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8
http://blog.daum.net/corvettez06/8435430
젠쿱 구입하실 분들이 많으신거 같아 혹시나 참고 되시길 바랍니다.
죄송하지만 링크로 대신하겠습니다.
글 쓰신 분 성의 때문에 퍼오진 못하겠더군요...^^;
2009.06.15 19:42:56 (*.119.9.122)

메이커에서.... 만들때 에프터 마켓에서의 강화된 출력..이나 마운트등을 고려해서 만들진 않죠.. 어쩔수 없는거 아니겠습니까. ^^
2009.06.15 19:43:30 (*.106.139.141)

단순히 철판을 잡고 흔들었을때 움직인다고 차체의 강성이 낮다고 하는건 좀 성급한 판단 같네요.
얇은 철판도 구조적으로 모이면 충분히 강한 강성이 나옵니다.
항공기 같은 경우도 단단한 립케이지가 있고 그 사이사이르 얇은 판들이 메꿔주는 형식이죠.
요즘은 본딩 만으로 조립을 하는데 그 구조의 강성은 결코 무시할게 못됩니다.
글쓴이가 걱정하는 바가 무엇인지는 알겟지만 그 이상 의미가 확대되지는 않았으면 좋겟네요.
얇은 철판도 구조적으로 모이면 충분히 강한 강성이 나옵니다.
항공기 같은 경우도 단단한 립케이지가 있고 그 사이사이르 얇은 판들이 메꿔주는 형식이죠.
요즘은 본딩 만으로 조립을 하는데 그 구조의 강성은 결코 무시할게 못됩니다.
글쓴이가 걱정하는 바가 무엇인지는 알겟지만 그 이상 의미가 확대되지는 않았으면 좋겟네요.
2009.06.15 19:56:52 (*.133.99.122)

국산차 서스펜션 마운트 부위 철판이 얇은 것은 정말 아쉬운 부분입니다. 과거 쏘나타2나 티뷰론에 일체형 끼우고 다녔다가 마운트 찢어진 경우 많았는데 제네시스 쿠페도 별로 달라진게 없어 보이네요.
차체의 굽힘이나 비틀림강성도 중요하지만 서스펜션 마운트 강성도 그에 걸맞게 높아졌으면 많은 발전이 있을텐데 말입니다.
차체의 굽힘이나 비틀림강성도 중요하지만 서스펜션 마운트 강성도 그에 걸맞게 높아졌으면 많은 발전이 있을텐데 말입니다.
2009.06.15 20:33:34 (*.46.122.32)

다른 비교대상이 있나요??? G37이나 350Z나 E46이나 뭐 등등의 타 차종들은 해당 부위의 철판이 어떤지 말입니다.. 비교대상도 없이 제네시스쿠페라는 한 차종만 가지고 논하는건 무리라고 여겨집니다..
2009.06.15 21:51:43 (*.67.88.3)

누군가가 차량의 강성이 약한 부분을 찾아서 알려주고 이를 제조사에서 받아들여 예를 들자면 강판 한겹 더 덧대서 강성을 조금이라도 더 좋게 해주면 소비자들로서는 좋은 것이라 생각합니다..
천하의 BMW가 찢어질줄 누가 알았습니까..........
천하의 BMW가 찢어질줄 누가 알았습니까..........
2009.06.15 22:32:42 (*.32.123.18)

글쓴이가 언급한 부분은 지면에서 수평을 이루는 구조물 들이군요. 글쓴이가 언급한 비틀림 강성은 수직으로 있는 철판 부분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글쓴이 스스로도 폴딩 시트를 언급했지만 폴딩이 되는 부분은 지면에 수직에 가깝죠.
2009.06.15 22:34:09 (*.219.240.126)
출고 후 강성 보강에 다른 부작용은 없나요?
양산차 메이커에서는 합리적인 수준에서 전체 밸런스를 중시할 것 같은데요, 이와 같은 전체적인 구조의 해석 없이 강성 보강을 하면 밸런스가 쉽게 무너지고, 그 주변의 다른 취약 지점에 더 많은 스트레스가 걸리지 않을까 궁금해 집니다.
2009.06.15 23:41:05 (*.166.55.103)
보다 전문적인 시선에서 경쟁차종 대비 비교자료나 시험결과 등이 있어야 약한지 또는 강한지를 신뢰성 있게 판단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다음 내용은 고수분들에게 Pass~~
2009.06.16 00:23:11 (*.130.111.50)

