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도요타 신화' 붕괴에 흔들, '제2의 소니' 쇼크
현대차가 미국의 자동차품질조사에서 도요다를 제친 데 대해 일본이 큰 충격을 받고 있다.
일본의 <교도(共同)통신>은 7일(현지시간) '한국 현대가 도요타 추월'이라는 제목의 뉴욕발 기사를 통해 "미국조사회사 JD 파워 앤드 어소시에트가 7일 발표한 2006년 자동차품질조사에서 한국의 현대-기아 자동차그룹의 '현대' 브랜드가 도요다 자동차의 '도요타'(4위)를 처음으로 제치고 3위로 약진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1위는 '포르쉐'였으며, 지난해 1위였던 도요타의 고급차부문 '렉서스'는 2위로 내려앉았다"고 덧붙였다.
통신은 특히 "'도요타'는 지난해 7위에서 순위를 끌어올렸으나 '현대'(지난해 10위)'와의 경쟁에서 패했다"고 충격을 감추지 못했다.
<지지(時事)통신>도 이날 같은 소식을 타전하면서 "승용차-소형트럭 19개부문 중 도요다자동차가 11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으나, 브랜드별 종합평가에서는 한국 현대자동차가 처음으로 톱 쓰리에 들어왔다"고 전했다.
이같이 내심 충격을 감추지 못하는 일본언론의 보도태도는 몇해전 삼성전자가 소니를 제쳤을 때 못지않은 큰 충격을 현재 일본이 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은 그동안 "한국차는 절대로 일본차를 추월하지 못할 것"이라는 절대믿음을 가져왔기 때문이다. '제2의 소니 쇼크'가 일본재계를 강타하는 분위기다.
/ 김홍국 기자 (tgpark@viewsnnews.com)
세상을보는 다른 눈 "뷰스앤뉴스"
현대의 약진이 돋보입니다....
내수용에도 좀더 신경을 쓰면 더욱 좋을텐데요....
현대차가 미국의 자동차품질조사에서 도요다를 제친 데 대해 일본이 큰 충격을 받고 있다.
일본의 <교도(共同)통신>은 7일(현지시간) '한국 현대가 도요타 추월'이라는 제목의 뉴욕발 기사를 통해 "미국조사회사 JD 파워 앤드 어소시에트가 7일 발표한 2006년 자동차품질조사에서 한국의 현대-기아 자동차그룹의 '현대' 브랜드가 도요다 자동차의 '도요타'(4위)를 처음으로 제치고 3위로 약진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1위는 '포르쉐'였으며, 지난해 1위였던 도요타의 고급차부문 '렉서스'는 2위로 내려앉았다"고 덧붙였다.
통신은 특히 "'도요타'는 지난해 7위에서 순위를 끌어올렸으나 '현대'(지난해 10위)'와의 경쟁에서 패했다"고 충격을 감추지 못했다.
<지지(時事)통신>도 이날 같은 소식을 타전하면서 "승용차-소형트럭 19개부문 중 도요다자동차가 11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으나, 브랜드별 종합평가에서는 한국 현대자동차가 처음으로 톱 쓰리에 들어왔다"고 전했다.
이같이 내심 충격을 감추지 못하는 일본언론의 보도태도는 몇해전 삼성전자가 소니를 제쳤을 때 못지않은 큰 충격을 현재 일본이 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은 그동안 "한국차는 절대로 일본차를 추월하지 못할 것"이라는 절대믿음을 가져왔기 때문이다. '제2의 소니 쇼크'가 일본재계를 강타하는 분위기다.
/ 김홍국 기자 (tgpark@viewsnnews.com)
세상을보는 다른 눈 "뷰스앤뉴스"
현대의 약진이 돋보입니다....
내수용에도 좀더 신경을 쓰면 더욱 좋을텐데요....
