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아는 분 중에 무려 파워블로거가 있어 운좋게 쏘나타 하이브리드를 두 블럭 정도 타고 돌아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참고로, 흔한(?) 프리우스도 못타본 촌놈의 하이브리드 첫 탑승이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내 차 팔고 하나 사고 싶다...는. T_T
1. 처음에 시동이 걸린건지 안걸린건지 몰라서 몇 번을 스타트 버튼을 길게도 눌렀다가 짧게 눌러보기도 했다가 내리막 후진으로 차 빼면서 이게 시동이 걸린건지 안걸린건지 몰라서 ... 액셀 밟는데 차가 뒤로 흘러서 바로 당황하고 ... ㅜㅜ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는 계기판에 [READY] 초록램프가 들어옵니다. ;; 대충 어느 정도로 조용한지 아시겠죠?
솔직히 계기판에 많은 정보가 담겨있긴 한데, 사용자에게 딜리버리가 잘 안되는 것이 정리가 좀 안되어있고 덜 직관적이라 그렇다 생각됩니다. 엔지니어가 그린 그래프는 일반인이 이해하기 힘든데 말이죠.
2. "시동을 걸면" 기본이 EV모드입니다. 배터리 레벨이 약 1/3~1/4 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면 정지상태에서 가솔린 엔진의 시동을 걸지 않습니다. 차를 발진시키면 처음에는 모터의 힘으로만 가다가(EV모드) 일정 속도 위로 올라가거나 가속페달을 깊게 밟아서 어느 수준 이상의 가속력을 요구하면 그제서야 시동이 알게모르게 걸리며 가솔린엔진의 힘을 발휘하기 시작합니다. EV모드의 토크빨이 강력한 것은 아니라서(모터 토크는 205Nm 플랫인데 기어비가 다르게 적용되어있나봅니다. 자세한 메커니즘은 몰라서 패스), 다른 차들을 따라붙으며 EV모드로만 가속하기는 조금 어렵습니다. 원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앞 차랑 안전거리가 유지됩니다. EV모드에서 아무런 소리 없이 아주 일정한 가속력으로 스르륵 앞으로 나아가는 느낌, 참 묘합니다.
이 모든 상황을 멋진(... 솔직히 좀 촌스러운) 디스플레이의 그래픽으로 보여줍니다.
3. 풀가속을 하면 모터+엔진이 모두 동작하여 최대 191마력의 출력을 만들어낸다고 합니다. 신형 누우엔진(베타의 후속이죠?)이 1,999씨씨 150마력 18.3킬로그램미터 스펙이고 모터가 30kW(약 41마력)이랍니다. 물론 그립이 조금 떨어지는 타이어라서 그렇기도 하겠습니다만 휠스핀도 냅니다. -_- 차가 무거워 그런지(1570킬로) 191마력 느낌은 아니고 대략 160-70마력 정도 되는 기분?
4. 풀가속 후 연비는 9.0km/l를 보여줍니다. 시내 주행에서 11-15 사이를 왔다갔다한다고 하는군요.
5. 하이브리드를 제대로 써먹으려면 긴 거리를 최대한 모터를 활용해 서서히 가속해서 타력주행하다가 한 방 제동하는 방법을 써야겠습니다. -_-
6. 배터리의 보증기간은 6년12만킬로입니다.
7. 공인연비는 21킬로/리터입니다.
8. 파노라마 선루프에 잡소리가 좀 있습니다. 한 쪽 바퀴만 범프에 올라갈때만 그런걸로 봐서 ... 강성문제같... 시승차만의 문제일 것입니다. -_-;
9. 이제 올려야지 하고는 코리안큐피드닷컴의 [회원목록보기] 버튼을 누를뻔했습니다. -_-
10. MDPS는 많이 좋아졌는데 센터에서 깔짝깔짝거려보면 반응속도가 느려 느껴지는 이질감이 있습니다. 흐흐. 뭐 대수롭지 않은 문제라 패스.

음..동일한 출퇴근 거리를 동급의 하이브리드와 디젤승용 두대로 나란히 운행하면 과연 차량가격대비 누적연비는 어떤게 더 좋을까요?
아직은 디젤승용이 더 낫겠죠? (아니면 LPI?)

9. 번이 가장 와닿네요..^^
2.0 터보엔진에 하이브리드를 같이 올렸으면 좋았겠다 싶네요. 그러면 모터 출력까지 합쳐서 300마력이 넘었을 텐데 말이죠.

제주도에서 포르테 하이브리드(인기가 없는지 출고한지 좀 된 찬데 주행거리는 신차급) 렌트카를 2박3일간 타보고 엄청 실망했었는데 쏘나타는 많이 좋아진듯 하군요.

정차시 rpm올리기(일명 후까시)를 시도했더니 뭔일 있냐는듯 무반응;;
타이어가 후져서인가 급가속에서도 약간의 휠스핀음, 급제동에서도.. 덕분에 잘나가고 잘서는 느낌.
HUD비스무리한걸로 시야 덜가리는 좀 높은곳에 속도 및 하이브리드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면 멋지고 어울릴듯.
무지 조용한데 연~하게 들려오는 지하철 출발음.
준중형급 하이브리드랑은 좀 많이 다르데요~

그래도 현대 파워트레인 기술 정말 대단한 것 같네요. 저런 풀 하이브리드는 워낙 도요타가 특허를 많이 두어서, 현대가 따라가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들은 것이 불과 몇 년 전인 것 같은데 말이죠.
뭔가 개성있는 방식들도 만들어내길 바랍니다. 사브가 시도하는 것처럼, 모터를 후륜에 연결하여 4륜 구동 방식을 이끌어낸다든지 말이죠.
엔진과 모터가 클러치로 연결되있는걸로 알고있구요!
그 사이에 현대기아독자개발의 하이브리드 전용6단자동변속기가 들어가 있지요...
뭐 하이브리드전용 6단자동변속기 간단하게 보면 토크컨버터가 없어졌다고 하는거 같더군요,

