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http://www.testdrive.or.kr/?document_srl=1105456
제가 기존에 쓴 글은 위에 있습니다.
오늘 마침 식사를 같이 하면서 사고를 겪은 두분들과 대화를 했는데요, 정작 이분들 모두 사고에 대한 기억은 없습니다. 목적지 건물이 보였던 것 까지만 기억나고, 그 다음에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억이 안 난다고 하네요.
뒷자석에 앉은 막내아들이 유일한 목격자이겠지만, 일단 차가 트럭에 치이는 시점에서 1/10 초도 안 되는 상황에 일어난 일을 물어보는 것은 무리가 있을 것 같고, 아직 초등학생 밖에 안 된 학생에게 아직도 충격이 선명한 사고에 대해 물어보는 것은 아닌 것 같아서 물어보지 않았습니다. (아마 그래서 정작 가장 많이 다친 두분들도 정확한 상황을 모르는 것 같았습니다. )
그래서 저는 제가 이전 글에 적은대로, 제가 이해하는 사고의 전말을 설명하였고, 아마 그것이 이 사고를 설명하는 가장 설득력있는 가설일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사고는 토요일에 있었고, 두분 모두 다음 화요일에 퇴원하였습니다. 운전을 하였던 큰 아들이 더 많은 상처를 입었습니다.
사고의 휴유증:
일단 두분 모두 겉으로 보기에는 멀쩡합니다. 하지만
1. 큰 아들:
오른쪽 얼굴뼈가 부러졌다는 것에 대해서는 이전에 적은 바 있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 비록 겉으로는 얼굴에서 이상을 발견할 수 없지만,
오른쪽 귀가 먹었습니다. 소리를 거의 들을 수 없고, 아주 큰 소리에 대해서만 약간의 느낌이 온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오른쪽 뇌 쪽의 신경세포들이 죽으면서, 청력 관련 세포들이 죽은 것 같습니다.
아직은 젋으니까, 이 세포들이 다시 살아날 가능성도 있다고는 합니다만, 아직은 모릅니다.
이어폰을 듣고 음악을 들을 때면, 과거에는 몰랐던 경험, 즉 소리가 한 쪽에서만 들리는 것이 얼마나 이상하게 느껴지는지 모른다고 합니다.
2. 어머니
이분은 연세가 있으셔서 걱정이 되었습니다만, 그래도 사고 직후에도 큰 아들에 비해서는 상태가 괜찮아 보여서 다행이다 싶었습니다. 하지만
지난번에 의자에서 일어나다 균형을 잘 잡지 못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숫자 곱셈에서 3개 이상의 연속 곱셈이 안 된다고 합니다. 즉 5*6 = 30 이런 계산은 잘 되지만, 5*6*7=210 이런 것은 안 된다는 것입니다. 이런 사고가 이런 뭔가 당연하게 되어야 할 것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면 섬뜩하기도 합니다.
결론:
제가 확인할 수는 없지만, 이 Prius는 측면 에어백이 전개되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안 그랬다면 두 사람 모두 지금보다 훨씬 더 심각한 상황에 있었을 것 같고요 (그런데 VIN number알면 이 사고에 대한 경찰 기록 조회가 가능하겠죠? 이것을 하실 수 있는 분들도 여기 계신 것으로 압니다.)
큰 아들이 안전벨트를 매고 있었다면 이 상황이 지금보단 훨씬 나았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최소한 두분들이 그렇게 얼굴과 머리를 충돌하는 일(이것도 가정이긴 합니다만)은 없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 사고 직후 제가 차를 샀습니다. 2005년도 Volvo S60R (자동변속기) 고요. 이 차의 원 소유주였던 시카고의 소방관 아저씨와 이런 저런 대화를 하다가, 이 아저씨가 고속도로에선 안전벨트를 하다가 시내에선 안전벨트를 안 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자기가 배가 나와서 안전벨트를 하면 불편하다고 시내에선 안 한다고 하는데요, 제가 이 사고 이야기를 들려주며 안전벨트를 꼭 하라고 강조를 많이 하였습니다. 그런데도 안전벨트를 잘 안 하려고 하는 것을 보고 참 안타까웠습니다. (나중에 제가 테스트 드라이브 할 때도, 옆 좌석 보며 Seat Belt !! 를 외쳤지요.)
목적지가 눈 앞에 보이는 것이 모자라 목적지 바로 앞에 차가 있어도, 안전벨트는 꼭 하고 계시길 바랍니다. 목적지 도달해 엔진을 끄고 나서야 안전벨트를 풀르시기 바랍니다.

저도 차에 누구라도 태우면 안전벨트를 매라고 이야기하는데 뒷좌석은 안전벨트 매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이 계시더군요.

저도 기본적으로 엔진 끄고 안전벨트를 풉니다. 차에 타면 가장 먼저 하는 것이 시동 걸기 전 안전벨트 메는 것이구요.
우리 딸도 카시트에 앉으면 벨트 매어달라고 하네요. :)

저도 이제는 안전벨트 안매면 먼가 불안하더군요.
저희 애도 이제는 차타켠 카시트에 먼저 앉아서 안전벨트 매달라고 하고
아빠도 문 잠그고 안전벨트 매라고 성화입니다.

운전자라면 시동 켜기 전에 안전벨트 채우고, 시동 끄고 나서 안전벨트 푸는 습관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물론 알고 있는 것을 실천하는 게 더 중요하겠죠.
안전에 도움되는 글 감사합니다.
친구도 다 왔다고 안전벨트 풀었을 때 사고 당해서 입원했었습니다;;; 조심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