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요즘은 풀오토 에어컨이 상당히 일반화되어 있어 브랜드를 불문하고 쉽게 접하는 기능입니다.
Auto를 누를 경우 실외온도와 관계없이 에어컨이 작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제작사에서 그렇게 만든 이유는 실내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이 큽니다.
위의 사진은 폭스바겐 샤란 차량의 Eco스위치를 눌러 에어컨 컴프레셔를 끈 상태입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정차시 시간당 연료소모가 보이실 겁니다.
표기상으로 시간당 공회전시 1리터의 연료를 소모한다는 표시입니다.


이번에는 Auto를 눌러 컴프레셔를 연결한 상태입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공회전시 시간당 1.5리터의 연료사용이 표시된 것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폭스바겐 아우디 계열의 차량은 Eco라는 스위치를 눌렀을 때 에어컨 컴프레셔가 작동을 멈춥니다.
이부분이 직관적이지 못하다는 판단을 했는데, 2008년식 폭스바겐 차량은 모두 Eco버튼을 AC로 표기를 바꾸었고, Eco버튼이 On일 때 에어컨 off이런 로직에서 AC on 일 때 에어컨 역시 on 이런 식으로 바뀌어 운전자들이 스스로 좀 더 선택적으로 에어컨을 사용하는 쪽으로 유도했습니다.
별 것 아닌 것일 수 있지만 겨울에 온도가 낮을 때 에어컨 컴프레셔를 연결한 체 주행하는 것은 분명히 연료 낭비입니다.
브랜드별로 다르겠지만 대개의 경우 Auto를 눌렀을 때 컴프레셔가 작동하는 경우가 많으니 자신의 차의 작동 로직이 어떻게 되는지를 파악해 불필요한 연료낭비를 줄이는 것도 고유가 시대에 필요한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testkwon-
2008.10.21 17:01:00 (*.46.117.69)

저도 최근 AUTO 스위치를 누르면 외부온도보다 설정온도가 확연히 높아
히터 작동해야 하는데 에어컨 불이 들어와서 끄다가 아예 AUTO를 안하고 있습니다.
AS센터에 고장인지 물어볼까 하다가 믿을곳이 못된다는 경험상
그냥 지금까지는 메뉴얼로 조작중이였습니다.
히터 작동해야 하는데 에어컨 불이 들어와서 끄다가 아예 AUTO를 안하고 있습니다.
AS센터에 고장인지 물어볼까 하다가 믿을곳이 못된다는 경험상
그냥 지금까지는 메뉴얼로 조작중이였습니다.
2008.10.21 17:13:12 (*.226.22.18)

한동안 오토 에어컨 실험을 해봣는데 주변 의견도 그렇고 저도 그렇고 아직은 믿을게 못된다였습니다.
고급차 일수록 정확하다고 하긴하던데 아직 제차는 제 마음에 들게 작동을 안해주더군요
고급차 일수록 정확하다고 하긴하던데 아직 제차는 제 마음에 들게 작동을 안해주더군요
2008.10.21 17:18:05 (*.151.244.28)

제차의 오토에어컨의 가장 불편한점은..
시동을 켠 상태에서 아무것도 안건드리고 있으면 엔진의 뜨거운바람이 들어온다는겁니다;
꼭 스위치를 두번 눌러서 안들어오게 막아야해요;
오토에어컨을 켜놓으면 시도때도없이 컴프레서 돌려서 싫은데 시동걸때마다 리셋되어버리니 참..
차사고 한동안은 유입안되게 막는 방법을 몰라서 엔진의 뜨거운 열기가 나오기 시작하면 어쩔수없이 에어컨을 켰었던 기억도.. ^^;
시동을 켠 상태에서 아무것도 안건드리고 있으면 엔진의 뜨거운바람이 들어온다는겁니다;
꼭 스위치를 두번 눌러서 안들어오게 막아야해요;
오토에어컨을 켜놓으면 시도때도없이 컴프레서 돌려서 싫은데 시동걸때마다 리셋되어버리니 참..
차사고 한동안은 유입안되게 막는 방법을 몰라서 엔진의 뜨거운 열기가 나오기 시작하면 어쩔수없이 에어컨을 켰었던 기억도.. ^^;
2008.10.21 17:58:38 (*.132.65.25)

GTI에 ECO 버튼이 있어 무엇인지 몰랐는데, 그런 기능이었군요. 결국 A/C 버튼과 같다는 얘긴데.. 아무튼 참고하겠습니다. 공회전시에 연료를 1.5배 정도 더 먹는군요.
2008.10.21 18:21:15 (*.144.18.20)
제차(4세대gti)도 주행시 송풍구에서 더운바람이 나옴니다. 예전에 없던 증상 같은데 얼마전부터 그런것 같습니다. 덕분에 이번 여름 막바지에 땀좀 흘렸습니다.
이쯤에서 궁금증이 생기는데요.
1.ECO버튼을 누르고 송풍을 시키는 경우는 더운바람을 원하는 겨울에만 작동시키면 되는건가요?
2.송풍을 꺼논 상황에서 중행중 나오는 더운바람은 어떻게 차단시키나요?
....7년째 타고 있는 차에 대하여 이런 초보같은 질문을 하고 있으니 참 거시기 허네요.
이쯤에서 궁금증이 생기는데요.
1.ECO버튼을 누르고 송풍을 시키는 경우는 더운바람을 원하는 겨울에만 작동시키면 되는건가요?
2.송풍을 꺼논 상황에서 중행중 나오는 더운바람은 어떻게 차단시키나요?
....7년째 타고 있는 차에 대하여 이런 초보같은 질문을 하고 있으니 참 거시기 허네요.
2008.10.21 20:28:10 (*.155.218.79)

