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프라이드 1.5VGT 디젤 수동변속기 사양을 시승했습니다.
작년에 1.6 가솔린 자동변속기 사양도 시내에서 타본 적이 있었는데, 이번에 탄 디젤은 고속주행을 해볼 수 있었습니다.

계기판의 레드존이 4500rpm부터 시작이고 5단 4500rpm에서 계기판상 200km/h를 마크합니다.

예전에 르망방식의 후진기어를 선택한 것이 과거 기아차들과 다른 점이고, 변속기의 질감은 그런대로 좋은 편이었습니다.

이런 소형차에도 스티어링 휠 오디오 리모컨은 물론이고. 아래 사진을 보시면 핸드프리까지 정말 훌륭한 패키징이라고 생각됩니다.


VGT는 Variable Geometry Turbine의 약자로 저속에선 터빈으로 가는 배기가스의 경로를 줄여서 터빈의 날개끝을 쳐 낮은 배압에서도 터빈의 속도를 쉽게 높이고, 배압이 큰 고회전 영역에서는 터빈으로 가는 경로를 넓혀 고부스트를 쉽게 쓰도록 되어 있습니다.
쉽게 표현해 저속에서의 반응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112마력의 최대출력에 24.5kgm/2000rpm이라는 토크는 동급 가솔린보다 차를 훨씬 가볍게 움직이게 합니다.
오랜만에 국산 수동변속기 차량을 시승한 것이라 정말 재미있게 탔습니다.
프라이드의 디젤 엔진이 기대했던 것보다 고회전에서 울리는 소음이 적었고, 파워도 적당해서 1.5리터 준중형을 타는 것보다 훨씬 재미있고, 경쾌하게 속도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160km/h까지는 쉽게 속도가 붙고 180km/h도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오너의 말로는 약간 내리막에서는 200km/h를 끝으로 더이상의 회전수가 없어 못 올라간다고 합니다.
전 185km/h까지 내보았는데, 그 이상 올라갈 여력이 있었습니다.
잡소리 안들리고, 승차감도 우리나라 도로에는 잘 맞고, 여러모로 엔트리카로서 손색이 없었습니다.
과거 프라이드가 데뷔했던 80년대 프라이드가 보여주었던 매력이 한동안 끊겨 있다가 너무 긴 텀을 두고 프라이드라는 이름으로 복귀해서 어떻게 보면 구지 프라이드라는 이름을 택했어야했나라는 의구심이 들 수도 있지만 프라이드라는 이름은 봉고와 함께 쓰러질뻔한 기아를 살린 구세주의 또다른 이름임에 틀림없기 때문에 기아입장에서 시장에 대한 야심찬 도전의 시점에서 프라이드라는 이름을 다시 사용한 것은 잘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보기 보다 편한 뒷좌석과 디젤엔진으로서의 거부감이 거의 없는 회전특성 등으로 가솔린 엔진사양보다 상품성에서 훨씬 앞서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저속 저단에서 가감속을 해야하는 상황에선 가솔린에서는 경험하지 않아도 되는 진동이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액셀링에 24kg이 넘는 토크가 뿜어져 나올 때 순간적으로 튀어나갈 때는 2리터 가솔린 세단이 부럽지 않을 정도입니다.
제동의 느낌도 고속에서 속도를 줄이는데 큰 부담은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제동밸런스는 빵점을 주어도 후회가 없을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고속에서 급제동을 하게 되는 상황에서는 아무리 곧은 직선에서 제동을 하게 되더라도 차가 좌우로 약간 흔들릴 수 있습니다.
특히 차선을 변경하는 상황이나 아주 완만한 코너같은 곳에서 제동을 해야하는 경우에는 더욱 더 제동 밸런스가 좋은 차와 그렇지 않은 차의 안정성은 극단적인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프라이드의 경우 120km/h정도가 넘는 속도에서 스티어링 휠이 약간이라도 조타된 상황에서 급제동이 들어가면 전문드라이버의 카운터 스티어 반응없이는 극복하기 힘들 정도로 뒤가 심하게 흔들립니다.
여성운전자들이 급작스레 만날지도 모르는 일반적 위험상황에서 차가 해줄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고 봐도 됩니다.
요즘 아주 일반적인 안전장치가 되어버린 EBD(Electric Brake force Distribution)만 있었어도 이런 이상한 몸동작은 하지 않을 것입니다.
마치 앞바퀴는 두개인데, 뒷바퀴는 한개 뿐인 차의 느낌과 비슷할 정도로 형편없는 제동배분과 밸런스를 보여줍니다.