젠쿱으로 경주용 바디 만드시는 분들한테 많이 들었던 내용이네요 ^_^;;; 바디 강성이 투카보다 못하다고... 젠쿱은 바디 보강 제품이 짭짤할 것 같다고... 뭐 그냥 참고 정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 젠쿱의 경우는 현대에서도 튜닝파츠에 대한 고려를 많이 했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원메이크 레이스도 하고 있는거고... 현대에서도 직접 1+1 판매를 할 정도로 신경을 많이 쓰고 있지요. 기우일지 실제일지는 한 1년만 지나보면 알 수 있지 않을까요? ^^
2009.06.16 04:27:20 (*.227.254.91)

결과야 길바닥에서 조금더 굴려보면 알겠지만...솔직히...작성자의 글에서 별로 전문성이 느껴지지는 않네요...ㅡ,.ㅡ
2009.06.16 04:50:49 (*.120.254.238)

뭐 다른예이긴 하지만.. 도요타 수프라랑 닛산 350Z를 판금을 맡긴적이 있는데 철판이 강해서(두꺼워서?) 판금이 너무 어렵다고 작업자분이 하소연을 하더군요... 아쉬운점은 어쩔수가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내부식성만 따져도 당장 눈에 차이점이 보이니...
2009.06.16 09:25:30 (*.250.38.136)

철판이 얇아서 약해보인다 이건 아닌거 같습니다.
인장강도나 항복강도를 보면 요즘 나오는 철판들은 고장력강을 많이 사용을 합니다.
그리고 내용에 언급이 되어 있는 얇은 부재들은 그쪽으로는 힘이 걸리지 않습니다.
차체 비틀림 해석을 해보면 그쪽 부재들은 보강을 해줘도 별로 성능에 향상이 없습니다.
그리고 쇼바 마운트부는 순정 댐퍼에 최적화 되어서 나와서 그렇다고 생각이 되내요.
내구해석을 해보면 무한 수명은 아니지만 내구지수가 1.5이상은 다 나오게 설계가 됩니다.
일단 철판이 두껍다고 다 좋은건 아닙니다.
인장강도나 항복강도를 보면 요즘 나오는 철판들은 고장력강을 많이 사용을 합니다.
그리고 내용에 언급이 되어 있는 얇은 부재들은 그쪽으로는 힘이 걸리지 않습니다.
차체 비틀림 해석을 해보면 그쪽 부재들은 보강을 해줘도 별로 성능에 향상이 없습니다.
그리고 쇼바 마운트부는 순정 댐퍼에 최적화 되어서 나와서 그렇다고 생각이 되내요.
내구해석을 해보면 무한 수명은 아니지만 내구지수가 1.5이상은 다 나오게 설계가 됩니다.
일단 철판이 두껍다고 다 좋은건 아닙니다.
2009.06.16 22:12:45 (*.120.254.238)

