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발진 상황을 만든 다음 과연 브레이크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을 이번 파워텍에서 테스트해보았습니다.

원래는 어설픈 동영상까지도 촬영하긴 했는데 코덱의 문제인지 제대로 각 영상 사이트에서 인코딩이 안돼서 일단 썰로 풀어봅니다.

 

줄자까지 대고 거리와 속도를 정리할 수 있었으면 좋았겠지만 아쉽게도 거기까지 해보지는 못했습니다.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 WOT(스로틀 전개) 상황에서 브레이크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실험 설계:

(0) 120마력 오토 전륜구동 차량

(1) 주차브레이크를 올린 상태에서 액셀 전개하여 휠스핀 상황을 만든다

(2) 주차브레이크를 내리며 액셀 전개를 유지하여 휠스핀이 유지되어 앞으로 전진하는 상태에서

(3) 풋브레이크를 (왼발로) 전력으로 밟아 차를 멈출 수 있는지 확인한다

 

실험결과:

(1) 약 20-30kph 정도에서 풋브레이킹한 후 10m 정도 전진하여 차량 정지

 

(2) 특이사항 및 고려사항은,

(2-1)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도가 떨어져 풋브레이킹하기 힘들었음 (브레이크가 딱딱해진 상황).

(2-1-1) 그러나 왼발 브레이킹으로 차를 멈출 수 있었으므로, (각종 진술에서 말하듯) 오른발로 죽어라 밟았다 한다면 멈추지 못했을 정도라고 판단하기는 어려움

(2-1-2) 다만, 브레이킹 타이밍이 늦어 속도가 많이 붙은 상태에서 순정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열로 인한 페이드가 발생할 경우 차의 속도를 완전히 제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임

(2-1-3) 급발진 발생하자마자 풋브레이킹이 유효하게 들어가는 것이 변수가 될 수 있음

 

(2-2) 브레이킹시 후륜 대비 전륜의 회전수가 높아, ABS 경고등이 들어옴 (급발진 상황 발생시 브레이킹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라고 판단됨)

 

(2-3) 상대적으로 저출력 전륜구동 차량으로 테스트하였으므로, 고출력 전/후륜구동 차량인 경우 실험 결과와 다른 현상이 나타날 여지 있음

 

추가 실험 과제:

(1) N 에서 레드존 친 후 D로 변속 후 휠스핀 상황에서 브레이킹

(2) 고출력 후륜구동 차량으로 동일 테스트 (-_-;)

 

 

추가 해석과 논의는 다른 분들께 맡기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