2006.06.08 14:04:25 (*.107.241.61)
미국현지에서 노트북을 사려고 알아보던중. 실용성=미국(탱크같은 몸집에 튼튼) 성능=일본..위주로 선택하지만 한국에서 판매되는 노트북은 성능 디자인 가격까지..최고점수더라구요...한국 소비자들이 워낙 까다롭다고 하네요..
국내 소비자의 까칠함(?ㅋㅋ)이 발전을 거듭하게 된 계기가 아닐까 합니다.
국내 소비자의 까칠함(?ㅋㅋ)이 발전을 거듭하게 된 계기가 아닐까 합니다.
2006.06.08 14:11:50 (*.232.25.21)

우선 공통의 문제는 내구성 입니다...자동차나...놋북이나...핸드폰이나 ...
다 따지고 보면 생활용품들인데...무슨 신주단지 모시듯 할 수도 없고..
매우 인정하고 싶지 않은 사실 이지만 ..제게 4년 가까이된 아범 랩탑과
1년도 안된 엘쥐 엑스놋이 있습니다만....엑스노트 자판이 벌써 .....-.-
스카이 핸폰은 구입한지 3개월만에 저절로 꺼져서 메인보드 갈고...
자동차는 뭐 더 얘기 않해도 되겠죠.
그나마 생활가전 쪽은 서비스마인드가 상당히 나아졌습니다만...
자동차쪽은 특히 현대는 ..... .-.-
다 따지고 보면 생활용품들인데...무슨 신주단지 모시듯 할 수도 없고..
매우 인정하고 싶지 않은 사실 이지만 ..제게 4년 가까이된 아범 랩탑과
1년도 안된 엘쥐 엑스놋이 있습니다만....엑스노트 자판이 벌써 .....-.-
스카이 핸폰은 구입한지 3개월만에 저절로 꺼져서 메인보드 갈고...
자동차는 뭐 더 얘기 않해도 되겠죠.
그나마 생활가전 쪽은 서비스마인드가 상당히 나아졌습니다만...
자동차쪽은 특히 현대는 ..... .-.-
2006.06.08 14:24:14 (*.111.192.87)

초기 품질지수 조사해서 그런듯 하구여. 또한 심리적인 가격대비 만족도가 영향을 준건 아닐까여? 그래두 등수가 높아지니 좋은거겠져^^ 미국 가격으로 팔고 워런티두 그정도면 현대가 국민기업으로 자긍심이 생길듯 하네여
2006.06.08 15:36:27 (*.107.127.66)

내구성에 대한 문제가 남아 있긴 하지만, 예전에는 초기 품질도 개판이란 소리를 들었으니 이정도면 상당히 발전한 것이네요. 그리고 초기 품질이 내구성이랑 아예 동떨어진 내용도 아니고 일반적으로 초기 품질이 좋은 제품이 내구성도 좋은 것이 보편타당한 현상이니 꽤 평가해줄만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알게 모르게 우리 주위에 10년 이상된 차들이 쌩쌩히 잘 달리는 것이 일반적인 일이라, 품질이 더 좋아진 지금 차들이 10년 후라면 더 많이 보이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저도 솔직히 외국산차에 대한 막연한 환상이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는데, 막상 이차 저차 접해보니 아 아직도 따라가야할 점이 많구나라는 점도 느끼지만, 생각보다 외국산차라고 별거 없구나 라는 현실감도 갖춰가게 되는 것 같습니다. 막상 국산차가 그런 트러블 일으키면 위에서 말씀하신 까칠한(^^)소비자들이 인터넷에서 난리를 치고 언론에서 부풀리고 할텐데, 외산차에서 비슷한 일이 생기면 그냥 그러려니 오너분들만 속앓이하거나 아예 외국산차가 고장이 나겠어? 원래 그런거겠지라는 믿음으로 버티시는 분들도 꽤 계시는 것 같구요. 외국 본사의 서비스 마인드는 절대 그렇지 않겠지만 적어도 국내 수입차 딜러들의 사후 관리는 별로 칭찬할만한 것은 아닌 듯 싶습니다. 국산 브랜드가 그런 식으로 사후관리하면 벌써 추적60분, PD수첩 다 몇번씩은 난리 났겠죠.
