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친구들 두놈들과 제차로 어디를 다녀오던 길이었습니다
두놈은 오래전부터 친구들인데...면허 있고 운전도 가끔하지만 차에 관심이 없는친구들입니다.
그런데...
제가 운전중 규정속도 80키로인 도로에서 1차선을 80으로달리는 차량에게 혼자말로 `추월차선에서 왜 저렇게 달리는거야~`라고 궁시렁 거리며 2차선을거쳐 제끼니 친구중 한명이 왜 그 차량에게 머라하냐고 하더군요
80키로인 도로에서 80이 뭐가 잘못됬냐고...
그래서 전 선진국에선 그게 당연한거다 , 우리나라사람 운전수준이 아직 낮아서 그렇다 , 1차선은 추월선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그게 곧 법으로 정해질테니 잘 알아두라했죠
그랬더니 나머지 친구도 합세해서 말도 안된다고 하더군요
규정속도를 지키라고 있는건데 그걸 어기는게 왜 잘못된거냐더군요
자긴 너처럼 뒤에서 상향등날리면 짜증나서라도 안비켜줄꺼라고까지 하더군요
그 이후론 집에갈때까지 논쟁을 벌였지만 결론이 안났고 수적으로 밀린 -_- 저는 `니들과 얘기안해!`란 말을 하고 말았습니다
집에와서 곰곰히 생각해보았지만 딱히 친구들을 설득할만한 얘기나 자료가 제겐 없더군요
전 차에 조금 관심이 있어서 그쪽으로 듣는게 많아서였는지 그냥 1차선은 추월차선인가보다...이렇게만 생각한거였지 추월선에서의 평균속도는 잘못되었다는말에 반박할말이 없더군요
혹시 좋은생각이나 자료같은거 알려주실분 계실까요? ^^
생각해보니 친구두명을 투카 뒷자리에태워서 짜증이 80프로 이상 상승한상태였던거 같네요 -_-;;;
두놈은 오래전부터 친구들인데...면허 있고 운전도 가끔하지만 차에 관심이 없는친구들입니다.
그런데...
제가 운전중 규정속도 80키로인 도로에서 1차선을 80으로달리는 차량에게 혼자말로 `추월차선에서 왜 저렇게 달리는거야~`라고 궁시렁 거리며 2차선을거쳐 제끼니 친구중 한명이 왜 그 차량에게 머라하냐고 하더군요
80키로인 도로에서 80이 뭐가 잘못됬냐고...
그래서 전 선진국에선 그게 당연한거다 , 우리나라사람 운전수준이 아직 낮아서 그렇다 , 1차선은 추월선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그게 곧 법으로 정해질테니 잘 알아두라했죠
그랬더니 나머지 친구도 합세해서 말도 안된다고 하더군요
규정속도를 지키라고 있는건데 그걸 어기는게 왜 잘못된거냐더군요
자긴 너처럼 뒤에서 상향등날리면 짜증나서라도 안비켜줄꺼라고까지 하더군요
그 이후론 집에갈때까지 논쟁을 벌였지만 결론이 안났고 수적으로 밀린 -_- 저는 `니들과 얘기안해!`란 말을 하고 말았습니다
집에와서 곰곰히 생각해보았지만 딱히 친구들을 설득할만한 얘기나 자료가 제겐 없더군요
전 차에 조금 관심이 있어서 그쪽으로 듣는게 많아서였는지 그냥 1차선은 추월차선인가보다...이렇게만 생각한거였지 추월선에서의 평균속도는 잘못되었다는말에 반박할말이 없더군요
혹시 좋은생각이나 자료같은거 알려주실분 계실까요? ^^
생각해보니 친구두명을 투카 뒷자리에태워서 짜증이 80프로 이상 상승한상태였던거 같네요 -_-;;;
2006.09.09 02:34:14 (*.189.192.195)

저도 강변이나 올림픽을 타면 80정속은 2차선이나 3차선으로 달립니다. 정속운전을 할려면 1차선은 피하는 의식을 모두가 가졌으면 합니다. 마치 출퇴근지하철 에스컬레이터에 오른쪽은 서서가실분..왼쪽은 빨리가실분..이 익숙해진것 처럼요..^^
2006.09.09 02:43:48 (*.159.250.239)
이 기회에 테드에서 장상준님의 친구분들처럼 1차선 정속을 고집하시는 분들에게 해드릴수있는 설득력있고 논리적인 이야기를 구성해주시면 안될까요?^^ 저도 같은 상황이었다면 딱히 뭐라 설명할수가 없을거 같네요. 단지 '자동차 선진국은 이렇다'라고 하기엔 좀...왜 1차선을 추월차선으로 비워야 하는지, 지그재그 추월이 왜 위험한지 테드고수분들이 모범답안을 작성해주셨으면 합니다.^^
2006.09.09 03:18:00 (*.179.127.197)