뉴 프라이드가 데뷔한 시점이 2005년인데, 초대 프라이드의 후속차종인 아벨라가 등장한 90년대 초중반의 제동밸런스와 별차이가 없는 낙후된 기술로 차량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인 제동 부분을 세팅했다는 것은 납득이 되지 않습니다.
오늘 독일에서 6개월만에 방문한 Hubert라는 친구와 점심 먹으면서 이야기하길 독일에서 쏘렌토와 모닝, 카니발 등 세단과 SUV가 엄청나게 많이 팔리고 기아가 서유럽에서 굉장히 고품질 이미지를 쌓아나가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제대로 된 회사라면 상위모델에 투여되는 하드웨어의 전부를 가져오진 못하지만 차만들기의 기본은 하급모델에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 그 브랜드의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의 일부분입니다.
기아의 상급 다른 모델들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결정적인 문제점이 기아에서 팔리는 저렴한 차종이라는 이유로 적용되지 못하는 것은 너무 노골적으로 안전을 상품화시키는 것처럼 보여 씁쓸합니다.
뉴 프라이드 디젤은 위에 요란하게 언급한 제동밸런스 부분을 제외하고는 흠잡을데 없이 잘만든 차량이라고 생각합니다.
경제성만의 이유가 아니더라도 프라이드 디젤을 사야하는 이유가 그만큼 많습니다.
다만 기아가 현대와 더불어 이제 명실공히 메이져 브랜드로서 자리매김하는 시점에 차의 안정성과 관련된 파트에 80년대 세팅기술을 적용시키는 우를 범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testkwon-
2007.08.06 00:01:00 (*.0.0.1)
마스터님.. ABS 적용 모델을 시승 하신 건가요? 프라이드 나름대로 참 개성 있는 모델이라 생각 했었는데.. 브레이크는 뵑! 이었군요.. ㅋ
2007.08.06 00:01:00 (*.0.0.1)
EBD가 있는데도 그런 움직임을 보인 것은 여러가지 다른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 같습니다. 참고로 보니 후륜에는 스테빌라이져가 없더군요.
2007.08.06 00:02:00 (*.0.0.1)
얼마전에 뉴프라이드 디젤 신차를 뽑은 매니어분의 차를 봤는데 제동력 문제 많더군여 오래된 차들도, 경차도 잘 서는데 프라이드는 확 돌아버리더군요 -_- 결국 담벼락과 키스 ㅜㅜ;; 그 외에 오일이 샌다던가 불량도 많구요
2007.08.06 00:02:00 (*.0.0.1)
구프라이드와는 전혀 딴판이고 베르나와 거의 차이가 없는등..기아만의 색깔이 아예 없는듯 싶고 재미가 없더군요..저라면 그돈주고 별로 구입하고 싶지 않더군여
2007.08.06 00:02:00 (*.0.0.1)
헉...저는 구입하였느데요...ㅡ.ㅜ 마스터님이 시승하신 모델과 동일한 1.5VGT M/T입니다... 마스터님 시간나시면 시승을 한 번 의뢰드려볼까 했었는데...이미 시승하셨네요...^^
2007.08.06 00:02:00 (*.0.0.1)
전체적인 차량 밸런스에 대한 얘기는 프라이드동에서도 많습니다...패밀리카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작은 느낌이 있지만 문짝 4개 짜리 차를 찾다가 디자인에 끌려 구입하였고 12000km주행해본 결과 만족합니다...
2007.08.06 00:02:00 (*.0.0.1)
Coupled Torsion Beam Axle 후륜 서스펜션은 당연히 스테빌라이져가 없지요. ABS는 클릭과 공통인 하드웨어라고 생각되는데, 클릭에서는 너무 안정성 위주로 세팅되어서 서킷에서는 항상 트레일 브레이킹(ABS사양만...)을 하는게 정석일 정도였는데 의외네요.
2007.08.06 00:02:00 (*.0.0.1)
오너의 세팅 차이는 어떨까요? 전륜 캘리퍼가 도색된 것이 예사롭지 않아보입니다. 순정상태의 제동세팅이 저도 궁금하네요. 어쨌거나 EBD는 전차량 모두 ABS와 항상 같이 적용됩니다.
2007.08.06 00:02:00 (*.0.0.1)
클릭과 비슷한 하체 구조와 셋팅을 지닌 차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순정상태에서도 아무렇게나 브레이킹을 해도 요동이 없는 클릭과 다르다는 것이 신기하네요. 메이커에서는 어떤 의도로 셋팅한 것일까요?
