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잡글성 & 질문성 글이지만 후기삼아 보드에 써 봅니다.
(그동안에도 감시의 눈빛이 두려워 리플 외에는 잘 쓰진 않았지만요...)
2005년에 수인이(첫째)가 생기고 이듬해에 일반적 시점이 아닌 엄마의 운동기구라는 차원에서 유모차를 골랐습니다.
그때의 기준은
-공기주입형 타이어 일것
-승차감이 좋을것 (그당시 하던 일이 승차감 관련된거라서, 일종의 강박관념..)
-롤케이지 있는 클릭의 트렁크에 들어갈것
-가격은 좀 착했으면~

그래서 사진처럼 세바퀴 달린 것 중에 젤 저렴한 걸로 잘 썼습니다.
(아니, 잘 썼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번에 사진을 찾아보니 많이 못썼더군요. )
문제점이... 가장 장점이어야 하는 삼륜이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니까, 뒷축은 서스펜션이 있어서 충격흡수는 잘 되지만, 좌우 롤이 발생하는데,
앞바퀴는 회전하려는 방향의 반대편으로 틀어지는 형상이기에 (캐스터가 뒤로 가니까 당연하지요),
무게중심은 코너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지요.
이게 자체 동력인 자동차에서는 좋은 건데, 상부에서 미는 방향으로 힘을 주면서 방향을 트는 유모차는 힘이 작용하는 방향과 바퀴의 지지점이 어긋나게 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해서 매우 불안하게 됩니다.
실제로 그런 이유로 수인이는 유모차에서의 전복사고를 몇번 경험했고, 이런 이유로 애엄마가 상당히 삼륜을 싫어합니다.
물론, 물건을 오래쓰는 습관때문에 바로 바꾸지는 못했고, 둘째가 나온 지금도 앞바퀴 위쪽에 앉을만한 공간이 있어서 수인이가 걸터앉고, 둘째는 정상위치에 눕혀서 2인용으로 쓰고 있습니다.
** 정리해보면, 승차감이 좋은 것을 고르니, 조종안정성이 떨어지더라는 정도...
요즘와서 생긴 고민은 40개월이나 된 수인이가 저하고만 외출하면 무조건 안겨있으려고만 해서, 자전거를 사줄까 그냥 둘째도 있으니 휴대용 유모차를 살까하는 것이죠.
그래서 잠시 검색해보니 10kg에 육박하는 3륜에 비해 엄청나게 가벼운 3.9kg짜리가 있네요.


(안정적인 품질의 일본제 머신, 접었을때 좀 커보이기도...)
하지만, 환자(?)스런 시선을 가진 아빠의 입장에서... 저번에 승차감을 추구하다 실패봤으니,
이번엔 "핸들링"이 좋은 머신(?)을 찾다가 이런 물건을 보게 됩니다.

딴건 모르겠지만, 버킷시트에 서스펜션암이 붙은듯한 포뮬러스런 이미지에 꽂혀서 고민중입니다.
거기에 휴대성이 더 좋더군요.


(언냐사진 도용이 문제되면 수정하겠습니다. -_-;) 사진은 마티즈 트렁크인데 절반이 남는 접힌 크기...
(실차 짤방이 하나는 들어갔군요.)
일부 후기를 보면 회전바퀴의 품질이 좀 떨어진다거나, 의자 각도가 좀 어중간하여 항상 사장님 자세만 나오다거나 하는 단점은 있더군요.
(이게바로 사장님 자세)
*** 다시 써보자면, 중국산임에도 화려한 컨셉에 끌리는 스포티한 머신인가, 안정적인 일산 머신인가?
이런거 고민하다가 한번 정리해 봤습니다.
(그동안에도 감시의 눈빛이 두려워 리플 외에는 잘 쓰진 않았지만요...)
2005년에 수인이(첫째)가 생기고 이듬해에 일반적 시점이 아닌 엄마의 운동기구라는 차원에서 유모차를 골랐습니다.
그때의 기준은
-공기주입형 타이어 일것
-승차감이 좋을것 (그당시 하던 일이 승차감 관련된거라서, 일종의 강박관념..)
-롤케이지 있는 클릭의 트렁크에 들어갈것
-가격은 좀 착했으면~
그래서 사진처럼 세바퀴 달린 것 중에 젤 저렴한 걸로 잘 썼습니다.
(아니, 잘 썼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번에 사진을 찾아보니 많이 못썼더군요. )
문제점이... 가장 장점이어야 하는 삼륜이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니까, 뒷축은 서스펜션이 있어서 충격흡수는 잘 되지만, 좌우 롤이 발생하는데,
앞바퀴는 회전하려는 방향의 반대편으로 틀어지는 형상이기에 (캐스터가 뒤로 가니까 당연하지요),
무게중심은 코너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지요.
이게 자체 동력인 자동차에서는 좋은 건데, 상부에서 미는 방향으로 힘을 주면서 방향을 트는 유모차는 힘이 작용하는 방향과 바퀴의 지지점이 어긋나게 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해서 매우 불안하게 됩니다.
실제로 그런 이유로 수인이는 유모차에서의 전복사고를 몇번 경험했고, 이런 이유로 애엄마가 상당히 삼륜을 싫어합니다.
물론, 물건을 오래쓰는 습관때문에 바로 바꾸지는 못했고, 둘째가 나온 지금도 앞바퀴 위쪽에 앉을만한 공간이 있어서 수인이가 걸터앉고, 둘째는 정상위치에 눕혀서 2인용으로 쓰고 있습니다.
** 정리해보면, 승차감이 좋은 것을 고르니, 조종안정성이 떨어지더라는 정도...
요즘와서 생긴 고민은 40개월이나 된 수인이가 저하고만 외출하면 무조건 안겨있으려고만 해서, 자전거를 사줄까 그냥 둘째도 있으니 휴대용 유모차를 살까하는 것이죠.
그래서 잠시 검색해보니 10kg에 육박하는 3륜에 비해 엄청나게 가벼운 3.9kg짜리가 있네요.