어우..시승기로만 봐서는 느낌이 무지 니글니글할거 같아요.
가까운 미래에는 저런 하이브리드 느낌에 익숙해져야 하겠죠..?
얼마남지 않은 기간동안 가솔린엔진의 터프한 느낌을 후회없이 즐겨야겠다는 생각.ㅋ

저도 짧은 거리 타봤는데 EV모드로 가도 평균연비 10~11이상 안나와서 조금 타보다 말았습니다. 실제 오너 시승기나 장거리 시승기를 보면 시내 15, 고속도로 22~25는 나온다는데 말이죠. 아반떼 하이브리드를 타는 입장에서 휘발유 환산연비 20~25가 나오니 굳이 구매할 필요성은 못느낍니다.
동력계통은 클러치가 두 개로 엔진과 모터를 동시에 또는 각각 연결/해제를 통해 엔진만, 모터만 또는 엔진+모터 구동의 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도요타의 특허를 피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토크컨버터가 없어진 대신 초기 출발은 거의 모터로만 하게 되는 것 같더군요. 2014년인가에는 프리우스같은 하이브리드 전용모델이 나온다는데 연비가 어떨런지 모르겠습니다.
차라리 MD 기반으로 연비를 더 향상시킨 모델이 나왔으면 하는데 말이죠. 연비 따지면서 3천만원짜리 중형차 산다는 것이 이율배반적인 의사결정으로 보입니다만...

시승기 잘 보았습니다. 저는 가솔린 하이브리드 차량은 아니지만 나름 연비를 최적화 시키기 위해 탄생한 디젤 승용차를 몰고 있어 김순익님이 게시하신 글을 유의깊게 읽어보게 되네요. ^^;
EPS는 그 어떠한 최신 기술이 적용된다 하더라도 유압식의 자연스러운 feedback을 기대하기는 어려워보입니다. 제 차도 제가 몰아본 e90 시리즈 중 최악의 핸들링 (EPS 적용됨, 적어도 노면 정보 전달이라는 측면에서) 감성을 느끼는 중이라서요.
제 차도 auto start-stop 기능이 적용되어 있는데 가솔린 하이브리드의 정지상태에서 가속페달을 리니어하게 전개할 때 작동되는 100% EV 모드가 좀 많이 부럽습니다. 제 차에 장착된 ISG보다는 훨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는 것 같아서요. 물론 제차는 일반 디젤 승용차보다는 시동 걸리는 속도가 훨 빠르지만... 아주 요란하게 부들부들 떨면서 시동이 걸리는지라 ㅎㅎ... 운전하는 입장에서는 좀 부담스럽습니다. 특히나 수동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인지라... 변속기에 대부분의 경우 손을 얹고 있어야 하는데 온 몸으로 시동이 걸리는 진동이 느껴져서 좀... 그 현상이 흥미롭죠 ㅠ.ㅠ...
대신 연비는 시내 주행 시 17km/L 정도 나오는 것 같고 고속도로에서 100km/h 정속 주행을 하면 25~27km/L 정도 나오는 것 같습니다. 아직 길들이기 전인지라 정확한 연비는 아니라고 생각이 됩니다만... 신뢰할만한 데이터들이 나오는 시점인 주행거리 3,000km 정도에 중간 운행 시승기 같은 걸 작성해 공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 쏘나타 하이브리드는 못 타보고 K5 하이브리드를 몰아봤습니다만,
기본적인 파워트레인 구성이 같다는 것을 전제로 이야기 해보면
기술적으로도 흥미롭고, 관점에 따라서는 아주 설득력 있는 하이브리드라 생각합니다.
관계자 설명으로는 엔진-클러치-모터-변속기 순서로 연결된 구조라고 하네요.
그래서 의도적으로 모터 활용도를 끌어올린 느낌이 듭니다.
실제로 적절한 수준으로 충전되어 있을 때에는
정지상태에서 출발한 후 모터 전용 모드가 꽤 오래 지속되는 것을 볼 수 있었구요.
다만 모니터 상의 그래프로 보면 배터리가 방전은 빠른데 충전은 좀 더딘 느낌입니다.
잠깐 몰아봤으니 특정한 주행상황에서만 그랬을 수도 있겠네요.
아무튼 재미있는 경험이었고, 더 발전된 솔루션이 나오길 기대해 봅니다.

엔진-클러치-모터-변속기, 그렇군요. 느낌으로는 모터가 205Nm를 안내준다(못내준다)는 느낌이었는데 저 순서라면 역시 다시 타봐야겠습니다. (이러다 계약하고 오는거 아닌지 몰라요.) 회생제동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변속기 톡컨이 없는 것이 맞았겠네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회생제동의 변환 효율이 반대(방전)보다는 한계가 있고 또 낮을 것이 틀림없으므로 충전이 더딘 것이 당연하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섀시가 같다면 역시 소나타보다는 K5가 더 이쁩니다. ^_^ (소나타도 GDI모델보단 하이브리드 디자인이 더 좋습니다만)
* 모터의 뛰어난 저속 토크 일품.
* 화려한 실내 디스플레이 최고.
* 신호대기중에 스르르 꺼지는 시동은 왠지 모르게 불안ㅡㅡ
* 엔진은 아이들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속되는 느낌은 기모찌
저는 소녀감성과 롯데리아가 뜨는군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