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01&newsid=20091006172215495&p=yonhap
하이패스 구간에서의 사건사고가 과속 탓인지..차단 봉 앞에 얼어버리는 운전자 때문인지
뭐가 뭔지 정녕 모르는 듯...
시속 20km로 줄여도 차단봉 없애지 않는 한 사고는 지속되겠지요
참 한심하네요..대한민국 공뭔 여러분


- 싱가폴의 ERP는 시내 도로 위에 설치되므로 제한속도가 시내 도로 속도와 동일합니다.
- 노르웨이의 AutoPASS는 80km/h까지 동작하고 특별한 속도제한에 관한 코멘트는 없습니다.
(회의때문에 있다가 추가하겠습니다 ^^ 참고 URL은 http://en.wikipedia.org/wiki/Electronic_toll_collection )

실제론 차단봉 앞에서 급 정차 시켜 올바른 징수를 하기 위함이면서 치고 지나가도 괜찮다는 생각은 참으로 어이없는 발상입니다. 결국 대포차와 같은 경우는 그냥 치고 지나가버리라고 광고하는 꼴이 되는 것이지요. 하긴 그러한 차들은 그냥 요금소에서도 그냥 냅다 달리기도 합니다만 -_-
요즘은 이동식 카메라도 오래전 고정식차럼 집을 지어 놨던데요..
낚을려는건지...사고를 조장하는건지 의문이듭니다.(특히 터널 지나자 마자..)
하루 단속건수가 6만여이상 이라던데..그 돈 다어디로 가는건지.
구간단속때 2초를 두고 무사통과한 저를 추월한 수백여대의 차량은 전부 과태료?
하이패스는 Y영역대도 징수됩니다.^^;
도로보수나 좀 하시지..
사실 하이패스사용으로 인건비는 줄어드는데 기계는각자구입하고, 할인율얼마안되고...
게다가 차단봉까지 달아놔서 이건뭐 가끔 손이 땀이나더군요~
30Km면...ㅡㅡ
링크타고 가서 기사보고 왔습니다. 저는 기사가 더 웃깁니다. 마지막줄에 보면 하이패스 관련 사고는 2004년 4건에서 지난해 18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고 적어놨네요. 비교의미가 있는 수치인지.. 하이패스 이용 증가율에 비례해보면 오히려 줄어들지는 않았을지... 왜 쓰는 걸까요, 이런기사는?
탁상행정의 문제가 아니라, 담당자의 지적 능력이 의심되는군요...
음식을 먹어야 살수있고, 먹어야 똥이 나오는데 냄새가 나니 먹지 말란 격이군요..
아니면 담당자가 고속도로에 가본적이 없거나..

우선 하이패스라는 단어 부터 사람들을 오판하게 만드는 것 같네요. 이곳 미국은 속도에 민감합니다. 그리고 워낙 공권력이 세기 때문에 제도상 사람들이 빨리 간다는 생각을 하지 못합니다. 물론 경찰이 안보이면 빨리들 가지요. 하지만 어디선가 나타나는 경찰차들때문에 눈치를 보면서 운전을 하지요. 티켓하나 잘못 생각해서 버팅기다가는 결국 법원에서 영장이 신청되고 운전 면허 취소에 벌금에 관태료에 그 이상 버티면 평생 운전 면허는 포기 하셔야 하구요. 운전 면허 없이 운전은 바로 체포대상입니다. 벌금을 못 내면 수많은 시간을 사회봉사 해야하구요. 이정도 되면 하이패스란 말에 무턱대고 쌩 달려버리는 생각은 하지 못할 것 같네요. 전 번호판 미 부착으로 경고받은 적이 잇었는데 황당하게 처리가 안되서 법원에서 영장까지 떠있는것을 나중에 발견했지요. 잘 처리 되서 판사비 10불만 내고 나왔지만 말이죠. 한국의 하이패스를 엘에이쪽은 패스트 트랙(Fast track)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저도 한번 모르고 이것 없이 들어 갔다가 고생좀 했지요. 빠르다는 말이 이곳에선 그냥 남들( 막히는 지역)보다 원활히 갈 수있다는 말이지 내 맘껏 빨리간다는 말은 아닙니다. 우리도 우선적으로 사고를 먼저 바꾸면 원활히 간다는 제도를 즐길 수있지 않을까 싶네요.

하이패스차로라고 하이스피드로 다니라고 만들어놓은건 아닐테지요.
본래 사용취지에 걸맞지 않은 상황이 연출되지만 않는다면 30킬로건 20킬로건 준수해줄 의향이
있습니다. 행정편의주의적인 선택만 아니라면요.
차단봉이 내려온다고 그차를 정말 막아버릴(?)수 있는것도 아닌데, 설치해놓은것도 좀 우습지만
본인이 상상했던 그것이 제공되지 않는다고 비판일색인것도 문제라고 봅니다.
물론 정당한 기기없이 진입하는 차들에 대한 단속은 이루어져야 하되, 그것이 정상적인 이용자의
안전과 권리를 침해해서는 안되겠죠.

