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최고의 메인트넌스는 메인트넌스 자체가 아닌 올바른 운전법입니다.
아무리 메인트넌스를 잘해도 운전방법에 따라 차가 골병을 들기도 하지요.
우리나라 카매니어들과 일본의 소위 환자들을 비교해보면 차를 사랑하는 방법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차에 타고 내릴 때 엉덩이가 앞좌석 시트날개에 닿으면 시트가 시간이 지나면서 닳게 됩니다.
일본에서 건너온 나름 매니어 소유의 오래된 중고차들이 이부분이 정말 새차같이 깨끗한 것을 보면 때론 놀랄 때가 많습니다.
문을 살살 닫아야 합니다.
차를 사랑한다는 사람이 문을 무식하게 세게 닫는 것을 보면 이해가 안됩니다.
창문이 열려있을 때는 문을 작은힘으로도 닫을 수 있습니다.
즉 창문이 열려있을 때와 닫혀있을 때 문닫는데 필요한 힘은 수배차이가 납니다.
창문 열려있는데, 쾅하고 내리는 모습을 보면 가슴이 철렁 내려앉습니다.
과속방지턱, 맨홀 조심해야 합니다.
과속방지턱의 라운드에 따라 차이나지만 국내의 무식한 과속방지턱의 수준으로 보아 10km/h 이상으로 넘는 것은 차에 절대적으로 해롭습니다.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의 정도로 보아 국산 도로의 맨홀도 반드시 피해서 다녀야 합니다.
가끔 높이차가 있는 맨홀 밟으면 서스펜션 부싱이나 쇽 업소버 남아나지 않습니다.
수동변속기차량들 변속충격 없이 변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클러치의 수명에도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엔진마운트와 쇽 업소버 마운트의 수명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열은 시간은 길게 할 필요가 없습니다.
문제는 예열되는 속도에 따라 차량의 회전수나 부하정도를 조절하면서 운전하는 것이 훨씬 중요합니다.
정차한체 예열 5분했으니 도로에 올려놓고 4000rpm 곧바로 넘기는 행위는 엔진에 좋지 않습니다.
차라리 예열 전혀 안하고 공회전으로 1,2분 골목으로 주행하다가 천천히 서서히 회전수를 높이면서 모든 오일류의 온도가 정상일 때 속도를 높이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아무리 차를 사랑해도 애마는 무지한 오너 때문에 매맞고 병들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의 도로사정상 일부 도로를 제외하고는 고속주행 자체가 차에 해로울 정도입니다.
도로의 상황을 모르는 상황에서 서스펜션 튜닝된 차를 빠르게 모는 것이 정말 두려울 정도이지요.
운전법과 차를 다루는 방법에 조금만 신경을 쓴다면 각종 부품의 노화를 지연시키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testkwon-
아무리 메인트넌스를 잘해도 운전방법에 따라 차가 골병을 들기도 하지요.
우리나라 카매니어들과 일본의 소위 환자들을 비교해보면 차를 사랑하는 방법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차에 타고 내릴 때 엉덩이가 앞좌석 시트날개에 닿으면 시트가 시간이 지나면서 닳게 됩니다.
일본에서 건너온 나름 매니어 소유의 오래된 중고차들이 이부분이 정말 새차같이 깨끗한 것을 보면 때론 놀랄 때가 많습니다.
문을 살살 닫아야 합니다.
차를 사랑한다는 사람이 문을 무식하게 세게 닫는 것을 보면 이해가 안됩니다.
창문이 열려있을 때는 문을 작은힘으로도 닫을 수 있습니다.
즉 창문이 열려있을 때와 닫혀있을 때 문닫는데 필요한 힘은 수배차이가 납니다.
창문 열려있는데, 쾅하고 내리는 모습을 보면 가슴이 철렁 내려앉습니다.
과속방지턱, 맨홀 조심해야 합니다.
과속방지턱의 라운드에 따라 차이나지만 국내의 무식한 과속방지턱의 수준으로 보아 10km/h 이상으로 넘는 것은 차에 절대적으로 해롭습니다.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의 정도로 보아 국산 도로의 맨홀도 반드시 피해서 다녀야 합니다.
가끔 높이차가 있는 맨홀 밟으면 서스펜션 부싱이나 쇽 업소버 남아나지 않습니다.
수동변속기차량들 변속충격 없이 변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클러치의 수명에도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엔진마운트와 쇽 업소버 마운트의 수명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열은 시간은 길게 할 필요가 없습니다.
문제는 예열되는 속도에 따라 차량의 회전수나 부하정도를 조절하면서 운전하는 것이 훨씬 중요합니다.
정차한체 예열 5분했으니 도로에 올려놓고 4000rpm 곧바로 넘기는 행위는 엔진에 좋지 않습니다.
차라리 예열 전혀 안하고 공회전으로 1,2분 골목으로 주행하다가 천천히 서서히 회전수를 높이면서 모든 오일류의 온도가 정상일 때 속도를 높이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아무리 차를 사랑해도 애마는 무지한 오너 때문에 매맞고 병들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의 도로사정상 일부 도로를 제외하고는 고속주행 자체가 차에 해로울 정도입니다.
도로의 상황을 모르는 상황에서 서스펜션 튜닝된 차를 빠르게 모는 것이 정말 두려울 정도이지요.
운전법과 차를 다루는 방법에 조금만 신경을 쓴다면 각종 부품의 노화를 지연시키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testkwon-
2006.10.23 18:11:34 (*.246.38.42)

