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전 오늘 처음 제네시스쿱을 봤습니다.
젠쿱이 궁금하긴 했지만, 줄 서는게 싫어서 다음달에 있을 정밀시승을 기다리고 있는 중입니다. 일땜에 오전에 나갔다 돌아옴서 집근처인 홍대앞 현대매장에 가니, 한대 서 있더군요. 제 거래 영업소를 비롯해, 강북쪽 매장들엔 전시차 조차도 구경하기 힘듭니다. (이론..줴기럴 문화 차이.ㅋ)
빨간앙마 문앞에 세워놓고 들어가니, 경계하는 눈빛.. 시승차 있냬니깐, 아침에 있었는데 딴데서 가꼬갔다는데.. 어디있는지 모른다고 둘러대는걸 보니.. 딜러들이 싫어하는거 같습디다. 왜들 글케 시승차를 심하게들 모시는지..ㅎㅎ '차나 줌 볼게요.' 하고는 약 30분~40분에 걸쳐 나름 꼼꼼하게 살폈습니다.
몇몇분들이 올려주신 시승기 내용을 떠올리며, 운전석이랑 조수석에 번갈아 앉아 한참을 살폈습니다.
일단..여~러분들이, '차가 매우 크다.' 라고 말씀하셨는데, 제 첫인상엔..그리 커보이지 않더군요. 투스카니보단 조금 넙대디 한데, G37 이랑 별 차이없어 보입디다. 제 머리크기가 창문에 꽉 찰껄 상상해보니 적당하다는 느낌이..ㅋ
시트형상은 요리조리 몸을 뒤틀면서 문질러 보니, 딱 마음에 듭니다. 제 이엡S에 투스카니 시트가 장착되어있어 비교하기가 편한데, 한결 진화한듯한 느낌이고 참 좋습디다. 요즘 현대 차의 시트는 허벅지 아랫부분을 넉넉하게 받쳐주어 안락한 느낌을 주는게 마음에 듭니다. 좌측 아래에 있는 레버를 움직여 최 하단까지 포지션을 낮춰보니, 시트포지션이 꽤 내려가던데요.. 운전하듯이 페달링을 해보니,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선루프가 있는 차인데, 그리 답답해보이지 않더군요.
스티어링휠도 350 파이정도 컴팩트하고 마음에 들었습니다. 가죽삘의 비닐이라고 어느분이 말씀하셨는데..박음질이 되어있는걸 보니, 광택있는 엠보싱처리 가죽이 맞던데요..? 무광가죽 질감이 잡았을때 고급감이 있긴 하지만, 유광질감은 때가 안타서 좋을듯도 합니다. 많이들 말씀하신 대쉬보드나 실내 재질감은, 제가 보기엔 나쁘지 않았습니다. 전체윗부분을 감싸는 재질은 엠보싱있는 쿳션플라스틱인데 꾹꾹 눌러보니 적당한 쿳션이 있어 괜찮았고.. 콘솔박스 바로위의 길다랗고 좁은부분 플라스틱에 처리된 엠보싱 텍스추어가 조금 유치한 문양으로 되어있어 그렇게 보인듯 합니다.
가장 마음에 드는건, 센터페시아의 실버도금처리하고, 각 버튼류의 터치감..
간결하고 고급스러운 터치감이여서, G35 세단이나 쿱이랑 비슷한 느낌을 줍니다. 얼마전까지 유행했던 센터페시아와 센터터널 연결부위의 위화감이나, 각이 심하게 꺾인형상이 싫었는데.. 젠쿱의 그부분은 부드럽게 연결되어있어 좋습디다. 이는.. 좌코너를 빡세게 돌땐 무릎을 지지하는 부분이여서, 국산이건 외산이건 다른차들은 무릎부분이 아픈데..젠쿱은 안정감있게 지지할 수 있어 좋을거 같습니다.