(안정적인 품질의 일본제 머신, 접었을때 좀 커보이기도...)
하지만, 환자(?)스런 시선을 가진 아빠의 입장에서... 저번에 승차감을 추구하다 실패봤으니,
이번엔 "핸들링"이 좋은 머신(?)을 찾다가 이런 물건을 보게 됩니다.
딴건 모르겠지만, 버킷시트에 서스펜션암이 붙은듯한 포뮬러스런 이미지에 꽂혀서 고민중입니다.
거기에 휴대성이 더 좋더군요.

(언냐사진 도용이 문제되면 수정하겠습니다. -_-;) 사진은 마티즈 트렁크인데 절반이 남는 접힌 크기...
(실차 짤방이 하나는 들어갔군요.)
일부 후기를 보면 회전바퀴의 품질이 좀 떨어진다거나, 의자 각도가 좀 어중간하여 항상 사장님 자세만 나오다거나 하는 단점은 있더군요.

*** 다시 써보자면, 중국산임에도 화려한 컨셉에 끌리는 스포티한 머신인가, 안정적인 일산 머신인가?
이런거 고민하다가 한번 정리해 봤습니다.
2009.02.14 08:43:18 (*.34.101.144)
글을 잘쓰시는 호선형께서 맞춤법 틀리는걸 보면 안타깝습니다;;; '예기'가 아닌 '얘기'죠;;; (맞춤법에 강박관념이 있으니 양해바랍니다-_-)
그것보다 언제 수인이 동생이 생긴겁니까-_-;;;
클릭 그것도 롤케이지가 있는 차량에 넣기에는 저 일산유모차는 너무 커보이네요. 그런데 중국산 포뮬러유모차(...)는 손잡이가 앞으로 밀기에 좀 불편해보이는데 괜찮을까요?
그것보다 언제 수인이 동생이 생긴겁니까-_-;;;
클릭 그것도 롤케이지가 있는 차량에 넣기에는 저 일산유모차는 너무 커보이네요. 그런데 중국산 포뮬러유모차(...)는 손잡이가 앞으로 밀기에 좀 불편해보이는데 괜찮을까요?
2009.02.14 09:01:28 (*.178.195.192)

서스펜션이 ..자전거를 타보면 좋은것 같기도 하지만 , 핸들링및 동력을 깍아먹는 점이 있어서 양날의 검이더라구요 ^^ (그래서 제자전거는 모두 rigid타입입니다. ^^ 카본이라 어느정도 역활을 하지만)
마지막 사진을 보면 , 이제 봄이지만, 애기들이 춥지 않을가요?
마지막 사진을 보면 , 이제 봄이지만, 애기들이 춥지 않을가요?
2009.02.14 09:03:56 (*.140.144.129)

