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실린더를 깍아 나가는 과정입니다. 실측을 보여드리기 위해 버니어 캘리퍼스를 대고 찍었습니다. 아직 두 번의 과정이 더 남은 상태입니다.
사용돼는 피스톤과 라이너 입니다.
마지막 가공직전입니다. 아래쪽에 보이는 곳이 라이너가 안착돼는 지지대입니다.
라이너가 모두 들어간 상태입니다. 여기서 위부분을 치고 내부호닝을 하면 완성입니다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흔히들 블럭가공을 맡기면 어떻게 해주세요 하고는
그냥 보링집의 재량에 맡기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실상 엔진쎄팅과
그러한 하드코어 임가공과는 거리가 좀 있긴 하지만
어디까지지나 그건 정비의 영역에서일뿐이고 실제 실전상의 튜닝을 하면
피스톤 클리어런스와 실린더 블럭과 라이너간의 클리어런스
기타등등 고려사항은 튜너의 몫으로 남는데도 불구하고 실상 그러한
수치적 계산이 어렵다 보니 보링집의 경험에 의존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하지만 저 같은 경우는 그러한 실린더 작업의 경우도
하루종일 옆에 붙어서서 제가 원하는 수치대로 작업이 진행돼는가
살펴보며 다소 까다롭게 굽니다. 그러기 위해서 수고 하시는 분들에게
박카스와 담배 정도 사드리는 인사치레도 잊지는 않죠
실상 결과가 잘못돼도 그건 저의 잘못일뿐 그분들은 그저 원하는
스팩데로 깍아준 죄 밖에는 없는겁니다. 그럼 실패의 원인도
확실하게 나오겠죠 늘 우리나라 튜닝샵쪽에서 문제가 생기면
책임소재는 " 남 "이 되는 현실도 어쩌면 이러한 부분과 일맥상통
하지 않나 조심스레 추측해봅니다.
오늘은 실린더보어 가공과 라이너 압입의 과정까지만 진행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커넥팅로드의 변경 가공도 이루어졌지요
내일이면 블럭작업은 마무리 될거고 커넥팅로드 밸런스 및 가공을
마무리 지은후 모레엔 조립이 들어갈것 같습니다.
고압축 직분사 엔진의 커스텀 제작을 최종 목표로 하고는
있지만 일단 그 프로젝트는 잠시 보류를 했습니다.
일단 원래 계획 되어진 그래서 구매를 한 투스카니의 4미리
고압축 버젼의 완성을 하는게 급선무일듯 합니다.
사진 몇가지를 올려봅니다. 1차 작업때 몇분들이 사진을 보고서
추측글들 올려주셨는데 정확히 답변을 드리자면 라이너는
습식이 아닌 건식 라이너를 씁니다. 그리고 라이너와 실린더 보어간
클리어런스 그리고 피스톤 클리어런스 등의 디테일한 수치는
공개를 안하겠습니다. 이는 따로 자료 정리를 해서 전수할때
알려 드릴 생각입니다. 오늘 유선상으로만 설명을 드렸는데
잘 이해를 못하시더군요 암튼 너무 많은 하드코어적 변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선이나 그림으로는 설명이 안돼는 부분들이
꽤나 많습니다. 좋은 결과를 만들어서 새로운 na 쎄팅의 지평을
열어서 미천 하나마 새로운 도전을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돼기를 희망합니다.
추후 사진 계속 업로드 하겠습니다.
2007.12.12 22:21:49 (*.54.170.36)
멋지십니다.
상규님 궁금한게 하나 있습니다.
라이너에 바로 호닝을 하고 써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양산차 블럭 안쪽에는 무엇인가 코팅이 되어 있지 않을까 해서요.
엔진을 주기적으로 바꿔줘야 하는 2행정 스쿠터를 몇대 갖고 있는데
일명 '보링'을 할까 아니면 실린더를 새것으로 얹을까를 고민하던중에
혹시나 정보를 얻을수 있을까 해서 질문 드렸습니다.
사실 일전에 한번 다른놈을시험삼아 밀어 보기는 했는데
가장 문제가 되었던 부분이 새로 깎은 실린더가 이전과 다르게 약간 비뚤어 졌다는 사실이었고요(이부분은 소형엔진만을 다루는 '오토바이'보링집이기 때문에 그렇지 않을까 싶습니다)
과도한 주행을 하지 않았는데도 스크래치가 좀 생기는 것을 관찰하였습니다.
그래서 만약 안쪽에 코팅이 되어 있다면 보링보다도 출혈이 크더라도 신품으로 교체하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답변하시기 곤란하시다면 안해주셔도 됩니다. ^^;
상규님 궁금한게 하나 있습니다.
라이너에 바로 호닝을 하고 써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양산차 블럭 안쪽에는 무엇인가 코팅이 되어 있지 않을까 해서요.
엔진을 주기적으로 바꿔줘야 하는 2행정 스쿠터를 몇대 갖고 있는데
일명 '보링'을 할까 아니면 실린더를 새것으로 얹을까를 고민하던중에
혹시나 정보를 얻을수 있을까 해서 질문 드렸습니다.
사실 일전에 한번 다른놈을시험삼아 밀어 보기는 했는데
가장 문제가 되었던 부분이 새로 깎은 실린더가 이전과 다르게 약간 비뚤어 졌다는 사실이었고요(이부분은 소형엔진만을 다루는 '오토바이'보링집이기 때문에 그렇지 않을까 싶습니다)
과도한 주행을 하지 않았는데도 스크래치가 좀 생기는 것을 관찰하였습니다.
그래서 만약 안쪽에 코팅이 되어 있다면 보링보다도 출혈이 크더라도 신품으로 교체하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답변하시기 곤란하시다면 안해주셔도 됩니다. ^^;
2007.12.12 22:38:56 (*.39.111.208)