트렁크를 열어보니, 바닥깊이는 얕지만 넓이가 충분해서 골프백 두개정도는 낑궈넣을 수 있을 공간처럼 보입니다. 뒷시트 폴딩이 벤치형으로 묶여진건, 실내와 트렁크를 연결해주는 터널 공간 높이가 좁아서가 아닐까 생각되더군요. 거기서 마음에 들었던 건.. 양 C 필라를 이어주는 샷시프레임이 꽤 두껍고 넓어서, 이전의 투스카니등에 비해 리어 비틀림 강성에 매우 유리할거 같다는 점입니다. 중형이상 세단들의 그것보다 더 두툼해 보입니다. 운동성에 초점을 맞추니 달리 보게 되더군요. 추 후 보강킷까지 하게됨, 금상첨화 일 듯.
뒷시트는 그리 안락해 보이지는 않지만, 레그룸이 생각보다 넓어서 평균신장인 사람은 그리 불편할거 같지 않더군요. 제 경우는 세가족이 함께 탈때, 180에 95키로인 아들녀석은 주로 조수석.. 160 정도인 와이프는 뒷자리에 앉을때가 많아, 패밀리카로 써도 별 불편함이 없을 듯 합니다. - 아이가 있는 분들도 보통 초딩4학년정도때까진 2도어쿱이 불편하지 않습니다. 제 경운.. 아들녀석이 고나이때 티뷰론과 스타크래프트를 함께 갖고있었어서, 평소엔 침대만들어 뒹굴며 다니다가 티뷰론의 쪼고만 뒷자리에 타도 아무 불평이 없기도 했지요.^^ -
외관의 비례는 자연스럽고 미끈한데, 헤죽거리는 마스크가 좀 마음에 안들더군요. 이부분은.. 디자인실 보다는 윗쪽에서 '거 웃는게 좋네, 저걸로 하지~' 라는 의견이 적용된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요즘 디자인에 사이드몰딩이 빠지면서 심플한 맛은 있는데, 옆구리가 뭔가 허전합니다. 제네시스 세단은 아랫부분에 액센트가 들어가 단단해 보이던데..
휠 디자인은 좋아보입니다. 허브부분에서 벌어지듯이 확장되는 느낌땜에 안정감있어 보이고 실제 휠하우스 외곽 펜더위치랑 비슷하게 내려와 좋고요. 건메탈 칼라로 지대 도색을 하면 아주 고급스러울거 같은 형태입니다. 가끔 지적이 있었던, 휠하우스 커버(흙받이)부분은.. 아래부분 디자인 완성도에 있어, 없는게 나아보입니다. 차고도, 좀 더 내려가면 스포티하겠지만.. 제 생각엔 노말상태 그대로도 괜찮아 보이더군요. 아주 가끔이지만 비포장도로나 굴곡심한 경사로, 주차장들을 드나들때 차고높이가 어느정도 있으면, 참 좋을때가 많습니다.
지대로 운전해봐야 알겠지만, 암튼.. 젠쿱의 외관과 실내등을 꼼꼼히 살펴보면서, 심플하고 군더더기 없는 모습에 나름 합리적으로 만들었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엔드급 스포츠모델로 가기전에 걸쳐갈 차로 마음이 굳혀지네요. 훔훔~
깜장독수리..
2008.10.22 18:00:31 (*.45.18.17)