저희 애들 어릴때 키우던 기억으론...
제 경우 유모차는 거의 안쓰고, 거의 백캐리어로 업고만 다녔던듯 합니다.
막상 유모차를 쓰면.. 일단 노면이 좋은 경우가 별로 없다는것도 문제라서..
서스펜션이 있다고 해도 그리 썩 승차감이 좋진 않겠더군요..
(게다가 그런 보도블럭이나 뭐나 덕분에 오프로드 뛰는 기분이랄까요)
그래서.. 아빠들이 좀 힘이 있으면,
백캐리어로 업고다니는게 누가뭐래도 젤 편해서..
아예 유모차 대용으로 업고다녔습니다.
(와이프가 혼자 애 데리고 다닐 일은 없었기에..)
제 경우 유모차는 거의 안쓰고, 거의 백캐리어로 업고만 다녔던듯 합니다.
막상 유모차를 쓰면.. 일단 노면이 좋은 경우가 별로 없다는것도 문제라서..
서스펜션이 있다고 해도 그리 썩 승차감이 좋진 않겠더군요..
(게다가 그런 보도블럭이나 뭐나 덕분에 오프로드 뛰는 기분이랄까요)
그래서.. 아빠들이 좀 힘이 있으면,
백캐리어로 업고다니는게 누가뭐래도 젤 편해서..
아예 유모차 대용으로 업고다녔습니다.
(와이프가 혼자 애 데리고 다닐 일은 없었기에..)
2009.02.14 09:07:38 (*.125.84.13)

왠지 3륜하면 스토X가 떠오르는데 느낌은 좋지만 넘 크고 무엇보다 금액의 압박이.. 흐흐~
저희도 처음에는 짐도 같이 넣을 수 있는 even어쩌구의 큰 유모차를 사용하다가 접었을 때도 그 크기에 압박 때문에 매번 트렁크에 넣을 때마다 테트리스를 해야되고.. OTL 그래서 맥라렌과 흡사한 이름의 유모차를 사용하는데 스폰지같은 타이어와 다소 핸들링성이 떨어지는거 빼고는 만족합니다.
다음에 또 구입하게 된다면 좀 더 회전바퀴의 품질도 고려해보고 싶어지는군요. ^^
저희도 처음에는 짐도 같이 넣을 수 있는 even어쩌구의 큰 유모차를 사용하다가 접었을 때도 그 크기에 압박 때문에 매번 트렁크에 넣을 때마다 테트리스를 해야되고.. OTL 그래서 맥라렌과 흡사한 이름의 유모차를 사용하는데 스폰지같은 타이어와 다소 핸들링성이 떨어지는거 빼고는 만족합니다.
다음에 또 구입하게 된다면 좀 더 회전바퀴의 품질도 고려해보고 싶어지는군요. ^^
2009.02.14 09:15:15 (*.200.52.57)
음... 저는 큰애때 구입한 잉글레시나 제품을 둘째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격도 요즘은 살짝 내리고 해서 주변에 추천도하고 그렇습니다. 물론, 가격대비 성능은 아쉽지요.
당시 맥클라렌, 아프리카, 스토케, 빼그빼레고 등 고민했는데.... 제 눈에 꼽힌것은 잉글레시나였습니다.
지금도 다시 선택한다면 전 잉글레시나입니다.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나마 휴대가 용이한 지피모델에 12개월 이하용 옵션인 아기바구니.. 그리고 겨울 옵션과 여름옵션은 각각 필요하다면 사는것을 추천
당시 맥클라렌, 아프리카, 스토케, 빼그빼레고 등 고민했는데.... 제 눈에 꼽힌것은 잉글레시나였습니다.
지금도 다시 선택한다면 전 잉글레시나입니다.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나마 휴대가 용이한 지피모델에 12개월 이하용 옵션인 아기바구니.. 그리고 겨울 옵션과 여름옵션은 각각 필요하다면 사는것을 추천
2009.02.14 09:45:30 (*.124.129.70)
저도 잉글레시나 지피를 사용중인데.... 별로 사용안하고.. 오늘 다른분께 양도하게 되었네요.... 둘째는 계획이 없고 해서 말이죠..
조정성과 승차감(?) 모두 괜찮았던것 같습니다....
조정성과 승차감(?) 모두 괜찮았던것 같습니다....
2009.02.14 10:16:15 (*.234.60.251)
저는 잉글레시나 오뚜또 사용중인데, 승차감 조정성 모두 훌륭하나 사이즈와 무게가 좀 큰 편이죠.
그래서 가벼운 휴대용 하나 구입하러 갔었는데,
원래는 잉글레시나꺼 또 사려고 간거였는데,
아이가 중국산 토마스 유모차에 앉더니 안 일어나더군요. ^^
단돈 5만원(6만원이었던가?)주고 구입했는데, 아주 좋습니다. (세컨 용도로는 짱인듯)
위의 중국산 비슷한 것도 있었는데, 막상 아기 앉혀놓으면 좀 불안스러워 보이더군요.
잘 선택하세요~!!! *^^*
그래서 가벼운 휴대용 하나 구입하러 갔었는데,
원래는 잉글레시나꺼 또 사려고 간거였는데,
아이가 중국산 토마스 유모차에 앉더니 안 일어나더군요. ^^
단돈 5만원(6만원이었던가?)주고 구입했는데, 아주 좋습니다. (세컨 용도로는 짱인듯)
위의 중국산 비슷한 것도 있었는데, 막상 아기 앉혀놓으면 좀 불안스러워 보이더군요.
잘 선택하세요~!!! *^^*
2009.02.14 10:18:35 (*.137.131.25)