위에 핸드폰도 말씀해 주셨는데 국산도 국산 나름대로 회사나 제품에 따라 품질이 천차 만별인지라 스카이처럼 내구성 불평이 많은 회사도 있는가 하면, 애니콜처럼 펌웨어 버그 불평은 많아도 내구성 하나는 누구나 인정하는 제품도 있구요. 일제 노트북도 싱크패드처럼(일본IBM이 생산했습니다) 고급 노트북의 대명사도 있는가하면, 소니 바이오처럼 살때는 이쁘다가 국산보다 못한 저주스러운 내구성에 좌절하고 절망적인 A/S에 자포자기하게 만드는 회사들도 있으니까요.(그러면서도 이쁘다는 이유로 또 사는 저처럼 정신나간 사람도 있습니다만^^ 그래서 저는 절대 1년 넘기지 않고 중고로 팔아버리고 새로 삽니다. 소니 타이머는 무섭습니다)
결과는 결과 그 자체로 보는게 좋겠죠. 저 결과가 지어낸 거짓 데이터도 아니지만, 어디까지나 초기품질만의 문제이니 저게 좋게 나왔다고 현대가 갑자기 다른 회사들을 제껴버린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결과 자체에 회의를 품고 '그래봐야 현대가'라는 회의적인 생각도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좋은게 있으면 좋게 봐주고 또 나쁜게 있으면 까칠하게 굴고 해줘야겠죠.
그나저나 예전 조사에서 현대 결과가 좋게 나오니까(그 유명한 소나타 1위) 다른 회사나 여론에서 못믿겠다고해서 조사 항목 강화해서 대폭 늘린 결과가 현대를 더 돋보이게 만들었으니 이제 다른 쪽의 반응이 어떨지 자못 궁금해지네요. edmunds.com에 재미있는 표현이 있더군요. "die-hard Hyundai hater" 우리말로 하면 '죽도록 현대까' 정도? 우리나라에도 보배니 네이버니 게시판보면 저기 해당하시는 분들 꽤 많아보입니다.
그런데 테드에서는 '강판' 이야기 하시는 분은 안계시겠죠?^^
그리고 저도 솔직히 외국산차에 대한 막연한 환상이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는데, 막상 이차 저차 접해보니 아 아직도 따라가야할 점이 많구나라는 점도 느끼지만, 생각보다 외국산차라고 별거 없구나 라는 현실감도 갖춰가게 되는 것 같습니다. 막상 국산차가 그런 트러블 일으키면 위에서 말씀하신 까칠한(^^)소비자들이 인터넷에서 난리를 치고 언론에서 부풀리고 할텐데, 외산차에서 비슷한 일이 생기면 그냥 그러려니 오너분들만 속앓이하거나 아예 외국산차가 고장이 나겠어? 원래 그런거겠지라는 믿음으로 버티시는 분들도 꽤 계시는 것 같구요. 외국 본사의 서비스 마인드는 절대 그렇지 않겠지만 적어도 국내 수입차 딜러들의 사후 관리는 별로 칭찬할만한 것은 아닌 듯 싶습니다. 국산 브랜드가 그런 식으로 사후관리하면 벌써 추적60분, PD수첩 다 몇번씩은 난리 났겠죠.