하이패스의 스폰지 봉문제의 발단은 요금징수를 피하고자 하는 일부 운전자들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온 고육지책입니다, 불법 무정차 통과 차량 단속에 혈안이 되어 공기업의 기본책무를 무시한 근본적인 책임이 크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하이패스는 시속 120km로 통과하여도 100% 징수가 가능합니다.
예전에 속된말로 고속으로 통과시 징수안됀다고 하는 말들이 있었지만, 제가 시속 120km로 청계산 톨케이트를 직접 통과해보니 잘만 징수되더군요. 120km이상의 속도는 어차피 과속임으로 논의 자체의미가 없으며, 그것으로 징수문제가 있다면 과속카메라 장착하면 해결되지 않을까 합니다.
독일에서 하이패스 개념을 기획할때 무징수에 대한 대안 없음이 초기 하이패스 기본 컨셉이였습니다.
즉 국민 수준을 믿고 징수를 피하는 불법 무징수 통과자의 비용은 미비함으로 손실처리하겠다는것이죠.
요즘 KTX를 타보니 개찰구에서 검표검사 않하더군요..비숫한 개념이겠죠.
국민수준이 되지 않으면 쓰지 말라가 요지입니다. 아니면 요즘 문제시되는 추돌사고 위험이 너무 크다는것이겠죠?
도로공사나 교통부 관련되시는분은 이미 알고있는 상황이지만...
하이패스사업권은 취지와는 다르게 부실 덩어리가 되어가고 있으며, 대기업의 로비와 도로공사 준공무원님들의 무리한 기획의 전형적인 본보기라고 생각됩니다.
위 사진의 싱가폴의 하이패스는 한국에 하이패스가 도입되기전에 유럽에서 충분히 검증된 시스템이였는데 무슨 연유로 도입이 않돼었을까요? 어쩌하여 소비자가 하이패스 단말기를 직접 구매하고 있을까요? 초기 기획의도는 보증금을 받고 기기를 대여하는 방식이였는데 어느순간 은근슬쩍 바뀐것을 기억하시는 분이 많지 않은것 같습니다..벌써 10년전 이야기네요. 30년전 고속도로 티켓발급기 납품 선정사업자 관련 엘지와 삼성 관계자들이 폐싸움사건이 있었듯이 10년전 하이패스 사업자 선정에도 비슷한 사건이 있었던것을 기억하시나요? 초기 인건비 절역을 내세웠는데 하이패스 발급관련 인원 보충으로 초기 의도와는 다르게 인건비가 더 지급이 되고 있으며(새로운 일자리 창출?) 무정차 통과로 인한 시간 단축은 작년 국감자료 기준으로 보면 하이패스와 일반 티켓징수와 평균 20초 이상 차이가 나지 않으며, 공식집계 하이패스 관련 추돌사고는 도로공사측에서 항의 접수된 건수이며 실제 사고건수는 수십배에 달한다고 합니다. 스폰지봉이 올라가지 않을시 대처방법에 대하여서도 통일됀 대응방식이 아니라 각 톨게이트마다 다른 권장방식을 원유하고있습니다, 심지어 하이패스 티비광고에서 스폰지봉 대처방법과 일반 홍보 방법도 제각각 이더군요.
도로공사는 무슨돈이 있어서 매년 일부 공무원에게 국내 유명 디자이너 지갑, 넥타이, 고속도로 통행카드를 선심쓰듯이 주는지 모르겠고...요즘은 아예 하이패스 카드에 지네 멋대로 금액을 정립하여 선물과 뇌물등으로 하이패스 불법 사용법을 자진해서 홍보하고 있더군요.
참고로 도로공사 홍보용 선물비용과 하이패스 추돌사고 방지 캠페인 예산이 불법 무징수 통과로 인한 비용을 초과한다는 사실도 기억해두면 좋을것 같습니다.
개탄할 일입니다.
하이패스는 좋은 시스템이라고 인정하는데, 운영하는 집단에 문제가 너무 큰것 같아서 하이패스를 지나칠때마다 씁쓸합니다.
아띠..쓰다보니 제가 무슨 국정감사에서 질책하는 국회의원 나리님이라도 된것 같네요.