안녕하세요 영웅님 물론 가능합니다.
이전에 mmc 코팅이 되어 있는 알미늄 블럭에도 라이너를
압입해서 성공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죠 실질적으로
단품적 조사를 먼저 선행한 후에 작업을 해야만 실패를 줄일 수 있죠
가능합니다 ^^;;
이전에 mmc 코팅이 되어 있는 알미늄 블럭에도 라이너를
압입해서 성공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죠 실질적으로
단품적 조사를 먼저 선행한 후에 작업을 해야만 실패를 줄일 수 있죠
가능합니다 ^^;;
2007.12.12 23:26:39 (*.49.199.213)

프로정신이 뭔지를 보여주시는 군요
다른 직종에 종사하지만 많은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
부천 NFS 에서 4mm 오버 블럭을 적용한 데모카로 우승했던 기억이 납니다
대단한 스펙이네요 - 멋진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 ! ㄴ^0^
다른 직종에 종사하지만 많은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
부천 NFS 에서 4mm 오버 블럭을 적용한 데모카로 우승했던 기억이 납니다
대단한 스펙이네요 - 멋진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 ! ㄴ^0^
2007.12.13 00:03:30 (*.183.42.159)

감탄이 나오는 한편 앞으로 이런 도전적 프로젝트들을 보지 못할까봐 아쉽기도 합니다.
블럭은 따로 준비를 하셨던 것인지, 아니면 구입한 투스카니의 것을 이용하시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블럭은 따로 준비를 하셨던 것인지, 아니면 구입한 투스카니의 것을 이용하시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007.12.13 00:39:13 (*.187.244.215)

상당히 궁금해지는 부분이 있는데요 (잘 몰라서 무식한 질문이 될 듯 합니다만 ^^;), 라이너를 인입할 경우 실린더의 수직 움직임의 특성에 맞도록 완벽하게(?) 수직으로 오차 없이 작업이 가능한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실린더 블럭을 제작할 때는 잘은 모르겠지만 그 수직 오차를 거의 허용하지 않을 듯 한데, 추가로 삽입하는 관의 수직도는 그 보다는 오차가 있지 않을까도 생각되거든요.
2007.12.13 01:27:26 (*.183.236.4)

대략 상상만 했었던 작업인데,
사진으로 보니.. 보통 작업이 아닌 듯 싶습니다.
사진은 큰 흐름만 있을 것이고, 그 중간중간 작업의 완성도..진행방법..등에서,
결과물이 엄청난 차이를 보이거나.. 성공/실패가 결정될 듯 싶네요. 존경합니다..^^
사진으로 보니.. 보통 작업이 아닌 듯 싶습니다.
사진은 큰 흐름만 있을 것이고, 그 중간중간 작업의 완성도..진행방법..등에서,
결과물이 엄청난 차이를 보이거나.. 성공/실패가 결정될 듯 싶네요. 존경합니다..^^
2007.12.13 04:54:15 (*.140.138.83)

