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한국에서 승차감에 대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는 점은 이미 자동차 회사에서 여러가지 베타테스트에 실제로 차를 구매할 수 있는 연령대와 차량에 대해 많은 경험을 가진 전문가 그룹으로 나누어 테스트를 진행해 이미 돌출된 결론입니다.
우리나라가 미국식의 물침대 스타일의 승차감을 선호하던 것에서 유럽식의 조금은 단단하고 안정적인 주행감을 갖춘 승차감으로 급격히 선호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는 것은 실제로 상당히 고무적인 것입니다.
승차감은 부드럽고 푹신함으로 간단하고 단순히 표현할 수 있지만 실제로 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요소들을 차량의 다이나믹스를 이해하는 넓은 경험과 예민한 감각으로 평개해야 합니다.
제가 승차감을 판단하는 요소들을 나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평형성
뒷좌석에 앉았을 때와 같이 쇼퍼드리븐인 경우 승객은 차에 일어나는 모든 움직임에 반응하고 그 움직임에서 몸을 시트에 지탱하기 위해 노력을 하게 됩니다.
즉 차가 기울면 몸이 안기울어지게 허리에 힘을 주고 자세를 유지하는 노력을 무의식적으로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지요.
차량의 평형성은 롤에 대한 저항력이 얼마나 되는지의 차원에서 차는 직선으로 달리는 확률이 거의 없이 항상 턴을 하는 연속적인 움직임에 노출된 것을 참고했을 때 매우 중요한 평가요소입니다.
2. 평형성2
위에 언급한 평형성보다 더 중요한 평형성은 차가 직선으로 주행할 때 노면의 기복에 좌우로 얼마나 기우뚱하느냐입니다.
보통 독립현가장치가 후륜에도 적용되어 이부분이 해결되었다고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실제로 이 좌우로 기우뚱하지 않는 평형성을 가지는 능력은 엄청난 노하우와 세팅능력이 수반되어야 가능합니다.
말로 표현하기 좀 힘들 수도 있지만 이 부분이 만족스럽지 않은차들은 뒷좌석이 좌우로 계속해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반복되기 때문에 장거리를 타고나면 매우 피곤합니다.
3. 서스펜션 스트록
서스펜션의 상하 왕복 행정이 짧으면 스포티하지만 부드러움을 연출하는데는 다소 불리합니다.
짧은 스트록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강한 댐퍼압을 요구하는데, 이런 경우 전체적인 상하 스트록에는 강한 반발력을 피할 수 없습니다.
스트록은 짧은데 충분한 댐퍼압이 아닌 세팅은 스프링이 완전히 눌리는 것과 같은 충격에 차에 엄청난 충격을 전해줄 수 있기 때문에 고급차에 요구되는 스트록을 확보하고 일반적인 주행상황에서 평범한 스트록에서 얼마나 편안한 승차감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해답을 찾아야 합니다.
4. 요(yaw)센터
고급차는 고속을 포함한 코너에서 미세한 언더스티어를 발휘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슬립앵글을 어느정도 가지는 즉 스티어링을 꺽는 것보다 차가 살짝 덜꺽이는 방식으로 가속패달을 놓았을 때 뉴트럴 스티어 이상 즉 오버스티어로 인해 슬립앵글이 마이너스가 되지 않는 방식이 좋습니다.
다시말해 턱인현상은 최고급차에서는 독약과도 같은 것이지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턱인이 걸릴 때 뒷좌석 승객은 불안함과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됩니다.
이 요센터와 뒷좌석 승차자와 얼마의 거리를 유지하는지는 뒷좌석 승차감에 매우 큰 영향을 줍니다.
회전능력을 강조하는 스포츠카와 승차감을 강조하는 대형세단의 세팅 방향이 정반대로 가야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버스를 탔을 때 뒷바퀴를 기준으로 그보다 더 뒤쪽에 앉으면 차의 회전이 좌우로 진행될 때 좌우로 훨씬 더 많이 움직여 피곤한 것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따라서 운전자가 스티어링을 조작하는 반응에 뒷좌석은 좌우방향으로 최대한 적은 원심력이 발생되어야하는데, 이는 롤강성을 나타내는 평형성과 반드시 밀접한 관련을 가지진 않는다는 차원에서 좀 까다로운 평가법입니다.
