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개인적으로 대단한 기록인듯합니다
국산 레이싱카로 곧 1분 플랫을 찍을듯합니다



2009.06.16 09:05:36 (*.233.185.8)

인디고 레이싱은 투카든 젠쿱이든 척 보면 '인디고레이싱이구나' 싶게 일관성 있는 톤으로 도색 잘 했네요 ^^
노면이 젖은 상황에서 이 랩타입이면 조건이 조금만 개선되어도 1분대 진입은 어렵지 않을듯...
2009.06.16 10:21:46 (*.196.23.222)

더 줄여야 할겁니다.
예전에 태백에서 했던 슈퍼레이스[BAT 처음이자 마지막 태백경기]에서
T-A 종합우승한 김주민 선수는 1분 3초가 베스트랩지요...
이건 사담입니다만;;;
김의수선수랑 태백주행관련해서 얘길한적이 있는데
태백에서 1번 말고 브레이크 포인트는 없다네요 - _-;;;
예전에 태백에서 했던 슈퍼레이스[BAT 처음이자 마지막 태백경기]에서
T-A 종합우승한 김주민 선수는 1분 3초가 베스트랩지요...
이건 사담입니다만;;;
김의수선수랑 태백주행관련해서 얘길한적이 있는데
태백에서 1번 말고 브레이크 포인트는 없다네요 - _-;;;
2009.06.17 11:09:04 (*.223.110.200)

저두 당시에 출전했었는데 토요일 예선은 비가와서 1분10초대였고. 일요일 결승을 두번 치뤘는데. 코스레코드 기록은 5초대 였습니다. 김주민 선수는 1차 2차 모두 2위해서 1위에 올랐고요...
기록은 엑스타 김주민 NRT 터뷸런스 23'27.666 19 0'01.544 121.478 1'05.464 였습니다......
예전 기록은 http://www.smicc.co.kr/ 회원가입후 보실수 있습니다.
기록은 엑스타 김주민 NRT 터뷸런스 23'27.666 19 0'01.544 121.478 1'05.464 였습니다......
예전 기록은 http://www.smicc.co.kr/ 회원가입후 보실수 있습니다.
2009.06.17 14:43:37 (*.196.23.222)

아 맞다 서선수 그때 나갔지요 ㅎㅎㅎㅎ
토요일 비와서 재밌는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지요 ^^ 기억하실듯
그당시 참가선수중 일부는 오프로드 경기 나가시는 분들도 나와서
미끄러운 상황에서 차를 날려가며 연습하셨던 모습이 기억이 있네요 ㅋㅋ
경기내용 뒷얘기는 서선수도 알면서 그렇게 얘기할 필요없을듯 싶구요
김선수 기록은 시합중에 베스트가 있겠고 연습 베스트란것도 있지않을까요???
아무튼 T-A차량으로 3초대까지 뽑을 수 있다고 분명히 들었으니 얘기하는 겁니다.
기록상으론 5초대인건 알고 있답니다 ^^
토요일 비와서 재밌는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지요 ^^ 기억하실듯
그당시 참가선수중 일부는 오프로드 경기 나가시는 분들도 나와서
미끄러운 상황에서 차를 날려가며 연습하셨던 모습이 기억이 있네요 ㅋㅋ
경기내용 뒷얘기는 서선수도 알면서 그렇게 얘기할 필요없을듯 싶구요
김선수 기록은 시합중에 베스트가 있겠고 연습 베스트란것도 있지않을까요???
아무튼 T-A차량으로 3초대까지 뽑을 수 있다고 분명히 들었으니 얘기하는 겁니다.
기록상으론 5초대인건 알고 있답니다 ^^
2009.06.16 10:24:20 (*.54.199.100)

F1800 태백 렙타임이 53초정도로 알고있는데 오픈휠이 아닌차가 1분 1초면 정말 빠르네요..
포르쉐 911GT3 가 1분 5초 8초대로 알고있는데 잘못알고있는게 아닌가 싶기도한데..
포르쉐 911GT3 가 1분 5초 8초대로 알고있는데 잘못알고있는게 아닌가 싶기도한데..
2009.06.16 11:39:28 (*.196.23.222)