블럭도 왠지 '묵혀놓으신' 블럭인거 같은 느낌인데요..ㅎㅎ
저는 다음차 사면 블럭을 하나 주문해 묵혀놓을까도 생각중입니다
제 차도 고작 1mm오버인 터보차 주제에, 슬리브가 박혀있는데..
그 전의 일반 호닝집에 맡긴거와 블록 전문가에 맡긴차이는 크더군요..
(고RPM 사용시의 오일 소모량부터 그 차이를 바로 알수 있었습니다)
역시 정밀도.. 특히 상,하부의 오차편차등이 중요한듯 하더군요..
좋은 결과 기대하겠습니다! ^^
저는 다음차 사면 블럭을 하나 주문해 묵혀놓을까도 생각중입니다
제 차도 고작 1mm오버인 터보차 주제에, 슬리브가 박혀있는데..
그 전의 일반 호닝집에 맡긴거와 블록 전문가에 맡긴차이는 크더군요..
(고RPM 사용시의 오일 소모량부터 그 차이를 바로 알수 있었습니다)
역시 정밀도.. 특히 상,하부의 오차편차등이 중요한듯 하더군요..
좋은 결과 기대하겠습니다! ^^
2007.12.13 08:23:40 (*.214.108.133)

기초적인 질문 하나만 드려봅니다.....보통 양산차 업체에서는 0.25mm단위로 4가지 오버사이즈를 준비하게 되어있는데...그럼 4mm오버 사이즈는 어떤 차량의 피스톤을 사용하시는건지요....그리고 블럭을 바로 4mm오버로 날리지않고 굳이 라이닝 압입방식을 사용하시는건지 마지막으로 4mm오버로인한 헤드가스킷의 턱(?)은 어떻게 해결하시는건지요....써놓고보니 궁금한게 많군요....ㅡ,.ㅡ;
2007.12.13 09:22:36 (*.73.99.33)
제차 엔직 작업 하실때가 생각 나네요..... 지문이 다 닳아 버렸다는 ㅎㅎㅎ....
그나저나 梁 식구들 망년회 안해요?
그나저나 梁 식구들 망년회 안해요?
2007.12.13 10:26:59 (*.229.113.21)

오늘 런칭하는 i30 2.0도 베타가 실려나오네요.
극렬 매니아들의 취향과 저변을 감안한 듯 합니다. ㅋ
청호님~ 해 넘기기전에 함뵈요. 시즌 끝나고 저도 잘 안움직이게 되네요.^^
극렬 매니아들의 취향과 저변을 감안한 듯 합니다. ㅋ
청호님~ 해 넘기기전에 함뵈요. 시즌 끝나고 저도 잘 안움직이게 되네요.^^
2007.12.13 12:57:48 (*.206.244.144)