저는 애기가 없지만^^; 조카나 친구네를 보면 스토X는 대부분 뽀대에 반해 거금주고 샀다가 얼마 사용 못하는 공통된 단점이 있더군요. 잉글레시X는 오일을 주입안해주면 잡음이 좀 있지만 상당히 부드럽고 애기가 어느정도 커도 유용한 장점이 있었구요. 엄마들 사이에서는 잉그레시X가 대세라고 들었습니다.
2009.02.14 10:32:11 (*.35.211.134)

40개월이면 안길려고 하지 잘 안 탈려고 하지 않나요? 저희집 사내녀석이 41개월인데 30개월 지나고서는 잘 안타더군요. 아무튼 엄마들이 편해하는 맥클라렌 퀘스트를 추천해봅니다~
2009.02.14 10:46:17 (*.251.89.12)

사실 뭐든 편리한것을 사면 되는데...아기가 생긴후 쇼핑몰에 가서 유모차 끌고 다니는 사람을
보면 은근슬쩍 요모조모 살피고 비교하게 되더군요.
그냥 눈딱 감고 1000불을 투자해서 stokke를 살까 아니면 그보다 좀 싸지만 그래도 폼나는 bugaboo, 그냥 대중적인 peg perego를 놓고 몇주를 고민하다 어느 웹사이트의 깜짝 세일에
홀깃해서 peg perego를 사버렸지요. 사서쓰다보니 서서히 장단점들이 눈에 들어오는데
일단, 왜이리 부피가 크고 여자들이 혼자 다루기에는 좀 무겁게 만들었는지 차에 싣고 내릴때마다
번거롭게 느껴지네요. 이것보다 더 무거운 stokke 안사길 잘했다는 생각이 절로 듭니다.
그런데...이걸 싣고 다니다보니 부피가 커서 일주일에 한번 가는 마트에 다녀올때면 트렁크가 비좁아서
이젠 유모차에 맞추어 큰 차로 바꾸어야하겠다는 마음이 굴뚝같네요.
보면 은근슬쩍 요모조모 살피고 비교하게 되더군요.
그냥 눈딱 감고 1000불을 투자해서 stokke를 살까 아니면 그보다 좀 싸지만 그래도 폼나는 bugaboo, 그냥 대중적인 peg perego를 놓고 몇주를 고민하다 어느 웹사이트의 깜짝 세일에
홀깃해서 peg perego를 사버렸지요. 사서쓰다보니 서서히 장단점들이 눈에 들어오는데
일단, 왜이리 부피가 크고 여자들이 혼자 다루기에는 좀 무겁게 만들었는지 차에 싣고 내릴때마다
번거롭게 느껴지네요. 이것보다 더 무거운 stokke 안사길 잘했다는 생각이 절로 듭니다.
그런데...이걸 싣고 다니다보니 부피가 커서 일주일에 한번 가는 마트에 다녀올때면 트렁크가 비좁아서
이젠 유모차에 맞추어 큰 차로 바꾸어야하겠다는 마음이 굴뚝같네요.
2009.02.14 11:27:13 (*.155.218.79)

좋은글 잘 봤습니다. 유모차 동호회 같은 느낌였습니다..ㅋㅋ
저는 지금 서른넘은 미혼임에도 10여년 전부터 3륜 유모차를
가지고 싶어했습니다. 크고 무겁고 비싸고 그렇다고 하지만
조깅스트롤러에 아기태우고 한강 같은곳을 인라인 타며 달리고
싶어하는 로망을 가지고 있는데 현실성은 떨어진다고 하더군요...^^
저는 지금 서른넘은 미혼임에도 10여년 전부터 3륜 유모차를
가지고 싶어했습니다. 크고 무겁고 비싸고 그렇다고 하지만
조깅스트롤러에 아기태우고 한강 같은곳을 인라인 타며 달리고
싶어하는 로망을 가지고 있는데 현실성은 떨어진다고 하더군요...^^
2009.02.14 13:14:49 (*.35.231.205)

