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 하세요.
Q - MD에도 CTBA 논란이 있다. 적용 여부의 장단점을 말해 달라.
A - MD의 리어 서스펜션에 CTBA를 적용한 것은 효율의 측면이 가장 크다. CTBA를 적용하면 미국의 후방 추돌 기준을 만족하기가 보다 유리하다. 과거에는 멀티 링크 대비 승차감이 떨어졌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극복해 냈다.
ctba 가 후방 추돌 기준에 보다 유리한 이유를 알고 계신분 계신가요?
글을 보다보니 궁금해서 올립니다.
저도 이런저런 아반떼MD 관련 기사를 읽다가 들었던 의문 이었는데... 질문을 올려 주셨네요.^^
물론 후방 추돌시 유리한 점도 있겠지만, 제가 봤을 땐 원가절감에 따른 일종의 변명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이론적으로 후방추돌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수는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원가절감과 공간의 활용도 극대화라고 봅니다.
토션빔은 워낙 간단한 구조덕분에 트렁크를 깊이 팔 수 있고, 뒷좌석을 뒤쪽으로 당기는 것에도 유리합니다.
멀티링크를 절대 맹신하지 않는 이유는 80년대 설계된 골프2로도 튜닝된 체로 230km/h이상을 안정적으로 달렸었고, 4세대 골프 순정서스펜션 역시 토션빔 액슬이지만 극강의 안정성을 보여줍니다.
문제는 안정된 세팅을 찾는데 노력을 얼마나 기울였느냐? 그리고 새로운 방식으로 서스펜션을 교체하고 얼마나 빨리 필요한 노하우를 쌓느냐인데, MD에선 이 두가지 모두 실패였다고 봅니다.
MD 미디어 발표 때 한 기자분이 해당 질문을 했었고, 그에 대한 현대 측의 대답이 딱 저 대답이었던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토션빔이 후방추돌시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물 역할을 한다는 이야기를 쉐비 크루즈 신차 발 표 관련 기사에서 읽은 거 같습니다. 상식적으로도 이해는 되구요. H 혹은 U자 형태의 트레일링암이 나온 것 같은 모양새이니까 # 프레임 만큼은 아니더라도 도움이 되겠죠. 독립현가는 상대적으로 가느다란 링크들만으로 만들어지니 상대적으로 도움이 덜 되는 편일 것이구요
후방 오프셋 충돌시에도 토션빔은 에너지를 차체의 다른 쪽으로 전달시켜 전반적으로 강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듯 싶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