2007.08.06 00:03:00 (*.0.0.1)
도로에서 같은 차량을 만난적이 있었는데... 이거 어떤차주 분이신가요? ^^;; 테드스티커 보고 뒤따라가다 신호등이 걸려 따라가지 못하고 뒤만 보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ㅠㅡㅠ
2007.08.06 00:03:00 (*.0.0.1)
도로에서 같은 차량을 만난적이 있었는데... 이거 어떤차주 분이신가요? ^^;; 테드스티커 보고 뒤따라가다 신호등이 걸려 따라가지 못하고 뒤만 보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ㅠㅡㅠ
2007.08.06 00:07:00 (*.0.0.1)
프라이드 디젤 수동변속기 차량.. 언제고 함 시승해 보고 싶은 차종이었는데.. 마스타님께서 시승기를 올려주시니 넘 좋군요..쿠쿠.(^^*)
2007.08.06 00:08:00 (*.0.0.1)
관심있던 차량이라 자세히 읽어봤습니다. 고속 코너링 중 브레이킹에서 뒤쪽이 쉽게 날아간다면 문제가 심각하군요. 그런 상황에서 뒷바퀴가 잠겨 슬라이드 상태가 되는 건가요? 아니면 추종성이 떨어지거나 노면에의 접지력이 부족해 슬라이드가 발생하는 건가요?
2007.08.06 00:08:00 (*.0.0.1)
단순히 제동 때 뒷바퀴가 빨리 잠기는 문제라면 앞뒤 패드의 재질을 달리하는 것으로 해결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아예 ABS가 아니라면 프로포지셔닝 밸브를 가공해 앞쪽으로 제동력을 더 옮기는 것도 방법일듯 싶은데..
2007.08.06 00:09:00 (*.0.0.1)
시승차는 캘리퍼를 도색만 한 것입니다. 모든 세팅은 순정 상태이구요. 현대와 기아가 하드웨어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많지만 내부 엔지니어들끼리의 교류는 제한적인 것 같습니다.
2007.08.06 00:09:00 (*.0.0.1)
사실 프라이드에 발생하는 불안한 제동밸런스는 개발과정에서 테스트만 제대로 진행되었어도 충분히 발견되었고, 충분히 커버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007.08.06 00:01:00 (*.0.0.1)
뉴프동내에서 용인 비공식 테스트 결과...뒷바퀴가 잠깁니다...그렇다고 단순히 제동 때 뒷바퀴가 빨리 잠기는 것만이 문제는 아닌듯 합니다...요것때문에 고속도로에서는 조금 신경이 쓰입니다...
2007.08.06 00:01:00 (*.0.0.1)
예를들어 고속으로 지나칠까 하다가 애라 휴게소에서 쉬었다가 가자하면서 우측으로 차선을 바꾸면서 제동을 조금 강하게 걸면 능숙한 운전자라해도 카운터를 쳐주지 않으면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없습니다.
2007.08.06 00:01:00 (*.0.0.1)
전 일부러 상황을 연출해서 테스트 했기 때문에 120km/h 비슷한 상황을 연출했을 당시 카운터를 쳐야만 했습니다. 물론 어떻게되나 그냥 내버려둘까도 생각이 있어 두번연속으로 시도했는데, 도저히 무서워서 무방비로는 못놔두겠더군요.
2007.08.06 00:01:00 (*.0.0.1)
즉 고속브레이킹 상황에서는 차가 어떠한 방향으로든 미세하게나마 무게가 쏠려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급제동이 걸리게 되면 결과적으로 프라이드의 경우 차가 운전자에게 해줄 수 있는 것이 없다는 결론입니다.
2007.08.06 00:01:00 (*.0.0.1)
여성운전자가 많고, 운전경험이 적은 운전자들이 많이 탈 수 있는 차라는 점과 운전경력이 많은 사람이라하더라도 고속에서 제동에 의한 스핀이나 심한 흔들림은 숙련되지 않은 운전자들이 피하기 어려운 수준입니다. 빠른시간내에 개선되어야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2007.08.06 00:01:00 (*.0.0.1)
MINI 도 하중배분은 극히 안좋은 타입이지만 오히려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면 리어를 날리면서 코너링하는 차가 되기도 하던데.. 프라이드의 경우에는 그런 면은 아닐까요?