제니시스는 더블위시본에 알루미늄 컨트롤암으로 기억하는데
왜 젠쿱은 맥퍼슨에 철제 컨트롤암인지 모르겠습니다.. 브렘보까지 장비하면서
더욱 중요한걸 빠트린게 아닐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왜 젠쿱은 맥퍼슨에 철제 컨트롤암인지 모르겠습니다.. 브렘보까지 장비하면서
더욱 중요한걸 빠트린게 아닐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2008.10.22 19:00:32 (*.31.24.73)

최석님 맥퍼슨이 왜 안좋다고 생각하나요?
세계 유수의 차량들도 맥퍼슨 방식을 많이 쓰고 있습니다
조금 구조가 다르겠지만 포르쉐도 맥퍼슨 방식입니다..
코너는 더블위시본이 최고로 좋다란 고정관념을 버리심이...
세계 유수의 차량들도 맥퍼슨 방식을 많이 쓰고 있습니다
조금 구조가 다르겠지만 포르쉐도 맥퍼슨 방식입니다..
코너는 더블위시본이 최고로 좋다란 고정관념을 버리심이...
2008.10.22 19:22:28 (*.45.18.17)

고정관념이 아니라 맥퍼슨이 더블위시본에 비해 좋은점은 심플한점과
코스트외에는 없습니다. 범프스티어에 취약하고 코일오버 장착시 피벗포인트가
하나이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심합니다. 머 이런 문제를 떠나서
같은 플래폼인 제니시스는 더블위시본이고 젠쿱은 맥퍼슨인게 이해가 않된다는겁니다.
본래 제니시스도 맥퍼슨이었다면 전혀 아쉬움이 없었겠지요..
코스트외에는 없습니다. 범프스티어에 취약하고 코일오버 장착시 피벗포인트가
하나이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심합니다. 머 이런 문제를 떠나서
같은 플래폼인 제니시스는 더블위시본이고 젠쿱은 맥퍼슨인게 이해가 않된다는겁니다.
본래 제니시스도 맥퍼슨이었다면 전혀 아쉬움이 없었겠지요..
2008.10.22 20:41:03 (*.94.1.37)
글쎄요.. 저는 최석님과는 조금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긴한데요... A,B의 방식중..A가 절대적으로 우세하다라고 보기는 어렵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어떻게 서스펜션을 셋팅하느냐에 따라 B가 어설픈 A보다 좋다라고 전 보거든요.... 포르테에서도 말이 많았지만... 맥퍼슨이 더블위시본보다 좋은점이 심플한점과 가격적인 면밖에 없다라면....
거꾸로... 가격대를 일단 제네시스보단 저렴하게 만들어야하며, 스포츠카의 특성상 더블위시본으로 튜닝을 하는것보다 맥퍼슨으로 하는게 더 어울린다거나... 낮은가격에 비슷한 성능을 낼수 있다면.... 낮은가격으로 하는쪽이 맞다라고 생각합니다.. 제네시스 쿠페의 승차감을 제네시스와 동일하게 낼 필요성은 없기때문에 현대에서 맥퍼슨을 택하지 않았나.. .라고 보아도 될듯 하네요...
그리고 알루미늄과 철제... 오피러스와 TG에서도 나왔지만, 계측기를 동원한 비교분석에서는 다를지 모르겠지만, 일반적인상태에서 느낄수 있을만큼 민감한 정도가 아니다보니 철제로 하지 않았을까... 라고도 생각을 합니다..
현대 입장에서.. 물론 최고급 스포츠카를 만들고 싶었겠지만 그렇게 되다보면 가격자체가 다른 수입스포츠카보다 경쟁력에서 떨어지게 되니 당연히 경쟁력을 높히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혹은 조금 낮춰도 될만한 부품들은 모두 낮춘것이 아닐까... 라고 생각합니다....^^
거꾸로... 가격대를 일단 제네시스보단 저렴하게 만들어야하며, 스포츠카의 특성상 더블위시본으로 튜닝을 하는것보다 맥퍼슨으로 하는게 더 어울린다거나... 낮은가격에 비슷한 성능을 낼수 있다면.... 낮은가격으로 하는쪽이 맞다라고 생각합니다.. 제네시스 쿠페의 승차감을 제네시스와 동일하게 낼 필요성은 없기때문에 현대에서 맥퍼슨을 택하지 않았나.. .라고 보아도 될듯 하네요...
그리고 알루미늄과 철제... 오피러스와 TG에서도 나왔지만, 계측기를 동원한 비교분석에서는 다를지 모르겠지만, 일반적인상태에서 느낄수 있을만큼 민감한 정도가 아니다보니 철제로 하지 않았을까... 라고도 생각을 합니다..
현대 입장에서.. 물론 최고급 스포츠카를 만들고 싶었겠지만 그렇게 되다보면 가격자체가 다른 수입스포츠카보다 경쟁력에서 떨어지게 되니 당연히 경쟁력을 높히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혹은 조금 낮춰도 될만한 부품들은 모두 낮춘것이 아닐까... 라고 생각합니다....^^
2008.10.22 20:57:43 (*.123.85.52)

