

오르막, 내리막에 따라서 틀리겠네요...
500rpm 정도의 차이고 6500rpm 을 벗어나서 심하게 늘어진다는 느낌만
아니라면 끝까지 돌리고 변속한다에 한표! 입니다.
내리막은 예외입니다..
500rpm 정도의 차이고 6500rpm 을 벗어나서 심하게 늘어진다는 느낌만
아니라면 끝까지 돌리고 변속한다에 한표! 입니다.
내리막은 예외입니다..
2008.06.16 09:01:06 (*.20.192.205)

당연히 7000rpm까지 올려서 변속하는 것이 빠릅니다. 분명 최고 토크가 발생하는 지점을 지나면 토크는 떨어집니다만, 기본적으로 출력은 rpm에 비례하기 때문에 최고 출력은 최고 토크가 나오는 지점보다 더 높은 rpm에서 나오게 되고, 비록 최고 출력 피크를 지났다 하더라도 rpm이 올라가기 때문에 출력저하는 천천히 생기는 편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차량과 달리 토크밴드가 순식간에 꺾여서 떨어지는 경우를 제외) 그리고 다음 변속시에도 마찬가지로 더 높은 rpm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높은 출력을 내는 상태로 다음 기어에서 가속을 시작할 수 있는 것입니다.
6500에서 최고 출력이 나온다는 얘기는 6500 이후 7000.. 까지 토크 하락이 급격한경우가 될듯 합니다.. 6500에서 변속 해서 토크 밴드 이하로 회전수가 떨어져 버린다면 7000까지.. 가서 변속 하는게 좀더 유리하지 않을까요.. ^^ .. 정리하면 .. 변속후 회전수가 최대 토크에 가깝게..변속 하는게 유리하지 않을까.. 라는 하수 생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