저는 저기에 있는 내용을 아버지께 귀에 못이 박히도록 세뇌당했습니다.. 다만, 한가지 다른 점은 겨울철에 예열은 충분히 해야한다고 하셨습니다.. 당연 예열 후에도 수온계가 급격히 오르지 않게끔 차츰 엔진 회전수를 올리는게 중요하다는 것도 엄청 들었구요..
2006.10.23 18:14:19 (*.246.38.42)

제 차는 서스가 되어있지는 않지만.. 가능하면 도로의 맨홀을 피하고.. 요철이 있을 경우에는 최대한 서스에 부담이 가지 않는 방향으로 가볍게 넘으려고 노력합니다.. 차량의 문을 닫는 것도 어렸을 때부터 교육받아서 문이 닫혀지는 최소한의 힘만을 주는 법을 터득했답니다.. 아버지께서 56년생이신데 시골에서 16살 때부터 운전하셨다네요.. 그 옛날 차량은 너무 약해서 그렇게 관리를 안해주면 금방 폐차상태로 치닫는다고 하시더군요..
2006.10.23 18:22:00 (*.6.15.132)

너무 좋은 글입니다...
퍼가도 될까요?
제 미니홈피에 담아놓고 싶네요...
제 친구들도 좀 보라구요...
허락하신다면 내용 담아가고 싶습니다... ^^
퍼가도 될까요?
제 미니홈피에 담아놓고 싶네요...
제 친구들도 좀 보라구요...
허락하신다면 내용 담아가고 싶습니다... ^^
2006.10.23 18:23:56 (*.6.15.132)

아!!
그리고 문 닫는 내용에서...
아무리 가까운 사람이라도 제차에서 내릴때 문을 있는대로 꽝!!(주로 사촌동생 女)하고 닫을 땐 가끔이지만 살인충동이 일어납니다...
살살 닫으라고 하면 되돌아 오는 메아리는...
"아~~왜!! 내맘이쥐~~!!"
^^;;
가족만 아니었으면... ㅡ.ㅡ^
계속적으로 교육시켜야겠습니다...ㅋㅋㅋ
그리고 문 닫는 내용에서...
아무리 가까운 사람이라도 제차에서 내릴때 문을 있는대로 꽝!!(주로 사촌동생 女)하고 닫을 땐 가끔이지만 살인충동이 일어납니다...
살살 닫으라고 하면 되돌아 오는 메아리는...
"아~~왜!! 내맘이쥐~~!!"
^^;;
가족만 아니었으면... ㅡ.ㅡ^
계속적으로 교육시켜야겠습니다...ㅋㅋㅋ
2006.10.23 21:56:58 (*.186.17.52)