티구안을 타니 econ이 AC로 바뀌고 온오프도 직관적이라
국내사양을 준비해줬나 했더니...다 바뀌었군요.....
"econ은 모야?' 이런 질문에 잘난척 했었는데...
이제 것도 끝이네요...ㅋㅋ
국내사양을 준비해줬나 했더니...다 바뀌었군요.....
"econ은 모야?' 이런 질문에 잘난척 했었는데...
이제 것도 끝이네요...ㅋㅋ
2008.10.22 00:29:03 (*.140.146.177)

QM5 의 오토 에어콘도 AC로 끄게 되어있더군요..
저도 예전엔 오토 에이콘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좀 있었습니다만..
최근 차량이라고 할 수 있는 QM5 를 타면서 꽤 바뀐듯 합니다.
(요샌 거의 오토로 해놓고 다닙니다)
저도 예전엔 오토 에이콘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좀 있었습니다만..
최근 차량이라고 할 수 있는 QM5 를 타면서 꽤 바뀐듯 합니다.
(요샌 거의 오토로 해놓고 다닙니다)
2008.10.22 02:09:43 (*.229.192.143)

오토에어컨은 그렇다치고 수동에어컨들 중에서도 내기순환 모드로 전환하면 자동으로 에어컨이 켜지는 시스탬은 정말 불편합니다.....현대의 몇몇 차종들은 짹만 제거하면 간단하게 해결이 되던데...제 E36같은 수동조절식이면서도 막상 뜯어보면 케이블타입이 아닌 모델들은 한여름이 아니면 거의 내기순환 모드로 전환하지를 못하고 있네요....ㅡ,.ㅡ
2008.10.22 08:56:32 (*.161.237.250)

생각보다 오토에어컨이 불편한점도 많은것 같습니다. 마스터님 글대로
매번 Econ 버튼을 눌러야 하는것도 있구요. 또 잘 모르는 분들은 겨울에도
컴프레서를 돌리고 다니는 경우도 있는듯 합니다.
차라리 VW의 오토모드는 좀 나은데 많은 차들에서 찬바람나오다가 실내온도를
1~1.5도만 높게 세팅해도 갑자기 더운바람이 나오는 경우도 있고...
저는 그래서 지금차에는 오토모드가 달려있지만 거의 사용치 않고 그냥 상황에
맞게 수동으로 적극적으로 조절해주는 편입니다.
매번 Econ 버튼을 눌러야 하는것도 있구요. 또 잘 모르는 분들은 겨울에도
컴프레서를 돌리고 다니는 경우도 있는듯 합니다.
차라리 VW의 오토모드는 좀 나은데 많은 차들에서 찬바람나오다가 실내온도를
1~1.5도만 높게 세팅해도 갑자기 더운바람이 나오는 경우도 있고...
저는 그래서 지금차에는 오토모드가 달려있지만 거의 사용치 않고 그냥 상황에
맞게 수동으로 적극적으로 조절해주는 편입니다.
2008.10.22 09:08:44 (*.106.65.125)

정희석님 4세대라면 일단 에어컨을 작동시키고 내기순환으로 전환한 후 송품버튼을 -로 눌러 꺼버리시면 내기순환 상태로 작동을 멈추게 됩니다.
더운 바람은 켜져있을 때 파란색 버튼을 눌러 차갑게 만드신후 끄면 더운바람이 안나올 겁니다.
더운 바람은 켜져있을 때 파란색 버튼을 눌러 차갑게 만드신후 끄면 더운바람이 안나올 겁니다.
2008.10.22 11:12:37 (*.86.151.241)

5세대 골프이후의 모델은 에어컨컴프레셔가 클러치로 붙거나 떨어지지 않고 항상 같이 돌고있는구조이며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에 의해 컴프레셔가 부하를 받고 안받고 하는걸로 들었습니다. 유추해 보건데 풀오토로 가동시, 겨울철에 실내의 온도/습도센서에 따라 자동으로 컴프레셔의 부하가 조절되는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2008.10.22 14:18:57 (*.106.65.125)

정하중님 말씀이 맞지만 트립컴퓨터를 통해서 확인해보시면 겨울에도 auto 모드일 때 연비가 나쁘게 표기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 작동 로직을 좀 더 관찰하려면 공회전 상태에서 겨울에 시동을 걸어두고 컴프가 온오프 되는 타이밍을 보시면 알 수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