차량마다 랩 얘기가 있어 몇자 더 적습니다.
예전에 태백 관리하신 박소장님이 해주신 얘기를 많이들 들으셨을텐데요
태백에서 베스트스피드는 바이크가 1번전에 300 오버 내는 것과
베스트랩은 폴쉐가 50초 초반대를 기록했다고 하고요
GT들은 50초대에서 놀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예전에 태백 관리하신 박소장님이 해주신 얘기를 많이들 들으셨을텐데요
태백에서 베스트스피드는 바이크가 1번전에 300 오버 내는 것과
베스트랩은 폴쉐가 50초 초반대를 기록했다고 하고요
GT들은 50초대에서 놀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2009.06.16 12:10:38 (*.223.142.215)
리뉴얼된 태백레이싱 파크의 홈피에 나온 랩타임 기록입니다...![]() |
![]() |
![]() |
![]() |
![]() |
![]() |
![]() |
ST600 (국제) | 누마타 노리야스 | 0'57.557 | YAMAHA YZF-R6 | 2004 RR 3전 예선 | 2004-06-26 |
SB1000 | 최동관 | 0'57.744 | HONDA CBR1000RR | 2004 RR 7전 예선 | 2004-10-10 |
ST600 (국내) | 임현삼 | 0'59.474 | HONDA CBR600RR | 2004 RR 7전 결승 | 2004-10-10 |
BMW-R | 엄기복 | 1'03.418 | BMW R1200S | 2008 KBSF 3전 결승 | 2008-08-17 |
BMW-F | 엄기조 | 1'03.421 | BMW F800S | 2008 KBSF 1전 결승 | 2008-06-21 |
400 4T | 허태준 | 1'04.245 | HONDA CBR400RR | 2003 RR 6전 예선 | 2003-10-04 |
250 2T | 박민호 | 1'04.271 | HONDA NSR250 | 2003 RR 6전 결승 | 2003-10-05 |
250 4T | 정명용 | 1'11.949 | S&T GT250R | 2008 KBSF 4전 결승 | 2008-10-05 |
125 4T | 박동훈 | 1'16.925 | 효성 EXIV125 | 2005 RR 2전 결승 | 2005-06-05 |
튜닝델피노 | 김준태 | 1'26.056 | 대림 델피노100 | 2005 클릭페스티벌 3전 결승 | 2005-06-12 |
![]() |
![]() |
![]() |
![]() |
![]() |
![]() |
![]() |
포뮬러 르노 | 황진우 | 0'54.497 | 포뮬러 르노 | 아시아 포뮬러 르노 코리아 챌린지 | 2003-08-16 |
포뮬러 BMW | M. LEE | 0'55.112 | 포뮬러 BMW | AFOS FBMW 14전 결승 | 2004-10-17 |
PICCA-A | M. MARSH | 0'56.239 | 포르쉐 컵카 | AFOS PICCA 9전 예선 | 2004-10-16 |
슈퍼6000 | 김의수 | 0'56.681 | 스톡카 | 2009 CJ 슈퍼레이스 2전 예선 | 2009-06-13 |
슈퍼3800 | 김중군 | 1'01.769 | 현대 제네시스쿠페 | 2009 CJ 슈퍼레이스 제2전 예선 | 2009-06-13 |
슈퍼2000 | 이재우 | 1'04.261 | GM대우 라세티 | 2009 CJ 슈퍼레이스 제1전 예선 | 2009-05-09 |
Rotax A 카트 | 김재현 | 1'06.065 | Rotax 카트 | 2009 코리아 카트 챌린지 제1전 결승 | 2009-05-10 |
SGT | 윤승용 | 1'08.801 | 쌍용 뉴카이런 | 2009 RV 챔피언십 1전 결승 | 2009-04-26 |
슈퍼1600 | 조성민 | 1'09.357 | 현대 베르나 | 2009 CJ 슈퍼레이스 제1전 예선 | 2009-05-09 |
기아 쎄라토전 | 정고봉 | 1'13.523 | 기아 쎄라토 | 2009 Speed Festival 2전 예선 | 2009-05-17 |
현대 클릭전 | 김태현 | 1'14.021 | 현대 클릭 | 2008 Speed Festival 1전 예선 | 2008-04-08 |
2009.06.16 14:28:11 (*.223.142.215)
5월의 GTM 1차전 기록 입니다...
| ||||||||||
![]() | ||||||||||
| ||||||||||
| ||||||||||
| ||||||||||
|
2009.06.16 13:31:53 (*.223.142.215)
포뮬러 르노의 제원
"포뮬러 르노 2000 경주차는 현재 국내에서 열리고 있는 포뮬러 1800의 상위 클래스 머신으로
F3에 버금가는 고성능 경주차이며 대회 규모와 위상 역시 국제 규모로 운영될 예정이다. "

"포뮬러 르노 2000 경주차는 현재 국내에서 열리고 있는 포뮬러 1800의 상위 클래스 머신으로
F3에 버금가는 고성능 경주차이며 대회 규모와 위상 역시 국제 규모로 운영될 예정이다. "