비단 자신의 차뿐만이 아니라,
요즘들어서 새차를 구입하신 개인택시 기사분들을 많이 보게되는데,
그분들의 택시를 타고 내리면서 문닫을때면 꼭 신경쓰게 됩니다.
요즘들어서 새차를 구입하신 개인택시 기사분들을 많이 보게되는데,
그분들의 택시를 타고 내리면서 문닫을때면 꼭 신경쓰게 됩니다.
2006.10.23 22:04:59 (*.182.232.143)

모든 부분에 공감이 많이 가는 내용이군요 다른건 떠나서 우리나라 도로도 좀 제대로 정비했으면 하는 바램이 있네요. 도로 깔아놓고 얼마되지 않아서 또 까뒤집고 하는 모습을 보면 참 돈쓸곳이 없구나 하는 생각이 들면서 세금 내는게 아까워지네요 ㅎㅎ
2006.10.23 22:50:00 (*.76.7.220)

국내 자동차 보유를 생각하면 한번 포장하고 오래가는 그런 도로를 만드는 시점이 오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지금부터 라도 말이죠^^
2006.10.24 01:23:22 (*.93.16.126)

엘란 문짝...생각보다 무겁지요...옆에 사람이 내릴때...특히 군대재대한 후배들.. 젊은 혈기에 문닫으면...문짝가지고 딱지치는줄 알았습니다
2006.10.24 02:24:31 (*.153.198.6)

공감가는 애용입니다.
그저께 한시간정도 자고 어제 새벽에 올림픽대로를 80km에 맞춰놓고
수면 부족 탓에 거의 넋놓고 크루징해서 가다가 주먹 두배 크기쯤 되는
큰 돌을 발견했는데 몸이 안따라줘서 오른쪽 앞바퀴로 밟고 지나가고
말았습니다. 차 밑에서 쿵하는 소리가 들려왔는데
다행히 타이어가 터지진 않았지만 차에 충격이 갔을걸 생각하니 가슴이 아프더군요..
그저께 한시간정도 자고 어제 새벽에 올림픽대로를 80km에 맞춰놓고
수면 부족 탓에 거의 넋놓고 크루징해서 가다가 주먹 두배 크기쯤 되는
큰 돌을 발견했는데 몸이 안따라줘서 오른쪽 앞바퀴로 밟고 지나가고
말았습니다. 차 밑에서 쿵하는 소리가 들려왔는데
다행히 타이어가 터지진 않았지만 차에 충격이 갔을걸 생각하니 가슴이 아프더군요..
2006.10.24 09:01:33 (*.118.121.157)

하체 튠된 차량을 운절할때는 더더욱 모르는 길을 이용하지 않습니다. 멋모르고 들어갔다가 최악의 노면 상태를 경험한 씁쓸한 경험이 몇번 있거든요. 평소에 잘 아는 길, 노면 상태를 파악하고 있는 길만 골라 다니죠. ^^
2006.10.24 11:12:33 (*.55.192.254)

이런 생각들 자꾸 깊어지면, 중고차 하기 힘들어지는데... 첨부터 내가 애지중지했던 차라야 구석구석 믿음이가고, 안되면, 동호회 환자들의 차만 인수해야하는...
모두 당연한 말씀이지만, 가끔 쏴줘야할 필요성을 느끼게하는 차를 매끈하게 재포장된 편도 4차선에서 질주해 볼라치면 가장 흔하게 두려운건 맨홀을 타이어위치에 걸치게 갈짓자로 쭈욱 깔아놓은 도롭니다. 재포장하다가 맨홀뚜껑이 깊게 내려가버린... 허흑~, 늘 다니던 길이라면 약간의 톱질(쏘잉식으로?)로 피해가지만, 첨 가는 길에선 그냥 재수에 맞겨야죠.
모두 당연한 말씀이지만, 가끔 쏴줘야할 필요성을 느끼게하는 차를 매끈하게 재포장된 편도 4차선에서 질주해 볼라치면 가장 흔하게 두려운건 맨홀을 타이어위치에 걸치게 갈짓자로 쭈욱 깔아놓은 도롭니다. 재포장하다가 맨홀뚜껑이 깊게 내려가버린... 허흑~, 늘 다니던 길이라면 약간의 톱질(쏘잉식으로?)로 피해가지만, 첨 가는 길에선 그냥 재수에 맞겨야죠.
2006.10.24 12:24:54 (*.131.94.245)