예전에 이곳 테드에서 (어느분이었는지 기억이 안 나네요. 죄송합니다.) 댓글 보고 감동받았던 적이 있더랍니다.
고속도로....... 라는 곳은, 조금 더 빠르게 달리기 위해서 굳이 돈을 지불해 가면서 가는 곳인데...
그런 고속도로가 오히려 속도면에서 제한이 주어진다면... 이것은 정말 어불성설이 아닌가...
대략 제가 기억나는건 이러한 의미였던걸로 기억하는데요.
외국에 나가본 적이 없는지라, 외국의 (우리나라의 하이패스와 비슷한) 시스템을 위의 덧글 사진을 보고 처음 알았습니다만...
사진을 보고 나니, 우리나라의 하이패스가 얼마나 덧없는 제도인가가 느껴지네요.
속도 줄이라고 있는 톨게이트 패스웨이를 더 좁게 만들어버리고...
그나마도 저속으로 통과하라고 안전바까지 만들어놓고서는...
오작동시에는 그냥 밀고 지나가도 상관없는 스폰지 봉이라고 이야기하는건...
무언가 몹시도 앞뒤가 안 맞아들어가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ㅡ-ㅡ;;;

최남규님이 보신 댓글 제가 달은것 같습니다...ㅠㅠㅠㅠㅠ
그 당시 High Way와 Free Way의 차이점을 말씀드린것 같습니다. 위 2가지 단어의 차이점을 돈내고 빨리 달리는 도로와 경제속도하에서 자유럽게 달리는 도로의 차이로 구별할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그 구분이 그냥 고속도로이죠..ㅋㅋ
기본에 충실하면 그 목적이 뚜렷이 보이는 법인데, 편의와 일부 강자의 입장에서 규칙과 법을 새로만들어 버리는 사실에 무기력한 서민의 입장에서는 안타깝습니다.
자동차 전용도로라 함은 그 초기 목적에 부함해야 하며, 납세자의 권리로 Free Way 사용에 권리가 있음에도,
예전 박정권당시 차관으로 Frss Way만들고 어려운 상황이라는 강제력으로 국가 주도의 요금징수(=High Way)가 이제는 너무나 당당한 인식으로 굳어 졌으며, 요즘은 툭하면 민간유도 민자도로건설을 부추키고 당당하게 통행료 징수를 하고 있습니다. 일반 납세자가 원활하게 이동할수 있는 국가주도의 Free Way를 만들어 놓고, 그 주변에 High Way를 민간 또는 국가주도로 만들어 통행료를 징수해야 맞는것이라 생각합니다.
실례로 일부 선진국의 경우 일정 기준의 거리상에서 Free Way와 High Way의 시간차가 30분 이상나게 되면 High Way를 요금징수없는 Free Way로 변경하여 운영하고 구도로인 Free Way는 "구 Free Way"로 구분짖습니다.
요금을 징수하는 현 시점에서 도로상에서 일어나는 교통사고의 1차 책임은 도로공사가 지어야 합니다.
또한 고속도로에서 도로에 떨어져있는 물체로 차량 파손의 경우, 눈길에 미끄러짐 사고, 물 고임등 배수문제로 인한 사고등은 당연히 1차 책임은 도로공사임에도 선례가 없다는 횡포로 변상은 보험사에 떠넘기고 보험사는 차후에 도로공사와 협의하여 금액을 산정한다고 하지만 실제 그 비용은 보험가입자가 고스란히 떠않고 있는 실정이죠.
시간이 지나면 더 좋은 시스템이 되길 바랍니다..........

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창호님께서 써주신 글을 읽다보니 점점 더 암울~해지는군요.
춘천살던시절, 46번국도(경춘국도) 노면 결빙으로 사고가 난 적이 있었습니다.
아주 추운 겨울도 아니었고, 노면에 주행방향으로 홈을 파 논 곳에 물이 고여있다가 살짝 얼어버린 때문이지요.
상천에덴휴게소 앞 속칭 빗고개 내리막(예전에 과속카메라 있던)이었습니다.
등골이 싸늘해지는 경험을 했지요. 전방에는 신호대기중인 차들이 있었고...
차라리 내 차만 다치자 하는 생각으로 중앙분리대를 받아보려 했으나 차는 그대로 썰매타듯 결국 신호중이던 차들을 충격...
보험사 직원에게 '노면관리소홀'에 대한 부분에 강하게 어필을 하였으나...
CR도 안 먹히더군요. -_-;;;
그러고보니 우리나라 국민들 참 착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수많은 직/간접세를 알게 모르게 내고 있다는 생각도 문득 들구요.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309
전에 봤던 기사입니다만... 결국은 미징수 요금때문이죠...당시는 판교하고 성남등 수도권이였으니
건당 800~1000원이지만 지금은...더 늘어났을거 같군요..

대충 정리해보면,
- 대량의 무단 통과 미수요금 발생 (06년 통계로 4억이었으니 지금쯤은 10억대 전후?)
-> 해결책을 찾기 위해 차단봉 설치
-> 사고 급증
-> 미수금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사고를 막기 위해 저속 통과 강제화
이렇게 되는군요. -_-
사고 증가의 근본 원인은 "미수금 발생으로 인한 차단봉 설치"인데,
이걸 "과속 통과로 인한 사고 위험 증가"로 재포장함으로써
문제의 본질을 슬쩍 묻어두고 있다는 점이
많은 분들의 분노를 사게 된 거 같습니다.
탁상행정인가 했는데, 그게 아니네요.
하이패스 도입시 제대로 검토하지 못한 리스크로 인해 발생한 손실에 대해 책임회피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