◎ | Chassis | ||||||||||||
Tatuus와 르노 스포츠가 개발 및 디자인한 탄소 섬유 소재로 충격으로부터 드라이버의 머리 및 측면을 보호할 수 있는 FIA 공인 섀시. | |||||||||||||
◎ | Cockpit Interior | ||||||||||||
XAP Multi-Changeable Dashboard Display. | |||||||||||||
◎ | FIA-approved Safety Features | ||||||||||||
두루마리 형식의 안전 고리 및 측면의 드라이버 머리 보호 패딩. 더블 조인트 스티어링 컬럼. 탈착이 가능한 스티어링 휠. 드라이버의 무릎과 어깨를 보호하는 6점식 3인치 안전벨트. FT3 연료전지. 5kg 소화기. Note : 섀시와 엔진은 FIA 공인 제품이며 충돌과 제동력을 감안해 디자인함. | |||||||||||||
◎ | Engine | ||||||||||||
* 봉인된 르노 스포츠의 16밸브, 4실린더 F4R 엔진.
| |||||||||||||
◎ | Gearbox | ||||||||||||
6단 시퀀셜 기어 박스, 슬립 차동 제한 시스템, 하이드로닉 클러치. | |||||||||||||
◎ | Lubricants | ||||||||||||
| |||||||||||||
◎ | Speed Measurements (approx.) | ||||||||||||
0-100mph : 4.85초 200kmh-0 : 4.60초 | |||||||||||||
◎ | Suspension | ||||||||||||
| |||||||||||||
◎ | Brakes | ||||||||||||
통풍성이 뛰어난 Four-pot 캘리퍼와 Ferodo(type DS3000 브레이크 패드) | |||||||||||||
◎ | Wheels | ||||||||||||
* OZ, aluminium, central fixing
| |||||||||||||
◎ | 한국 타이어 밴투스 Tyres | ||||||||||||
| |||||||||||||
◎ | Car Dimensions | ||||||||||||
| |||||||||||||
◎ | Minimum Weight | ||||||||||||
드라이버 포함 560kg, 머신 자체 무게 490kg. |
2009.06.16 13:43:51 (*.130.111.50)

와... 1분 1초대... 대단합니다. 노면이 젖은 상태에서 나온거라면 더욱 놀랄만한 일인데... 다들 1,2,3,4 초 대로 나온 걸 봐서는 젖은듯 만듯 이거나 아니면 마의 태백 날씨 상황에서 그냥 마른 노면이 아니었나 생각해봅니다만, 어여 래디얼 3초대 차량이 나와야 할텐데요... ㅎㅎ
2009.06.16 15:14:22 (*.23.6.44)

태백에 슈퍼다이큐가 열렸을때 기억에 ST1 350Z 차량이 56초대 인걸로 기억 ST2 란에보,임프.. 57~58초대로
기억합니다. 타이어는 ADVAN 슬릭 18인치... 요코하마타이어 관계자(!)의 이야기로 태백 노면이 않좋아 기록이
썩 좋게 나오진 않는다고 노면에 불만을 토로 하시더군요..
뭐 슈퍼다이큐 차량으로 비교시 젠쿱 원메이크 상당히 빠른거라 생각됩니다.
(여담으로 사가구치 료혜선수도 젠쿱에 상당히 좋은 반응이었습니다.) ^*^
기억합니다. 타이어는 ADVAN 슬릭 18인치... 요코하마타이어 관계자(!)의 이야기로 태백 노면이 않좋아 기록이
썩 좋게 나오진 않는다고 노면에 불만을 토로 하시더군요..
뭐 슈퍼다이큐 차량으로 비교시 젠쿱 원메이크 상당히 빠른거라 생각됩니다.
(여담으로 사가구치 료혜선수도 젠쿱에 상당히 좋은 반응이었습니다.) ^*^
2009.06.16 17:57:39 (*.138.21.43)

http://www.mgoon.com/view.htm?id=2330539
에어로킷에 의한 다운포스 + 슬릭타이어가 횡G 1.2가 나오는군요. 순정은 0.9G 였죠?
에어로킷에 의한 다운포스 + 슬릭타이어가 횡G 1.2가 나오는군요. 순정은 0.9G 였죠?
2009.06.17 04:27:36 (*.129.171.201)
현재 젠쿱 레이스에 참여하고 있는 백훈입니다, 타이어에 대한 이야기를 약간하자면 1전 때의 슬릭타이어는 소프트 타입의 타이어로 초반에 좋은 그립을 가지다가 급격히 그립이 떨어지는 타입이었으며, 2전 때는 먼저보다 그립력 자체는 떨어지지만 그립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하드 타입의 타이어로 바뀌었습니다. 사실상 랩타임만 본다면 1전 때보다 좋은 랩타임을 뽑아내기가 더 힘들수도 있으나(예선 전에는 랩타임들이 뒤로 후퇴되어 있었습니다.) 선수들의 코스적응과 실력으로 더 빨라진거라 생각됩니다.
저같은 아마추어로서는 배울 것이 많은 좋은 레이스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같은 아마추어로서는 배울 것이 많은 좋은 레이스라 생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