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흔히, 초기 길들이기(Aging) 에 대한 상식화 되어있는 용어를 아실 겁니다.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 길들이기를 신경쓰지 않을 시기에 고속에서 잘 나가게 만드는 일정수준의 고속주행을 권장하는 말씀을 많이 듣게 되는데, 소위 고속빨 좋은 차를 만든다는 이 고속길들이기의 실체는 뭘까 곰곰히 생각해 봤어도 뾰족한 답이 안떠오르길래 함 여쭈어 봅니다.
실제로 기계뭉치일 뿐인 차가, 고속주행에 소홀히 했다고 고속주행으로 단련된 차량들과 내공이 달라지거나 생체적응처럼 활성화되는 것도 아닐텐데 말입니다. 오히려 더 닳으면 더 닳았지 고속주행수련이 마치 보이지 않는 공력이나 환상적인 힘을 키우는 듯한 이해를 하는 경우가 많아서 말입니다.
제가 내린 혼자만의 결론은,
고속주행으로의 단련이란, 단순화 시키면,
같은 악셀량(푸시워크?)에 반응하는 스로틀 개도량과 혼합비의 셑팅을 민감히하는 (혹은 급격한 증가의 변화량을 유도하는) ECU 학습 과정이 아닐까 합니다.
평소 유순한 변화의 악셀링으로 차를 몰아온 경우, ECU에서 스로틀과 연관된 로직이 부드럽게 셋팅되어 학습된다면, 반대로 악셀링의 다이나믹한 변화와 때론 풀 악셀을 해주며 학습된 ECU는 나중에도 비슷한 악셀링시 과급된 연료분사로 반응하는 조건반사를 보일 뿐이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평소 잘 안달려줬던 차량이 반응이 굼뜨게 느껴지는 것도 그정도의 악셀링에선 항시 그정도의 개도량으로 운행에 충분했던 버릇이 있기 때문이죠, 이런 차량들도 몇 일만 재학습시키면 향후 고속빨 좋은 차로 갈 수있는 포텐셜은 충분히 내재된 거라 생각하는 겁니다.
거기에 조금 더하자면, 각종 부싱류나 차체의 지오메트리가 고속주행이나 급격한 하중이동에 적합하도록 닳고 변화된 것이 일조할 듯 하기도 하고요...
고수님들의 고속 길들이기에 대한 생각을 엿듣고 싶습니다.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 길들이기를 신경쓰지 않을 시기에 고속에서 잘 나가게 만드는 일정수준의 고속주행을 권장하는 말씀을 많이 듣게 되는데, 소위 고속빨 좋은 차를 만든다는 이 고속길들이기의 실체는 뭘까 곰곰히 생각해 봤어도 뾰족한 답이 안떠오르길래 함 여쭈어 봅니다.
실제로 기계뭉치일 뿐인 차가, 고속주행에 소홀히 했다고 고속주행으로 단련된 차량들과 내공이 달라지거나 생체적응처럼 활성화되는 것도 아닐텐데 말입니다. 오히려 더 닳으면 더 닳았지 고속주행수련이 마치 보이지 않는 공력이나 환상적인 힘을 키우는 듯한 이해를 하는 경우가 많아서 말입니다.
제가 내린 혼자만의 결론은,
고속주행으로의 단련이란, 단순화 시키면,
같은 악셀량(푸시워크?)에 반응하는 스로틀 개도량과 혼합비의 셑팅을 민감히하는 (혹은 급격한 증가의 변화량을 유도하는) ECU 학습 과정이 아닐까 합니다.
평소 유순한 변화의 악셀링으로 차를 몰아온 경우, ECU에서 스로틀과 연관된 로직이 부드럽게 셋팅되어 학습된다면, 반대로 악셀링의 다이나믹한 변화와 때론 풀 악셀을 해주며 학습된 ECU는 나중에도 비슷한 악셀링시 과급된 연료분사로 반응하는 조건반사를 보일 뿐이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평소 잘 안달려줬던 차량이 반응이 굼뜨게 느껴지는 것도 그정도의 악셀링에선 항시 그정도의 개도량으로 운행에 충분했던 버릇이 있기 때문이죠, 이런 차량들도 몇 일만 재학습시키면 향후 고속빨 좋은 차로 갈 수있는 포텐셜은 충분히 내재된 거라 생각하는 겁니다.