흔히 모노코크 바디를 계란껍질에 비교를 합니다... 그럼 전 계란 껍질과 타조알의 껍질을 비교해 보고 싶네요...^^
타조알이 계란과 같은 껍질두께를 가지고 있다면 그 강성이 유지가 되겠습니까? 약간 억지스러운 비교를 해보았는데 같은 형상의 구조물에서는 모재의 두께가 두꺼울스록 비틀림 및 굽힘강성이 높아집니다... 대신 무게가 무거워지고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단점도 생깁니다. 예전에 티뷰론에서 투스카니로 넘어올때 차체의 비틀림 강성이 비약적으로 상승했었는데 바디를 자세히 비교해보니 사이드판넬과 같은 부분이 철판 2장에서 3장으로 늘어나는 방법을 썼더군요... 젠쿱은 휠베이스와 트레드가 투스카니에 비해 많이 늘어난터라 프리바디다이어그램(자유물체도)를 그려서 보면 상대적으로 비틀림 및 굽힘에 취약해질수 밖에 없는데 어떤 방법으로 대응을 했는지는 자세히 모르겠지만 현장에서 저런이야기가 나왔다함은 분명 뭔가 이유가 있었을 것입니다. 한가지 아쉬운점은 제 지인중 현기차의 1차밴더에서 금형설계를 하시는분이 계시는데 회사에서 회의를 했다하면 그 주제는 대부분이 원가절감에 관한 부분이라 합니다.. 철판을 프레스로 찍어서 판넬 및 멤버와 같은 구조물을 만들어서 자동차회사에서 납품하는 회사에서 원가절감을 할수있는 부분은 뻔한것 아니겠습니까? 내구지수 및 안전계수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좋은것인데 요즘은 거의 한계까지 짜내는 느낌이라... 그리고 구조물의 강성외에도 철판을 프레스가공 및 용접을 하게되면 그 내구성은 두께가 얇을수록 떨어지는 성향을 보입니다... 요즘 국산차들 조금만 관리안해주면 여기저기 관통부식이 발생하는것을 보면 많이 아쉬운건 사실입니다... 같은 년식의 수입차를 뜯어보면 그게 눈으로 확연히 비교가 되는지라... 저또한 업이있어 젠쿱을 추후 구입해야 하는 입장이지만 아쉬운점은 어쩔수가 없네요...
타조알이 계란과 같은 껍질두께를 가지고 있다면 그 강성이 유지가 되겠습니까? 약간 억지스러운 비교를 해보았는데 같은 형상의 구조물에서는 모재의 두께가 두꺼울스록 비틀림 및 굽힘강성이 높아집니다... 대신 무게가 무거워지고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단점도 생깁니다. 예전에 티뷰론에서 투스카니로 넘어올때 차체의 비틀림 강성이 비약적으로 상승했었는데 바디를 자세히 비교해보니 사이드판넬과 같은 부분이 철판 2장에서 3장으로 늘어나는 방법을 썼더군요... 젠쿱은 휠베이스와 트레드가 투스카니에 비해 많이 늘어난터라 프리바디다이어그램(자유물체도)를 그려서 보면 상대적으로 비틀림 및 굽힘에 취약해질수 밖에 없는데 어떤 방법으로 대응을 했는지는 자세히 모르겠지만 현장에서 저런이야기가 나왔다함은 분명 뭔가 이유가 있었을 것입니다. 한가지 아쉬운점은 제 지인중 현기차의 1차밴더에서 금형설계를 하시는분이 계시는데 회사에서 회의를 했다하면 그 주제는 대부분이 원가절감에 관한 부분이라 합니다.. 철판을 프레스로 찍어서 판넬 및 멤버와 같은 구조물을 만들어서 자동차회사에서 납품하는 회사에서 원가절감을 할수있는 부분은 뻔한것 아니겠습니까? 내구지수 및 안전계수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좋은것인데 요즘은 거의 한계까지 짜내는 느낌이라... 그리고 구조물의 강성외에도 철판을 프레스가공 및 용접을 하게되면 그 내구성은 두께가 얇을수록 떨어지는 성향을 보입니다... 요즘 국산차들 조금만 관리안해주면 여기저기 관통부식이 발생하는것을 보면 많이 아쉬운건 사실입니다... 같은 년식의 수입차를 뜯어보면 그게 눈으로 확연히 비교가 되는지라... 저또한 업이있어 젠쿱을 추후 구입해야 하는 입장이지만 아쉬운점은 어쩔수가 없네요...
2009.06.16 22:26:29 (*.120.254.238)