제네시스를 고급화 하며 쿠페를 조금 저렴하게 내놓기 위한 일종의 선택이 아닐가도 생각해 봅니다,
맥퍼슨은 아무래도 범프나 리바운드시의 얼라인먼트적 변화가 많으며 승차감적으로는 상단마운트를 기점으로 지지하기에 쇼버의 프릭션효과가 증대되기에 안락하길원하고 손질많이 하지 않는 세단에서 더블위시본은 나쁘지 않은선택일수도있겟고요 현가하 질량은 조안성도 중요하지만 승차감적인 이득도 배제할수 없는부분이라... 제네시스세단을 스포티하게 타는사람보다는 옵션들어갈만큼 들어간 고급사양이 주고객모델이라는것을 예상한다면 2천만원초반대부터 있는 쿠페의 섀시사양은 내용에 매우 충실하진 않아도 어느정도의 대중을 노릴수 있는 기업의 선택요소가 아니었을까 합니다,
맥퍼슨은 아무래도 범프나 리바운드시의 얼라인먼트적 변화가 많으며 승차감적으로는 상단마운트를 기점으로 지지하기에 쇼버의 프릭션효과가 증대되기에 안락하길원하고 손질많이 하지 않는 세단에서 더블위시본은 나쁘지 않은선택일수도있겟고요 현가하 질량은 조안성도 중요하지만 승차감적인 이득도 배제할수 없는부분이라... 제네시스세단을 스포티하게 타는사람보다는 옵션들어갈만큼 들어간 고급사양이 주고객모델이라는것을 예상한다면 2천만원초반대부터 있는 쿠페의 섀시사양은 내용에 매우 충실하진 않아도 어느정도의 대중을 노릴수 있는 기업의 선택요소가 아니었을까 합니다,
2008.10.22 21:22:46 (*.45.18.17)

대충만든 A와 심혈을 기울인 B라면 B가 당연히 태생의 한계를 극복하고도 남겠죠 하지만
A,B동일 수준으로 제작한다면 베이스가 좋은 A가 당연히 B보다 월등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제가 아쉬운점은 단지 생산단가를 줄이기 위해 중요한 부분을 잃은것이 아닌가 하는것입니다.
A,B동일 수준으로 제작한다면 베이스가 좋은 A가 당연히 B보다 월등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제가 아쉬운점은 단지 생산단가를 줄이기 위해 중요한 부분을 잃은것이 아닌가 하는것입니다.
2008.10.22 21:32:10 (*.140.146.177)

흡사.. 포르테의 멀티링크 논쟁이 잠시 머리에 떠올랐습니다.
뭐.. 결론은 타보기 전엔 모른다..일듯 합니다.
솔직히 제네시스의 더블위시본이 좋다는 느낌을 그리 받지 못해서..
뭐.. 결론은 타보기 전엔 모른다..일듯 합니다.
솔직히 제네시스의 더블위시본이 좋다는 느낌을 그리 받지 못해서..
2008.10.22 21:38:49 (*.140.146.177)

암튼 저도.. 실지 제네시스쿠페의 소감은..
여러모로 기대보다 괜찮더라..라는게 실지 느낌입니다.
다만 전면부의 얼굴만은 제발 좀 -_-..
오죽하면 직접 에어댐을 디자인해서 만들어주고 싶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야밤에 라이트 켜진 모습은 확실히 좋더군요)
..그런데 전 내년에 새 차로 제네시스쿠페를 사는 대신,
연식 좀 있는 컴팩트한 중고 후륜구동 차를 살까 하는 충동이 자꾸 느껴져서..
어쩌면 내년에 380을 사지 않을지도요..
여러모로 기대보다 괜찮더라..라는게 실지 느낌입니다.
다만 전면부의 얼굴만은 제발 좀 -_-..
오죽하면 직접 에어댐을 디자인해서 만들어주고 싶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야밤에 라이트 켜진 모습은 확실히 좋더군요)
..그런데 전 내년에 새 차로 제네시스쿠페를 사는 대신,
연식 좀 있는 컴팩트한 중고 후륜구동 차를 살까 하는 충동이 자꾸 느껴져서..
어쩌면 내년에 380을 사지 않을지도요..
2008.10.22 22:07:36 (*.29.229.67)

