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안녕 하세요?
테드 회원 정제영 입니다. 지금 껏 도움만 받고 도움을 드리지 못해서 미안한
마음뿐이었는데 제가 아는 내용이 혹시 도움이 될까해서 글을 올려 봅니다.
Q&A란에 S1 EVO 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것 같아서 제가 사용해본 경험으로
간략하게 전해 봅니다.
제차는 엘리사 고급유 맵핑 상태였고 어드반 RG 8.5J 31offset 17" 에
타이어는 225/45/17 이였습니다.
먼저 PS2는 이름 그대로 이름 값 합니다.
제가 사용해본 타이어 중 가장 맘에 드는 타이어 였습니다.
그러나 가장 큰 단점은 운전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RS2 정도의(정확히는 기억이..)
트레드 웨어로 상당히 빨리 닳는 점이 아쉽습니다.(하여튼 200 미만으로 기억함)
저의 주행조건은 심야에 외곽도로,신 공항,올림픽 대로,가끔 와인딩 조건 입니다.
타이어 교체 중 말로만 듣던 S1 EVO 를 비교적 저렴하게(처음 출시 가격은 PS2 와
몇만원 차이정도였음)
한대분 장만 후 장착 합니다.
길들이기 끝난 후 달려 봅니다.
승차감 아주좋습니다.
소음 없습니다.
와인딩 비교적 괜찬습니다.
최고속시 비교적 괜찮습니다.
마모도 아주 우수 합니다.(주행 후 눈에 띄게 닳아지는 PS2 보면 억장이...-_-)
그러나 PS2에 비해 트레드웨어가 많아서 그런지 몰라도 약한 롤이 느껴 집니다.
(순전히 주관적임)
사이드 월이 상당히 보강 되어 두툼한 림 프로텍터가 있는면이 일단 시각적으로
드라이버를 안심 시킵니다.돌도 타고 넘을 수 있을 것 같은 타이어.한 자세 합니다.ㅋㅋ
종합적으로 국산 타이어 중 가장 우수한 타이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만
유저에 따라서는 로드 홀딩력 및 롤에 있어서 조금은 망설임이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
그래도 지금은 가격이 많이 착해져서 가격대비 아주 우수한 타이어인 것 같습니다.
(회사는 착하지 않은 것 같음)
이상 주저리 주저리 적어 보았습니다.
2007.11.14 19:06:18 (*.236.98.147)

ps2와 비교해서 소음과 빗길에서 접지력은 어떤가요 ? 전 지금 ps2를 쓰고있고 , 다음에 s1evo를 쓰려고 사뒀는데.. ps2 쓸때 습기가 찬 지하주차장에서 브레이크가 안먹은 경험이 있어서.. ㅠㅜ
2007.11.14 20:23:55 (*.251.94.223)

소음은 S1 EVO 가 적습니다. 젖은 노면 에서는 PS2 도 그리 우수한 편은 아니구요.
S1 EVO 도 젖은 노면 에서는 우수한 편은 아닙니다.지하 주차장에서는 아마도 에폭시 때문에
브레이킹이 안먹지 않았나 싶습니다.^^ WET 조건에서는 아마도 굿이어의 F1 시리즈가 최강
으로 알고 있습니다.
S1 EVO 도 젖은 노면 에서는 우수한 편은 아닙니다.지하 주차장에서는 아마도 에폭시 때문에
브레이킹이 안먹지 않았나 싶습니다.^^ WET 조건에서는 아마도 굿이어의 F1 시리즈가 최강
으로 알고 있습니다.
2007.11.14 20:40:46 (*.202.99.57)