음...의자조심해서 앉기는 도저히 안될꺼같은데 나머지는 지키는 편이네요 ^^ 다만 실력이 엄써서 변속충격은 계속되고...아...예열해도 속력내면 안되는군요...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2006.10.24 13:47:46 (*.115.104.5)
`차라리 예열 안하고 공회전으로 1,2분 골목길 주행하다가,,,,,,,,,,`
저는 아침 늘 바쁜 시간 땜에 예열 못하는게 맘에 걸였는데 마스터님
말씀 보니 맘이 놓이는군요
그리고 제차 카니발 옆 슬리이딩 도어 대부분 무지막지 하게 닫는게
언제 한번은 도어 캐치 교환해야 할듯 합니다
만만한 사람한텐 이야기 하는데 어른들 한텐 억장이 무너지는듯,,,,,
저는 아침 늘 바쁜 시간 땜에 예열 못하는게 맘에 걸였는데 마스터님
말씀 보니 맘이 놓이는군요
그리고 제차 카니발 옆 슬리이딩 도어 대부분 무지막지 하게 닫는게
언제 한번은 도어 캐치 교환해야 할듯 합니다
만만한 사람한텐 이야기 하는데 어른들 한텐 억장이 무너지는듯,,,,,
2006.10.24 20:12:06 (*.131.19.99)
시각의 차이겠지만 저는 약간 생각이 다르답니다.
문 세게 닫는것, 타고내릴때 시트에 주름과 마모가 생기는것, 주행중 실수든 아니든 요철을 세게 치는것... 등등..... 우리같은 매니아들에게는 스트레스로 다가오지요?
그래서 저는 생각을 바꿨답니다.
자동차... 우리같은 환자들에겐 더할 나위 없는 벗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기계에 불과할 뿐! 생명이 있는것도 삼사십년 끌어안고 살것도 아닙니다.( 하하 너무 나쁘게 보지 말아주세요 *^^*)
기계는 언제든 망가질 수도 있는것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모될 수도 있는것이니 까짓거 맘편하게 타고 훼손된 부분은 교환하자! 라는 생각으로 탄답니다. 사람들한테 스트레스 받으며 사는것도 벅찬데, 내게 기쁨을 안겨줘야할 자동차 때문에 스트레스받기는 너무 억울한것 같아서 말이죠.
저도 예전에는 제 차를 왕 떠받들듯 모시고 살아봤지만 요즘은 필요한 정비만 꾸준히 하고 지냅니다. 차에 쏟을 정성을 주위사람들에게 돌리니 한결 삶이 즐거워 지더랍니다~:)
물론.. 말이나 황소 문양이 달린 차라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요 ^.^
문 세게 닫는것, 타고내릴때 시트에 주름과 마모가 생기는것, 주행중 실수든 아니든 요철을 세게 치는것... 등등..... 우리같은 매니아들에게는 스트레스로 다가오지요?
그래서 저는 생각을 바꿨답니다.
자동차... 우리같은 환자들에겐 더할 나위 없는 벗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기계에 불과할 뿐! 생명이 있는것도 삼사십년 끌어안고 살것도 아닙니다.( 하하 너무 나쁘게 보지 말아주세요 *^^*)
기계는 언제든 망가질 수도 있는것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모될 수도 있는것이니 까짓거 맘편하게 타고 훼손된 부분은 교환하자! 라는 생각으로 탄답니다. 사람들한테 스트레스 받으며 사는것도 벅찬데, 내게 기쁨을 안겨줘야할 자동차 때문에 스트레스받기는 너무 억울한것 같아서 말이죠.
저도 예전에는 제 차를 왕 떠받들듯 모시고 살아봤지만 요즘은 필요한 정비만 꾸준히 하고 지냅니다. 차에 쏟을 정성을 주위사람들에게 돌리니 한결 삶이 즐거워 지더랍니다~:)
물론.. 말이나 황소 문양이 달린 차라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