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8
http://hituning.cania.com/news_view.asp?code=4059&category=news&strboardid=koreanews&page=1&search=&searchstr=에너지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쓰는 기술은 인류가 오래동안 고민해 온 숙제가 아닐까 합니다. 대량의 에너지를 손쉽게 저장할 수 있다면 인류의 큰 숙제가 풀리는 것 아니겠습니까.
이 매체의 URL을 보시면, F1에 적용된 기술이 상용화를 목표로 달려가고 있다고 하는데요, 원리를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플라이휠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법이 아닌가 싶군요. 꺼내 쓰는 방법은 역시 잘은 모르되 필요한 양 만큼 꺼내기 위해 toroidal변속기를 쓰는가봅니다.
자동차 쪽에서 생각나는 별도 에너지 저장 기술은 배터리, 압축공기, 유체압축 정도로군요. 음 저장은 어렵다..
이 매체의 URL을 보시면, F1에 적용된 기술이 상용화를 목표로 달려가고 있다고 하는데요, 원리를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플라이휠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법이 아닌가 싶군요. 꺼내 쓰는 방법은 역시 잘은 모르되 필요한 양 만큼 꺼내기 위해 toroidal변속기를 쓰는가봅니다.
자동차 쪽에서 생각나는 별도 에너지 저장 기술은 배터리, 압축공기, 유체압축 정도로군요. 음 저장은 어렵다..
2007.11.15 12:46:54 (*.193.141.161)

버려지는 에너지를 얼마나 축적해서 도움이 될지가 관심이로군요. 특성상 고출력 일수록 이득이 많아질거 같습니다. 미션과 트렉션의 조화라...
2007.11.15 16:02:01 (*.94.41.89)

오웃 좋은 아이디어 같습니다.
브레이킹때 버릴 힘을 회전력으로 보관하여 재사용 한다는 단순하지만 기술력이 좋아야 하겠군요(세상은 넓고 머리 좋은 사람은 많다라는 ...)
브레이킹때 버릴 힘을 회전력으로 보관하여 재사용 한다는 단순하지만 기술력이 좋아야 하겠군요(세상은 넓고 머리 좋은 사람은 많다라는 ...)
2007.11.15 17:04:22 (*.84.62.72)
브레이크를 작동시킬때 엔진과 저 장치의 플라이 휠을 연결시켜서 엔진의 회전으로 플라이 휠을 돌리면 브레이킹 시 버려지는 엔진의 운동 에너지가 플라이 휠의 운동 에너지로 전환되면서 동시에 엔진브레이킹의 효과까지 얻는게 아닐까 조심스럽게 추측해봅니다.
초전도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그 실제 응용방법으로 야간에 남아도는 전력으로 커다란 관성디스크같은걸 돌린 후 낮에 다시 그 회전으로부터 전력을 뽑아 쓰는 방법을 연구하더군요. 디스크가 돌아갈 때 마찰로 인해 에너지 손실이 있는데 초전도 현상으로 마찰을 거의 0 에 가깝게 하면 에너지를 다시 고스란히 사용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였죠. 물론 초전도체를 이용할 경우 전력손실도 없앨 수 있고 말이죠. 초전도 현상같은걸 제외하면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비슷할 것 같습니다.
초전도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그 실제 응용방법으로 야간에 남아도는 전력으로 커다란 관성디스크같은걸 돌린 후 낮에 다시 그 회전으로부터 전력을 뽑아 쓰는 방법을 연구하더군요. 디스크가 돌아갈 때 마찰로 인해 에너지 손실이 있는데 초전도 현상으로 마찰을 거의 0 에 가깝게 하면 에너지를 다시 고스란히 사용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였죠. 물론 초전도체를 이용할 경우 전력손실도 없앨 수 있고 말이죠. 초전도 현상같은걸 제외하면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비슷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