오늘 출근(전 오후에 출근합니다) 길에 시승차인지 모르겠을 쥐색 젠쿱이 나름대로 도로를 찢으면서 가더군요. 최근 심난한 마음에 에라... 줄기차게 쫓아가서 뒤에 붙었습니다. 2리터 터보 버전인가 보더군요. 5어쩌구 나가는 임시넘버...
별 재미가 없을 듯 하여 뒤에다 남겨놓고 가버렸습니다. ㅋㅋ 뒤에서 쫓아오는 눈매가 앙칼져보이진 않는다는 점이 좀 아쉽게 느껴지더군요. ㅋㅋㅋ
별 재미가 없을 듯 하여 뒤에다 남겨놓고 가버렸습니다. ㅋㅋ 뒤에서 쫓아오는 눈매가 앙칼져보이진 않는다는 점이 좀 아쉽게 느껴지더군요. ㅋㅋㅋ
2008.10.22 23:52:39 (*.214.96.64)

더블 위시본이라 하더라도 제네시스 타입이라면
그리 반가운것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진정한 더블 위시본도 아니죠...
그래도 부분 단가 절감의 아쉬움은 동감합니다
그리 반가운것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진정한 더블 위시본도 아니죠...
그래도 부분 단가 절감의 아쉬움은 동감합니다
2008.10.23 01:12:33 (*.229.119.240)

저도 유수의 스포츠카들이 왜 동적 얼라인먼트가 능동적이지 못한 맥퍼슨을 쓸까..하고 생각해보니, 댐퍼의 범프스트록이 짧고 단단한 스포츠카 특성과, 타이어의 저 편평비에서 받쳐주는 폭이 꽤 큰 스포츠모델의 경우, 얼라인먼트의 변화폭이 크질 않아 더블위시본의 장점을 별로 살리지 못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럴바엔 간결하고 좀이라도 가벼운 구성이 유리하겠죠.
알미늄 컨트롤암이 아쉽긴 하지만, (단가를 위해) 브렘보나 양질의 타이어 휠을 위한 희생 컨셉이라 생각하면 어깨 두들겨 주고 싶은..^^ 이부분도 억지로 갖다 붙혀보면, 운동폭(stroke)이 크지않은 스포츠카 특성상.. 부드러운 써스펜션의 세단에 비해 득과실 폭에서 선택된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두가지를 장착했을때 비교실험을 해봤을거란 생각이 듭니다.
알미늄 컨트롤암이 아쉽긴 하지만, (단가를 위해) 브렘보나 양질의 타이어 휠을 위한 희생 컨셉이라 생각하면 어깨 두들겨 주고 싶은..^^ 이부분도 억지로 갖다 붙혀보면, 운동폭(stroke)이 크지않은 스포츠카 특성상.. 부드러운 써스펜션의 세단에 비해 득과실 폭에서 선택된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두가지를 장착했을때 비교실험을 해봤을거란 생각이 듭니다.
2008.10.23 01:38:11 (*.103.34.2)

심각한 스포츠카 아닌 경우에 스트럿을 선택하는 큰 이유 중의 또 하나는 cabin room (실내 공간)활용에 유리하다는 것입니다. 요즘은 기술이 발전되어 상당히 컴팩트한 wishbone 서스펜션도 많이 나오긴 하지만, 아직 스트럿에 비하면 그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편입니다. 아직 대부분의 구매자들은 성능이나 수치에 민감하기보단 그 가격대의 스포츠 쿺을 선택할 때, 디자인이나 실용성에 더 많은 무게를 두는 것이 보통이죠. 그리고, Porsche처럼 세팅만 잘하면 스트럿으로도 충분히 좋은 성능을 끌어낼 수 있기도 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