음... 그런데 저위 블로그를 다시 들어가서 꼼꼼히 보니... 뒷유리 아래 선반과 트렁크 바닥과 뒤쪽 휠하우스 안쪽 철판은 다른차와 비슷한 두께인것 같은데... 좀 억지스러운면이 있긴 합니다... 다만 뒤쪽 휠하우스 철판은 관통부식이 정말 심한곳이라 조금만 보완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그런데 전륜 쇼버마운트는 정말 철판 한장인가요? 요건 좀 이상한데...
티뷰론, 투스카니는 10kg 가 넘어가는 일체식 써스를 장착하고 노면에 신경을 쓰지않고 주행을 하면 쇼버마운트가 불룩 솟아오르는 현상이 자주 있었는데 젠쿱은 정말 시간이 지나봐야 알겠네요..
그런데 전륜 쇼버마운트는 정말 철판 한장인가요? 요건 좀 이상한데...
티뷰론, 투스카니는 10kg 가 넘어가는 일체식 써스를 장착하고 노면에 신경을 쓰지않고 주행을 하면 쇼버마운트가 불룩 솟아오르는 현상이 자주 있었는데 젠쿱은 정말 시간이 지나봐야 알겠네요..
2009.06.16 09:50:49 (*.247.80.53)
저도 잘 아는건 아니지만 차량강성이라는게 철판두께만으로 결정되는게 아니고 재질 구조에도 상관관계가 있는데 제가 보기에도 너무 성급한 판단이 아닐까 싶네요. 물론 사진으로 보니 걱정되긴 하지만 메이커도 바보는 아니니... 지켜봐야겠죠.
어쨋든 젠쿱도 철판두께문제에 휘말려 폴테와 라프처럼 너무 앞서 해석하여 폴테는 형편없는 차, 라프는 뛰어난 차로 바로 판단해버리는 오류가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레이싱하려고 제작하는 차량 찍어 올리면서 비난까지 했으니, 제작팀과 블로거님과의 마찰이 걱정되는군요. 그분들을 그래도 만드는 모습을 알리고 싶지도 않을것이고, 자부심을 가지고 만드는지라 싫어하실텐데,,,)
어쨋든 젠쿱도 철판두께문제에 휘말려 폴테와 라프처럼 너무 앞서 해석하여 폴테는 형편없는 차, 라프는 뛰어난 차로 바로 판단해버리는 오류가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레이싱하려고 제작하는 차량 찍어 올리면서 비난까지 했으니, 제작팀과 블로거님과의 마찰이 걱정되는군요. 그분들을 그래도 만드는 모습을 알리고 싶지도 않을것이고, 자부심을 가지고 만드는지라 싫어하실텐데,,,)
2009.06.16 18:52:30 (*.34.101.136)
아......이곳 회원분이신지 모르겠지만, 제가 개인적으로 별로 안좋아하는 분의 블로그네요..ㅋㅋ
다른 동호회에서 하도 이상한소리만 해대셔서.....좀 이상한 사람으로 낙인찍혀있거든요 거기선....;;;
다른 동호회에서 하도 이상한소리만 해대셔서.....좀 이상한 사람으로 낙인찍혀있거든요 거기선....;;;
2009.06.16 20:53:36 (*.49.111.72)

이재우님이 본문의 내용중에 쓰신 "글 쓰신 분 성의 때문에 퍼오진 못하겠더군요"의
조심스러움과는 상반되게 링크의 블로그에 들어가보니 제가 작성한 글이 내용이
수정된채로 옴겨져 있군요. 뭐 대단한 글을 쓴것은 아니지만 최초 글쓴이에게 알림이나
동의없이 글의 옴겨지고 본인이 작성하신것처럼 내용이 추가하여 출처도없이 올라가있는것을
보니 그닥 기분이 좋지는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