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후...요즘따라 자주 들어가보게되는 유가조회사이트를보니
(가끔 생각날땐 일본 미국도 가끔 본다지요....)
휘발유 최고가가 2130원을 달리고있는 이 현실 고급유 사용자들은 피가 마르는군요
사실 언론에서는 정유사에서 비싸게 나간다는둥 어쩐다는둥 이야기를 합니다만
사회의 문제가 될만한 발언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한국엔 주유소가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만약에 타국처럼 (저의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일본의 경우 주유소가
한국에비해 상당히 드문드문 있는것 같은 느낌이 들더군요
3월 14일자 일반 유류가격이 100엔당 1000원이라고 상정하면
레귤러 1470원 하이옥탄 1580원 경유 1240원 (기술적으로 경유가 비싸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이동네도 경유가 싸더군요 미국은....아주약간 높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여기에 임의로 국민 체감 물가수준을 적용하여 상기 일본에서의 유류가격을
한국인들의 유류 체감가격으로 짐작하여 본다면 레귤러 1176원 하이옥탄 1264원 경유 992원
정도가 될꺼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차량유지를 위한 비용이라던가 부분까지 적용하자면
상당히 복잡해지므로 일단 배제하여둡니다) 이에 한국에서 정유사들의
구조개선과 정부의 세금인하 그리고 주유소들이 감소한다면[사실 일본도 주유소가 상당히
많이 감소한거라고 하더군요] 일본의 가격과 비슷하게 유지할 수 있진 않을까 싶은
생각이 살짝 듭니다 다만 한국에서 주유소가 1/3 정도 없어진다면 사회 부분뉴스에
'주유소를 운영하던 모모씨 생계가 막막해 자살' 이런뉴스가 나올까봐 살짝 무섭기도하군요
P.S : 디젤프라이드 5도어 1.5 VGT 수동이 땡기더군요 정지연비가 20km 정도 되는거 같던데
실연비 17km 정도는 나와주지 않을까 싶은 기대에 말이죠 (기왕이면 뒤에 엠블렘도
수출형인 RIO5 SX로 바꾸고말이죠 글자체가 그게 마음에 들어서...)
(가끔 생각날땐 일본 미국도 가끔 본다지요....)
휘발유 최고가가 2130원을 달리고있는 이 현실 고급유 사용자들은 피가 마르는군요
사실 언론에서는 정유사에서 비싸게 나간다는둥 어쩐다는둥 이야기를 합니다만
사회의 문제가 될만한 발언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한국엔 주유소가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만약에 타국처럼 (저의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일본의 경우 주유소가
한국에비해 상당히 드문드문 있는것 같은 느낌이 들더군요
3월 14일자 일반 유류가격이 100엔당 1000원이라고 상정하면
레귤러 1470원 하이옥탄 1580원 경유 1240원 (기술적으로 경유가 비싸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이동네도 경유가 싸더군요 미국은....아주약간 높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여기에 임의로 국민 체감 물가수준을 적용하여 상기 일본에서의 유류가격을
한국인들의 유류 체감가격으로 짐작하여 본다면 레귤러 1176원 하이옥탄 1264원 경유 992원
정도가 될꺼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차량유지를 위한 비용이라던가 부분까지 적용하자면
상당히 복잡해지므로 일단 배제하여둡니다) 이에 한국에서 정유사들의
구조개선과 정부의 세금인하 그리고 주유소들이 감소한다면[사실 일본도 주유소가 상당히
많이 감소한거라고 하더군요] 일본의 가격과 비슷하게 유지할 수 있진 않을까 싶은
생각이 살짝 듭니다 다만 한국에서 주유소가 1/3 정도 없어진다면 사회 부분뉴스에
'주유소를 운영하던 모모씨 생계가 막막해 자살' 이런뉴스가 나올까봐 살짝 무섭기도하군요
P.S : 디젤프라이드 5도어 1.5 VGT 수동이 땡기더군요 정지연비가 20km 정도 되는거 같던데
실연비 17km 정도는 나와주지 않을까 싶은 기대에 말이죠 (기왕이면 뒤에 엠블렘도
수출형인 RIO5 SX로 바꾸고말이죠 글자체가 그게 마음에 들어서...)
2008.03.20 04:21:16 (*.51.214.6)

스쿠터가 있긴합니다만 가끔은 차몰고싶은생각이 들때가 있다보니 이런생각을 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허심탄회하게 다 풀어놓으니 상당히 장문이 되었네요 :)
2008.03.20 08:34:42 (*.220.172.152)
문제는 서울의 비정상적인 땅값때문입니다.
부산에는 고급휘발유 1780원입니다.(GS칼텍스 셀프전용주유소...해운대역 바로 옆)
리터당 350원의 차이네요.......
부산에는 고급휘발유 1780원입니다.(GS칼텍스 셀프전용주유소...해운대역 바로 옆)
리터당 350원의 차이네요.......
2008.03.20 09:27:34 (*.192.187.141)

수도권엔 주유소가 너무 많은것이 사실이죠.. 이게 경쟁이 되면서 가격이 내려가야되는데.. 손님이 전체적으로 나눠지다보니 자연스레 담합처럼 되어버리는 부작용이 -_-;;;
오히려 일정수준 이상의 기본고객 확보가 가능한 환경이라면 그때부터 가격경쟁이 되지않을런지..(규모의 경제처럼..)
오히려 일정수준 이상의 기본고객 확보가 가능한 환경이라면 그때부터 가격경쟁이 되지않을런지..(규모의 경제처럼..)
2008.03.20 14:28:52 (*.68.53.72)

제가 마지막으로 고급휘발유를 넣었던 지난 15일, 서울 모 GS칼텍스 가격은 1785원이었는데...갑자기 찝찝한 느낌이 드는군요..ㅎㅎ 일반유를 넣을 때 나는 노킹은 전혀 없었는데^^
2008.03.20 20:21:15 (*.220.118.202)

일본은 주유소가 몰려 있는 곳의 경우는 거의 1k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주유소가 들어서있습니다.(경쟁사 주유소라면 이해가 가지만 가끔은 동일 브랜드의 주유소가 1km정도 거리를 둘때도 있습니다.) 반면 드문 곳은 주유 경고등이 들어왔을때 조금은 심적인 부담이 될 정도로 멀리 떨어진 곳도 있구요.(대부분은 인적이 드문 시골지역이지만요...)
2008.03.20 20:56:49 (*.57.0.122)

우리나라도 예전에 주유소간 거리제한이 있었죠? 자유경쟁을 저해한다는 이유로 철폐되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만...가물가물. 역으로 생각해보면 주유소 밀도를 법적으로 제한하게 되면 이권을 둘러싼 잡음과 독점의 폐해가 나타날 수도 있어서 기름값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수도 있겠죠. 큰돈들여야 이권을 취할 수 있을테니 ROI를 위해 싸게 공급하기 힘들지 않겠습니까? 차라리 정유사의 부당이득(이 존재한다면)이나 주유소의 담합행위 등을 단속하는게 더 직접적인 해결책이겠죠.
2천원이 넘는 고급유는 정말 부스트 쓰기가 부담스러워집니다, 어쨌든. ㅠㅜ
2천원이 넘는 고급유는 정말 부스트 쓰기가 부담스러워집니다, 어쨌든. ㅠ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