5. 피칭
급가속중 앞머리가 들리는 스쿼드 현상이나 제동시 머리가 앞으로 숙여지는 다이브현상, 혹은 테일리프트 현상이 적은 차들이 편안합니다.
어떤차들은 노즈다이브가 심한데 이상하게 테일리프트가 없어서 뒷좌석에서는 앞좌석만큼 피칭이 안느껴지는 차들도 있습니다.
위에 나열된 내용들은 궁극적으로 이상적인 승차감이 Sky hook이론에 근거하여 노면의 기복을 느낄 수 없을만큼 매끄럽고 가속과 감속 그리고 턴할 때 즉 종,횡가속이 발생할 때 몸에 미치는 힘이 최소일 때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는 개념입니다.
포장이 아주 매끄러운 장거리를 달릴 때도 서스튜닝이 되어 있는 소형 스포츠카와 최고급 세단이 실제로 피로도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바로 차의 반응에 의해 몸은 계속적으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되고 이러한 노력은 몸의 에너지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 수록 피로감을 느끼는 것입니다.
현재 국내의 자동차시장이 현기차가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이 선택한 방향이 성공적일 경우 다른 브랜드에도 자극이 크게 될 것을 감안하면 현재의 현기차의 세팅방향이 유지되면서 좀 더 경쟁력이 있는 모습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testkwon-

오히려 현기차의 하체는 저속에서 하드하다가 고속에서 소프트해지는 현상으로 인해 매니아들의 불만이 발생하기도 하죠.
현기차의 디자인과 파워트레인은 메이커 가치대비 상당히 우수하지만 하테 기술은 갈길이 더 남았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국산차중엔 시보레 자동차들이 하체설계만큼은 현기차보다 훨씬 우수하다고 생각합니다.
현기차듸 디자인과 파워트레인. 르삼차의 품질. 시보레차의 하체를 결합한다면 대중차로서는 최고의 자동차가 나오지 않을까요?^^

현기차의 고급차군에 속하는 차들이 과거에 비해 단단한 승차감으로 바뀌었다는 언급이었습니다. 세계적인 추세를 언급한 적은 없구요.
독일차들의 소프트한 승차감으로의 변신은 중국시장의 특성을 과거에 비해 조금 더 많이 반영해야하는 시대적 운명에 기인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미국에 들어가는 독일차와 유럽에서 판매되는 중형급 이상의 차량의 서스펜션 세팅은 눈에 띄게 다른 것을 보면 중국에서 현지생산을 고려하면서 설계를 해야하는 상황이 볼륨이 크게 창출될 수 있는 시장의 특성을 반영안할 수가 없는 것이지요.
현기차의 세팅의 변화는 그동안 벤치마크의 대상이 일본차의 카피라는 이미지보다는 유러피언을 어느정도 답습하는 방식으로 선회했기 때문에 그 승차감의 변화도 있을 수 있었다고 봅니다.
여전히 가야할 길이 멀지만 일반인들의 기대치에서 봤을 때는 지금도 충분히 만족스러울 수 있습니다.
매니어들의 입장과 기호를 따지면 사실 독일차 브랜드 몇개를 제외하고 이상적인 평가를 받을 브랜드는 거의 없습니다.
이런 점에서는 일본브랜들의 나름 스포츠 세단들도 예외가 될 수 없구요.

아주 오래전에 활동하던 동호회에 썼던 글인데.. 당시(90년대말~2000년 초반)의 제 글을 다시보니 부족한 지식임에도 지금은 갖고있지 않은 열정이 살짜쿵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날씨가 많이 따뜻해 졌네요.
월간지의 시승기는 빠지지 않고 보면서 나에겐 언제나 출판사의 요청으로
새로운 차를 타보고 시승기를 쓰게될 날이 올까하며 나름대로 정리해본 차량의 시승방법을 감히 올려봅니다.
일반적인 양산차량 기준이며
튜닝차량이나 특수목적차량은 조금 접근방식이 틀리겠죠.. 크게 승차감과 핸들링으로 나누고 이번에는 기본 승차감에 대해서만 말씀드리겠읍니다.