위에 핸드폰도 말씀해 주셨는데 국산도 국산 나름대로 회사나 제품에 따라 품질이 천차 만별인지라 스카이처럼 내구성 불평이 많은 회사도 있는가 하면, 애니콜처럼 펌웨어 버그 불평은 많아도 내구성 하나는 누구나 인정하는 제품도 있구요. 일제 노트북도 싱크패드처럼(일본IBM이 생산했습니다) 고급 노트북의 대명사도 있는가하면, 소니 바이오처럼 살때는 이쁘다가 국산보다 못한 저주스러운 내구성에 좌절하고 절망적인 A/S에 자포자기하게 만드는 회사들도 있으니까요.(그러면서도 이쁘다는 이유로 또 사는 저처럼 정신나간 사람도 있습니다만^^ 그래서 저는 절대 1년 넘기지 않고 중고로 팔아버리고 새로 삽니다. 소니 타이머는 무섭습니다)
결과는 결과 그 자체로 보는게 좋겠죠. 저 결과가 지어낸 거짓 데이터도 아니지만, 어디까지나 초기품질만의 문제이니 저게 좋게 나왔다고 현대가 갑자기 다른 회사들을 제껴버린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결과 자체에 회의를 품고 '그래봐야 현대가'라는 회의적인 생각도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좋은게 있으면 좋게 봐주고 또 나쁜게 있으면 까칠하게 굴고 해줘야겠죠.
그나저나 예전 조사에서 현대 결과가 좋게 나오니까(그 유명한 소나타 1위) 다른 회사나 여론에서 못믿겠다고해서 조사 항목 강화해서 대폭 늘린 결과가 현대를 더 돋보이게 만들었으니 이제 다른 쪽의 반응이 어떨지 자못 궁금해지네요. edmunds.com에 재미있는 표현이 있더군요. "die-hard Hyundai hater" 우리말로 하면 '죽도록 현대까' 정도? 우리나라에도 보배니 네이버니 게시판보면 저기 해당하시는 분들 꽤 많아보입니다.
그런데 테드에서는 '강판' 이야기 하시는 분은 안계시겠죠?^^
2006.06.08 16:06:40 (*.6.15.133)

강판 이야기에서 한참 웃고 갑니다... ^^
나날이 발전해나가는 모습은 참 보기 좋은 현상입니다...
초기 품질이 좋다는 평가는 신뢰성 분야에서는 초기 고장률이 낮다고 보곤 합니다...
물론 수명주기에 따른다는 가정이 있지만요...
초기 고장률이 낮다고 한다면 우발고장(Random Failure) 이외에는 좋은 신뢰도 곡선을 가질 수 있습니다...
계속 발전해야죠...
거기에 발맞춰 기아도 자꾸 올라가줬으면 좋겠습니다... ^^
나날이 발전해나가는 모습은 참 보기 좋은 현상입니다...
초기 품질이 좋다는 평가는 신뢰성 분야에서는 초기 고장률이 낮다고 보곤 합니다...
물론 수명주기에 따른다는 가정이 있지만요...
초기 고장률이 낮다고 한다면 우발고장(Random Failure) 이외에는 좋은 신뢰도 곡선을 가질 수 있습니다...
계속 발전해야죠...
거기에 발맞춰 기아도 자꾸 올라가줬으면 좋겠습니다... ^^
2006.06.08 17:41:27 (*.77.92.228)

까칠한 한국의 소비자로 표현하자면..ㅎㅎㅎ
JD파워...미국내 광고비 얼마를 쓰느냐에 따라 평가하는 시선이 다른회사입니다...ㅎㅎㅎ
하지만, 한국차 왠만한 수입차보단 훨 낳습니다. 특히나 허브 베어링 하나에 12만원 받는 회사보단 훨 낳다고 생각합니다..ㅎㅎㅎㅎ(웃자고 하는 소리^^-저 아무래도 밤길 조심해야 할것 같습니다.^^)
기본은 많이 성장했다고 인정하나, 드라리빙의 즐거움은 아직도 좀더 시간이 필요한것 또한 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JD파워...미국내 광고비 얼마를 쓰느냐에 따라 평가하는 시선이 다른회사입니다...ㅎㅎㅎ
하지만, 한국차 왠만한 수입차보단 훨 낳습니다. 특히나 허브 베어링 하나에 12만원 받는 회사보단 훨 낳다고 생각합니다..ㅎㅎㅎㅎ(웃자고 하는 소리^^-저 아무래도 밤길 조심해야 할것 같습니다.^^)
기본은 많이 성장했다고 인정하나, 드라리빙의 즐거움은 아직도 좀더 시간이 필요한것 또한 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2006.06.09 05:01:00 (*.48.34.185)