최섭님/ 수직도는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그것도 다 측정해서 사용하는거죠
이전에 작업했던 1호차의 경우 작년 9월에 작업해서 아직까지 트러블 없구요
1년이 지난 시점에서 버젼업 해서 작업중입니다.
김선준님/ 만약 기존의 82보어에서 86으로 보어를 키우면 실린더가 박피가 됩니다
이는 내구성 저하로 이어집니다. 실린더 보어 내벽밖에는 워터재킷이
존재하는데 이쪽이 함몰이 됩니다. 단방용 엔진이라면 모를까
제가 추구하는건 순정과 같은 내구성입니다. 언제나 어디서나 달리고
실을때 마음껏 달릴 수 있는 그런 차를 만들고 싶어서 na 에 몰입한거죠
다시 말씀 드리지만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거죠
피스톤은 아직 밝힐 단계가 아닌듯 합니다. 물론 커스텀으로 제작을
하면 되겠지만 그에 따른 단가상승은 추후 오너들이 메인터런스 할때
곤혹스럽기 때문이죠 이 역시 제가 추구하는 튜닝마인드와 위배됩니다.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고 저렴한 가격 이런걸 추구하죠 때가 되면
밝힐 생각입니다. 그리고 가스켓은 만들어 씁니다. ㅎㅎ
류청호님/ 그렇자나도 송년회 하자고들 하는데 제가 다른데 신경쓰다 보니
펜션 예약을 못하고 있습니다. 장소 잡아서 얼굴보고 식사만 하는걸로
해볼까 합니다. 이번 토요일에 김영덕군이 외박 나오니 그때 하면 어떨까
하네요
이전에 작업했던 1호차의 경우 작년 9월에 작업해서 아직까지 트러블 없구요
1년이 지난 시점에서 버젼업 해서 작업중입니다.
김선준님/ 만약 기존의 82보어에서 86으로 보어를 키우면 실린더가 박피가 됩니다
이는 내구성 저하로 이어집니다. 실린더 보어 내벽밖에는 워터재킷이
존재하는데 이쪽이 함몰이 됩니다. 단방용 엔진이라면 모를까
제가 추구하는건 순정과 같은 내구성입니다. 언제나 어디서나 달리고
실을때 마음껏 달릴 수 있는 그런 차를 만들고 싶어서 na 에 몰입한거죠
다시 말씀 드리지만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거죠
피스톤은 아직 밝힐 단계가 아닌듯 합니다. 물론 커스텀으로 제작을
하면 되겠지만 그에 따른 단가상승은 추후 오너들이 메인터런스 할때
곤혹스럽기 때문이죠 이 역시 제가 추구하는 튜닝마인드와 위배됩니다.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고 저렴한 가격 이런걸 추구하죠 때가 되면
밝힐 생각입니다. 그리고 가스켓은 만들어 씁니다. ㅎㅎ
류청호님/ 그렇자나도 송년회 하자고들 하는데 제가 다른데 신경쓰다 보니
펜션 예약을 못하고 있습니다. 장소 잡아서 얼굴보고 식사만 하는걸로
해볼까 합니다. 이번 토요일에 김영덕군이 외박 나오니 그때 하면 어떨까
하네요
2007.12.13 13:10:22 (*.206.244.144)

김광삼님/ 맞습니다. 최초의 4미리오버 블럭은 제가 96년식 티뷰론에
쓰던걸 2002년도에 내려서 가공 후 일교차가 심한 청평에 4년6개월을
묵힌후 4미리 가공을 해서 사용했습니다.실상 2.2 베타를 꿈꾼
그리고 기획한게 2002년도였지요
이번 블럭 역시 몇년을 묵힌겁니다. 그렇게 미리 준비를 하고 묵힌
블럭의 가치는 모비스에서 바로 나온 신품과 가격적으로든 가치적으든
비교 대상이 되지를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주마등처럼 스쳐가는 지난 세월이 또 가슴이 아프네요
늘 가슴에 새기는 한 마디가 있습니다. "튜닝은 인내다 " 라는
말이죠...., 오래 숙성된 와인처럼 열정의 향기가 퍼져 나오기를
소망해봅니다.
쓰던걸 2002년도에 내려서 가공 후 일교차가 심한 청평에 4년6개월을
묵힌후 4미리 가공을 해서 사용했습니다.실상 2.2 베타를 꿈꾼
그리고 기획한게 2002년도였지요
이번 블럭 역시 몇년을 묵힌겁니다. 그렇게 미리 준비를 하고 묵힌
블럭의 가치는 모비스에서 바로 나온 신품과 가격적으로든 가치적으든
비교 대상이 되지를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주마등처럼 스쳐가는 지난 세월이 또 가슴이 아프네요
늘 가슴에 새기는 한 마디가 있습니다. "튜닝은 인내다 " 라는
말이죠...., 오래 숙성된 와인처럼 열정의 향기가 퍼져 나오기를
소망해봅니다.
2007.12.13 13:37:11 (*.80.101.10)

우와 정말 오래전부터 준비를 하고 계신것이였군요. 근데 상규님 궁금해서 그런데요. 일교차가 심한곳에서 묵히면 나중에 열 변형될 여지가 적어지는건가요 ? 그리고 86미리 하니까 세타가 문득 떠오르는데 2002년도부터 사용하셨다면 그건 아니겠군요.. ^.^/
2007.12.13 15:45:16 (*.19.38.112)

저두 이번주 토욜날 외박? 나가니까 그때 멤버들 뵈면 욜로리 굳이겠는데여..
아! 그렇담 식구들한테는 일욜날 귀국한다고 그럴까..ㅎㅎ
아! 그렇담 식구들한테는 일욜날 귀국한다고 그럴까..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