핸들링은 범위가 많고 내용도 광범위해서 정리가 잘 안되는 군요.. 우선 용어정리부터 해 보겠읍니다.
피칭 - 차가 앞,뒤로
흔들리는 현상
바운싱 - 차가 상,하로 움직이는 현상
임팩트 - 요철부위에서 차량에 전해지는 충격(정도)
바이브레이션 - 차량에
전달되는 각종 진동(엔진,임팩트 후의 여진감도 여기에 포함!)
노이즈 - 차량의 엔진,타이어노면타는 소리, 주행중 하체에서 올라오는 소음과
풍절음등.
회원님께서 나름대로 자신만의 용어로 정의를 내리셔도 무방합니다. 단, 용어의 개념을 정확하게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게
중요합니다.
우리나라의 차는 바운싱은 괜찮은 반면, 피칭이 좋지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이 바운싱을 좋게 하면서 피칭까지
잡는것은 쉬운일이 아닙니다. 고급세단의 경우에는 거의 이 부분으로 기본 승차감이 결정된다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 다음으로
요철부위를 통과할 때 차체에 전해지는 충격이 '물렁한가', '딱딱한가', 그 양이 큰가, 작은가 그리고 임팩트후의 여진감이 얼마나 오래가는가하는
부분입니다.
유럽차의 경우 서스펜션이 단단하게 세팅되어 잔진동은 조금있지만 큰 충격을 잘 걸르는 편입니다. 대부분 임팩트시 차체에
충격이 바로오지 않고 그 이후에도 덜거덕거리거나 하지 않습니다.
이 부분은 서스펜션 계통의 튜닝으로 해결될거라 대부분의 튜너들이
생각하지만 사실 차체강성이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수입차의 경우는 용접부위로만 봐도 국내차량과 비교해서 촘촘하게 되어있죠.
엔진출력을 올리거나 하는 튜닝카의 경우는 더 중요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스폿용접을 다시 촘촘하게 한다거나
롤케이지작업으로 차체강성은 늘이는 방법 등은 결코 쉬운일이 아닙니다. 물론 스태빌라이져나 스트럿바, 언더바등의 보강은 기본이겠죠.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제일 신경쓰는
소음부분입니다. 제가 타본 차량으로는 토요타의 '렉서스'가 정말 조용하더군요. 차량실내의 과자먹는 소리가 더 크게 들릴
정도였으니까요..
저는 사실 박력넘치는 엔진소음이 실내로 여과없이 들어오는 스포츠한 차량을 선호한는 편입니다만... bmw330 의
엔진소리는 중도적성향의 튜닝매니아라면 정말 좋아할만한 배기음을 내더군요. 실내로 유입되는 엔진소음도 듣기좋고... 그 부분이 고급세단으로서
bmw의 매력(=개성)중에 하나가 아닌가 합니다. m3는 더 좋죠!!!
엔진튜닝이나 머플러등의 교체로 소음이 증가한 경우엔 장거리
주행시 좀 피곤합니다. 그래서 그런 분들에게는 차량의 방음,방진 등의 작업을 권하고 싶네요.
이렇게 기본 승차감에 관한 글을
마칩니다. 이 다섯가지 기본승차감만으로도 차량의 기본성격을 알수 있읍니다. 부디 차의 승차감에 대해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읍니다.
아무리 봐도 허접하군요..쿠쿠.
------------------------------------------------------------------------------------------------------------------
당시 우리나라 차의 하체 상태는 시쳇말로 '총체적 난국' 이었져. 댐퍼를 바꿔놓으면 차체가 약해서 헤엄치는 가오리처럼 코너에서 뒤틀린곤 했슴다.. 기껏 할 수 있는게 스트럿 바 정도 였으니까요..훔.
요즘 나오는 우리나라 차.. 정말이지 '격세지감' 입니다.
아침부터 넘 수다를 떠는군여..ㅋ
걍 그렇다구요..(^^*)
좋은 내용의 글입니다..
특히 요센터에 대한 내용이 흥미롭습니다. 운전석의 경우로 대입해보면...승차감 좋은 차와 운전이 재미있는 차가 양립하기 어려운 이유일 수도 있으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