김병혁님 말씀에 매우 공감합니다. 저만 그런지 모르겠지만, 제가 써본 cdp 관련 제품이나 캠코더, MD 등.. 소니 제품들은 모두 내구성과 인터페이스가 나빴습니다. 국내 혹은 타사 제품이 훨씬 나은 성능과 내구성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더군요. 'die-hard hyundai hater' 부분도 공감이 가는게, 외국얘기는 아니지만, 우리나라 까칠한 소비자 특성상, 심하게 얘기해서, 만약 천대중에 한대의 불량품이 있다면, 이 것을 만난사람이 인터넷등지에 난리쳐놓는 부분이 상당하죠.(이는 우리나라 서비스 마인드가 부족한 것도 큰 원인인 듯 합니다) 나머지 999대의 멀쩡한 사람들은 잘만 쓰고 있지만, 유독 소수의 불량품을 구입한 분 덕분에 나머지 이미지도 나빠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경우엔, 현명한 테드분들은 그런 얘기는 경과를 보고 흘려넘길 줄 아시는 분들이시리라 믿습니다.
btw, JD 파워에 대한 신뢰성은 어느정도 믿어야 하는걸까요?
btw, JD 파워에 대한 신뢰성은 어느정도 믿어야 하는걸까요?
2006.06.09 10:28:40 (*.217.7.230)

요즘 출시되는 NF쏘나타, TG그랜져, 심지어 베르나까지 현대차의 강성이 무척 좋아졌더군요. 얼마전 테드 횐님중 한분이 곧 출시될 HD아반테의 강성이 거의 골프5세대 강성에 근접한다는 추정 자료를 올려주시기도 하셨죠.
차체 강성뿐 아니라, 여러가지 마무리 품질이라던지 NVH도 과거 현대차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발전한게 사실입니다.
이번 JD파워 결과에 럭셔리를 제외하고 현대차가 1위를 했다는 것은 무척이나 의미심장한 일대 사건이 아닐 수 없군요. 비록 장기 품질 (내구성)까지 반영된것은 아닐지라도 현대차의 품질이 이제 글로벌 플레이어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으니까요.
특정 메이커인 현대차만을 옹호하자는 건 아니지만, 한국 국민으로서 자국 메이커의 평판이 날로 좋아지고 있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다만, 과거의 미흡했던 품질에 대한 경험으로 인해 아직도 국산차에 대해 선입견을 갖고 계신분들이 계신것 같아 안타깝네요.
이제 현대는 "일상생활의 수단"으로서의 자동차를 넘어, "운전의 즐거움"을 선사하는 차 만들기에 주력해야 할 것입니다. 대당 판매이익과 브랜드 가치는 자연스럽게 같이 올라가겠죠.
차체 강성뿐 아니라, 여러가지 마무리 품질이라던지 NVH도 과거 현대차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발전한게 사실입니다.
이번 JD파워 결과에 럭셔리를 제외하고 현대차가 1위를 했다는 것은 무척이나 의미심장한 일대 사건이 아닐 수 없군요. 비록 장기 품질 (내구성)까지 반영된것은 아닐지라도 현대차의 품질이 이제 글로벌 플레이어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으니까요.
특정 메이커인 현대차만을 옹호하자는 건 아니지만, 한국 국민으로서 자국 메이커의 평판이 날로 좋아지고 있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다만, 과거의 미흡했던 품질에 대한 경험으로 인해 아직도 국산차에 대해 선입견을 갖고 계신분들이 계신것 같아 안타깝네요.
이제 현대는 "일상생활의 수단"으로서의 자동차를 넘어, "운전의 즐거움"을 선사하는 차 만들기에 주력해야 할 것입니다. 대당 판매이익과 브랜드 가치는 자연스럽게 같이 올라가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