저희집은 몇개를 거쳐 스토케를 쓰고 있는데 핸들링은 최고지만 부피가 너무 크네요. 가격 대비 성능이 나쁘다는 생각이지만 애들 엄마가 워낙 선호해서...-_-;;;
2009.02.15 03:26:36 (*.49.183.98)

와우~ 예비아빠로서 너무나 좋은 정보들 감사합니다.
인터넷 어느곳에서도 찾을 수 없는 매니아분들의 관점이로군요. ㅎㅎ
금년 5월이 예정일인데.. 저도 요즘 머쉰쇼핑중에 있지요^^
대형쇼핑몰을 가면 상품이나 물건보다 수없이 지나가는 유모차들을 보곤 합니다.
인터넷 어느곳에서도 찾을 수 없는 매니아분들의 관점이로군요. ㅎㅎ
금년 5월이 예정일인데.. 저도 요즘 머쉰쇼핑중에 있지요^^
대형쇼핑몰을 가면 상품이나 물건보다 수없이 지나가는 유모차들을 보곤 합니다.
2009.02.15 22:40:54 (*.127.196.127)
진급하셨군요 축하드립니다 ^^
그리고 정말 애기들 차도 여러종류가 있었군요 좋은정보가 되었습니다 ^^
전 유모차에 대해 별생각없이 살았었었는데...
역시 무심한 아빠인것 같습니다 ㅠㅜ
그런데... 역시나 황호선님은... ^^b
그리고 정말 애기들 차도 여러종류가 있었군요 좋은정보가 되었습니다 ^^
전 유모차에 대해 별생각없이 살았었었는데...
역시 무심한 아빠인것 같습니다 ㅠㅜ
그런데... 역시나 황호선님은... ^^b
2009.02.16 05:53:52 (*.39.7.252)

저희는 스토케를 정말 잘쓰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사용하다가 이곳 영국으로 가져왔는데 항상 차를 타고 다니는 한국보다 어지간한곳은 걸어다니는 이곳 생활에 더 적합한것 같습니다. 무게는 10kg정도로 조금 무겁고 접었을때 생각보다 커서 어지간한 차량 트렁크에는 들어가지 않는 단점이 있지만 핸들링 정말 편하고 무엇보다 시트를 전방향, 후방향 양쪽으로 쉽게 탈장착 할 수 있고 시트 각도조절이 완전 눕힘부터 거의 90'까지 세울수 있어 아기의 컨디션에 맞추어 시트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 스토케의 최대장점인 시트 높이 조절기능으로 일반 유모차 수준의 높이부터 아기용 식탁의자 높이 정도 까지 높이가 조절되어 시트를 전방향으로 장착시 일반유모차처럼 낮은시야의 아기들과 달리 높은시야로 볼수 있습니다.. (유원지나 야외에 나가보면 차이가 납니다.. 아기가 펜스넘어 이것저것 볼수 있지만 일반유모차의 아기는 어른들 다리와 벽만 보고있다는..) 단점은 비싸다는 것과 풋머프나 양산등 액세서리를 꼭 추가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것저것 하다보면 200만원 육박한다는 점입니다... 또 다른 휴대용 유모차가 있는데 퀴니 제프모델입니다. 3륜인데 핸들링 생각보다 그냥그렇고 아기를 데리고 다니는 특성상 짐이 많은데 수납공간이 전혀없어 핸들에 매고 다니는데 중심이 틀어져 자꾸 뒤로 넘어가려는 불안함이 있더군요.. 반면 접었을때 아주 컴팩트 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행거리 얼마 안되고, 주차장(?)에 있는 경우입니다.^^
한 6개월 정도 전에,
비슷한 고민을 하여 새로운 유모차를 구매하게 되었습니다만,
실제로 당시 26개월이던 아들이 앉았을때..다리 처리/허벅지 지지 등을 고려해 보면,
초경량급 머신들의 편의성이 좀 떨어집니다.^^
꼭 시승해 보시고 구입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저같은 경우는.. M사의 경량급(5kg근처) 머신으로 영입을 했습니다만..
적절한 사이즈의 시트와 허벅지 지지 등 나름 만족 하는 편입니다.
다만 초 경량급의 반토막 접힘신공은 안되구요.^^
그림상으로 보면.. 중국제(?)제품도 시트 사이즈는 괜찮은 편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