2007.08.06 00:01:00 (*.0.0.1)
물론 이종권님 말씀처럼 코너에서 활용할 수 있는 브레이킹이 때론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다만 프라이드는 넘지 말아야할 선을 너무 많이 넘었다는 것이 문제지요.
2007.08.06 00:01:00 (*.0.0.1)
아무래도 미니는 한계 안에서 움직인다는 생각입니다. 오버행이 짧은 경우 한번 날아가기 시작하면 도저히 회복 불가능한 경우가 많거든요. 때문에 미니는 하중 이동에 의한 오버스티어나 턱인을 아예 적극적으로 핸들링안에 끌어 들여 세팅했다고 보구요,
2007.08.06 00:01:00 (*.0.0.1)
프라이드는 세단이었음에도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면 오버행이 긴 것이 되려 리어 하중이 더 빨리 빠지는 역할을 하게 하는 지도 모르죠. 제동력을 앞쪽으로 움직이는 것도 그렇고, 스프링 레이트 조절을 통해 적극적으로 핸들링을 바꿀 필요가 있겠네요.
2007.08.06 00:01:00 (*.0.0.1)
전 1.6휘발유 오토차량 시승할때 뒤가 흘렀었습니다.... 동네영업소시승차였고 혼자 타는 중이었는데...정말 놀라게 만들더군요... 시승차만의 문제는 아니었군요....
2007.08.06 00:01:00 (*.0.0.1)
보통 매니아 수준을 뛰어넘는 마스터님의 운전도 감안하셔야 할듯 싶습니다. 저는 동승석에서 덜덜 떨었습니다.(3번째 사진의 굵은 다리가 접니다. ^^;) '이 차 내차 맞오?'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2007.08.06 00:10:00 (*.0.0.1)
아마도 개발시 리어디스크로 셋팅이 된것이 아니고 드럼으로 셋팅을 한상태에서 디스크브레이크를 고급이라고 넣어서 발생되는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2007.08.06 00:10:00 (*.0.0.1)
제차는 뉴세피아인데.. 거의 대부분이 리어 드럼 방식이라서 그런 현상이 없는데 고급옵션으로 올라오면서 디스크가 사용되었는데 아마도 드럼브레이크의 브레이크오일압력이 디스크로 오니 더 꽉~ 잡게 되는요인이 된것은 아닐까 유추(?)해 봤습니다.
2007.08.06 00:13:00 (*.0.0.1)
그럴수도 있겠군요. 리어 디스크 브레이크의 로터가 프론트보다 작긴 작습니다만은.. EBD가 있는데도 이런현상이 일어난다면 제대로 작동하는건지 의구심이 드네요.
2007.08.06 00:23:00 (*.0.0.1)
프라이드는 브레이크 세팅보다는 무게배분과 서스펜션 세팅에 더 문제가 많은 것 같았습니다. 고속에서 브레이킹 없이 차선만 빨리 변경해도 후륜이 불안해지며, 코너에서 턱인도 상당히 심하더군요.
2007.08.06 00:00:00 (*.0.0.1)
브레이킹할때 뒤 날아가면 등에 땀이 좌르르르르르~ 흐르죠. 카운터 연습 지대로 된다는 -ㅅ- 룸미러로 보는 후방은 흰색 연기가 모락모락~
2007.08.06 00:00:00 (*.0.0.1)
디젤엔진이 무거워서 프론트하중이 높은갑네요. 리어타이어를 한싸이즈 키움 해결될 듯.. 기아차들이 전부터 뒤가 잘돌아갑니다. 핸들링이 좋아서 그런가.. ㅋㅋ
2007.08.06 00:08:00 (*.0.0.1)
ABS 사양이라니까 갑자기 생각이 났는데요. ABS는 순수 ABS 기능을 멈추게하는 퓨즈와 EBD 기능을 멈추게 하는 퓨즈가 따로 있는데 EBD 기능만 멈추게 만들면 제동력 배분율이 고정된다고 들었습니다.
2007.08.06 00:08:00 (*.0.0.1)
제 예상은 EBD 기능만 멈추게 했는데 제동력이 50:50 으로 고정된다면 위와같은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클릭에서도 그랬습니다.) Non-ABS 사양도 그렇다면 할말 없구요. (저도 모르니까 잘 아는 분께 한번더 물어볼 생각입니다.) 제동문제라서...
2007.08.06 00:18:00 (*.0.0.1)
리어디스크 캘리퍼가 작다고 무시하시면 큰일납니다...^^ 뉴세피아의 경우 전륜은 원피스톤에 리어는 투피스톤이라고하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