거기에 조금 더하자면, 각종 부싱류나 차체의 지오메트리가 고속주행이나 급격한 하중이동에 적합하도록 닳고 변화된 것이 일조할 듯 하기도 하고요...
고수님들의 고속 길들이기에 대한 생각을 엿듣고 싶습니다.
2006.08.11 18:11:48 (*.113.131.80)
저희집에 ef2.0이 있는데.. 일년에한두어번(아버지 급한일 있을때)5500rpm 정도까지
주행하고 나머지는 3천 prm넘기는 일이 없다는.;; 이번에 검사 나왔는데;;
마력미달?? 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물론 초기 길들이기 부분도 있고
잘 사용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위 분들의 ef 에 비해 엔진이 상당히 덜덜 떨고
반응이 느립니다. 특히 웅~ 거리는 소리가.. 마치 사람이 목에 가래낀 사람처럼;;
주위사람에게 피해 없지 가끔씩 밟아 주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주행하고 나머지는 3천 prm넘기는 일이 없다는.;; 이번에 검사 나왔는데;;
마력미달?? 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물론 초기 길들이기 부분도 있고
잘 사용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위 분들의 ef 에 비해 엔진이 상당히 덜덜 떨고
반응이 느립니다. 특히 웅~ 거리는 소리가.. 마치 사람이 목에 가래낀 사람처럼;;
주위사람에게 피해 없지 가끔씩 밟아 주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2006.08.11 19:22:27 (*.145.76.171)

ECU 학습의 필요성이라기 보다는, 엔진부품들의 적절한 길들이기가 필요함입니다. 60 억분의 1 프라이드 최강자인 효도르의 근육분포와 몸을 살펴보면, 특별히 근육량이 많지않음에도, 정확하고 강한힘을 몰아서 집중시키고, 매우 유연합니다. 트레이닝 장면을 보니, 지속적인 힘을 쓰는게 아니라, 순간적으로 사용하는 트레이닝에 집중하더군요.
엔진과 미션의 회전이 전영역에 빈번하게 적응되면, 안그런것 보다 미미하나마 유연해지겠죠. 아줌마들이 운전하던 차들은 엔진과 미션이 매우 조심스럽게 다듬어졌음에도 잘 안나가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이해가 될겁니다.
엔진과 미션의 회전이 전영역에 빈번하게 적응되면, 안그런것 보다 미미하나마 유연해지겠죠. 아줌마들이 운전하던 차들은 엔진과 미션이 매우 조심스럽게 다듬어졌음에도 잘 안나가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이해가 될겁니다.
2006.08.11 20:33:03 (*.10.141.250)
전에 어디선가 크랭크의 회전속도에 따라 베어링('메탈베어링'이라 불리는...)마모가 다르다고 본 것 같은데요...종/횡방향으로 차이가 난다고 본 것 같은데 기억이 확실하지는 않습니다만 엔진이라는 게 왕복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것이고 또 그 회전이 왕ㅇ복하는 피스톤에 영향(실린더 안에서 약간 헐떡거리면서 마모되는)을 줄 테니까, 스트레스 안 주는고속길들이기라면 고회전 운동에 적합하게 엔진이 닳아가는 게 가능할 것 같은데요?
저 개인적으로는, 반드시 속도를 기준으로 나눈다기 보다는, 평소 엔진회전을 어떤식으로 콘트롤 하였느냐가 중요한건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가다서다를 반복하는 운전이 차에 스트레스를 준다는 것은 얼핏 이해가 갑니다만. 평소 무리없이 활기찬 회전을 시켜준 엔진이라면, 굳이 시내/고속도로 구분할 필요야 있겠느냐 하는 생각이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