같은 사이즈의 타이어를 사용하고있습니다. 소음도 적고 솔직히 이정도 사이즈의 타이어에서 비교적 안락한 느낌의 승차감을 느낄수 있어서 놀랐습니다. 롤이 느껴지긴하나 일상영역과 약간의 와인딩 양쪽모두 가격대비로는 만족시킬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소음도는 매우 적다고 말씀드릴수있고 접지력에 비해서 닳는 느낌도 적습니다. 퓨어스포츠성 보다는 실용영역에서 스포츠성을 강조한 컨셉이라고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어지간한 조건에서도 비명을 지르지 않습니다. 그게 더 위험할지도요......
어떤 면에선 좋은 선택이라고 할수 있을듯합니다.
어지간한 조건에서도 비명을 지르지 않습니다. 그게 더 위험할지도요......
어떤 면에선 좋은 선택이라고 할수 있을듯합니다.
2007.11.14 22:02:17 (*.117.75.253)

첨 사진을 보고 스포츠 콘텍2가 문득 떠올랐네요. 트레드 패턴이 비슷해 보이는...
요즘 콘텍3 17"(225-45/245-40)과 18"(225-40/255-35)를 써보고 있는데 뭐라고 할말이 없는게 참 희한합니다. 그저 콘텍2보다 조용해졌고 부드러워졌으며 허용한계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비명 듣기가 한층 어려워졌습니다.
분명한건 하나... 피제로 로쏘와는 비교가 안됩니다.
요즘 콘텍3 17"(225-45/245-40)과 18"(225-40/255-35)를 써보고 있는데 뭐라고 할말이 없는게 참 희한합니다. 그저 콘텍2보다 조용해졌고 부드러워졌으며 허용한계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비명 듣기가 한층 어려워졌습니다.
분명한건 하나... 피제로 로쏘와는 비교가 안됩니다.
2007.11.14 22:27:35 (*.229.98.192)

트레드 패턴사진 올려주셨네요. 고맙습니다. 제영님~ ^^
패턴으로 보니, 소음성과 배수성이 좋을거 같네요. 대체로 불규칙한 거리와 길이의 싸이프(횡으로 가는 홈)로 되어있는 타이어는 소음이 적은데.. 싸이프 간격의 차이로 주행시 올라오는 노면소음의 싸이클을 상쇄시켜 소음을 줄여 줍니다.
작은 싸이프(가는홈) 가 많은 타이어는 승차감 위주 설계이고, 일정한 V 형 패턴은 소음성이 좋지 않죠. 컴파운드의 소프트성을 표기하는 트레드웨어 수치는 메이커마다 기준이 달라, 신뢰감을 갖기 어렵고.. 제 경우는 대체로 트레드 패턴을 보고 타이어 성능과 특성을 파악하는 편입니다. 숄더블럭의 크기나 센터 종그립 블럭이 연이어진 형태로 볼때, 드라이 그립이 매우 좋을거 같으네요.
패턴으로 보니, 소음성과 배수성이 좋을거 같네요. 대체로 불규칙한 거리와 길이의 싸이프(횡으로 가는 홈)로 되어있는 타이어는 소음이 적은데.. 싸이프 간격의 차이로 주행시 올라오는 노면소음의 싸이클을 상쇄시켜 소음을 줄여 줍니다.
작은 싸이프(가는홈) 가 많은 타이어는 승차감 위주 설계이고, 일정한 V 형 패턴은 소음성이 좋지 않죠. 컴파운드의 소프트성을 표기하는 트레드웨어 수치는 메이커마다 기준이 달라, 신뢰감을 갖기 어렵고.. 제 경우는 대체로 트레드 패턴을 보고 타이어 성능과 특성을 파악하는 편입니다. 숄더블럭의 크기나 센터 종그립 블럭이 연이어진 형태로 볼때, 드라이 그립이 매우 좋을거 같으네요.
2007.11.14 22:44:56 (*.22.116.168)
트레드의 가장자리가 닳아버리면 타이어 수명도 끝나기 때문에 PS2가 지우개가 된듯합니다.
s1 evo의 트레드 깊이도 있어 수명연장(?)에 한 몫하는듯합니다.
에보의 궁금증을 풀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s1 evo의 트레드 깊이도 있어 수명연장(?)에 한 몫하는듯합니다.
에보의 궁금증을 풀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타이어 바깥방향으로 돌려찍은 사진은 혹시 없으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