본인이 정말 급해서 과속을 감수하고서라도 빨리 가야하는 상황에서, 차로가 막혀서 빨리 가지 못하는 경험을 해보시면, 되도록 급한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게 될듯 합니다. / 일반 도로에도 고속도로처럼 추월 차로, 주행 차로 구분이 있나요 ??
2006.09.09 09:32:19 (*.144.184.118)

사회인프라의 효율적인 사용이란 측면에서 접근해보면 어떨까요? 안전속도 규정이 있긴합니다만, 10%내외의 용인도 있는데다가, 주행차선내의 한차량그룹(대게 동일속도를 유지하는 그룹들을 지칭합니다. 보통 이런 그룹들이 도로상에서 어느정도 간격을 두고 무리를 지어 주행을 하고있고, 뒤에서 따라가다보면 앞이 막히나 싶어도 추월차선으로 그 그룹을 넘어가보면 의외로 앞쪽 주행차선이 한가한 경우가 많죠.)을 넘어가는데 추월차선의 역활을 강조해보시면 어떨까요..? 속도규정..안전을 위해 정해놨으니까 지키는것은 당연합니다만, 통념적으로 용인될 수준의 과속(?..)이라면 한정도 도로조건을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지않을까 합니다.
2006.09.09 10:22:49 (*.184.41.164)

현재에도 1차선은 추월선 2차선은 주행선입니다. (편도 2차선 기준)
고속도로에서 추월선으로 계속 달릴경우 단속 대상입니다. 도교법 제 13조 차로의 설치와 동법 제11조, 제22조 등 지정차로제 위반으로 단속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현재 경찰에서도 고속도로 1차선(추월선) 단순 주행 차량에 대하여 단속을 한다고 6월경부터 고지한 바도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단속 중이기도 하구요.
지정차로제란 2차선일 경우 1차선은 추월선 2차선은 주행선이 됩니다.
3차선일 경우 3차선은 건설중장비, 화물차 같은 녀석들의 주행로이며 이땐 2차선이 추월선이 되죠.
4차선일 경우 끝 4차선이 건설중장비, 3차선이 중형화물, 2차선이 소형 화물 및 승용차량 입니다. 각각의 추월차선은 해당 차선의 윗차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4차선인 경우 3차선 이런식)
과거에는 이걸 일반 도로에서도 단속하였으나 한동안 지정차로제가 폐지되어 단속을 하지 않았습니다. 중장비나 트레일러 같은 대형 차량이 1,2 차로로 주행해도 단속하지 않았지요. 물론 그 전과 지금은 부활되어 다시 단속중입니다. (만 큰 문제가 없다면 단속하지 않거나 못 하는 실정이라는거 잘 아실껍니다. ^^)
제가 먹던 짬밥이 .... 경찰짬빱이라 ㅎㅎㅎ
고속도로에서 추월선으로 계속 달릴경우 단속 대상입니다. 도교법 제 13조 차로의 설치와 동법 제11조, 제22조 등 지정차로제 위반으로 단속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현재 경찰에서도 고속도로 1차선(추월선) 단순 주행 차량에 대하여 단속을 한다고 6월경부터 고지한 바도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단속 중이기도 하구요.
지정차로제란 2차선일 경우 1차선은 추월선 2차선은 주행선이 됩니다.
3차선일 경우 3차선은 건설중장비, 화물차 같은 녀석들의 주행로이며 이땐 2차선이 추월선이 되죠.
4차선일 경우 끝 4차선이 건설중장비, 3차선이 중형화물, 2차선이 소형 화물 및 승용차량 입니다. 각각의 추월차선은 해당 차선의 윗차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4차선인 경우 3차선 이런식)
과거에는 이걸 일반 도로에서도 단속하였으나 한동안 지정차로제가 폐지되어 단속을 하지 않았습니다. 중장비나 트레일러 같은 대형 차량이 1,2 차로로 주행해도 단속하지 않았지요. 물론 그 전과 지금은 부활되어 다시 단속중입니다. (만 큰 문제가 없다면 단속하지 않거나 못 하는 실정이라는거 잘 아실껍니다. ^^)
제가 먹던 짬밥이 .... 경찰짬빱이라 ㅎㅎㅎ
2006.09.09 10:23:38 (*.76.7.218)

규정속도를 지켰다고 해서 잘한것은 맞지만
좀더 세련된 운전은 양보할줄 아는 미덕이 필요하다고 말해보세요
1차선을 막게되면 결국 속도 빠른차는 2차선 추월이 불가피 하다구요
2차선 추월을 엄청나게 위험한 것이라구.. 잘못하면 연쇄추돌로 인해서
사고나면 그것이 또 교통흐름을 엄청나게 방해하는것 이라고
80인 도로에서 80만 달리면서 1차선을 고집하면 교통효율에서 엄청나게 떨어지면서
전체적인 교통흐름을 생각해보라구요 난 1차선에서 2차선으로 양보하더라도
속도가 그렇게 떨어지지 않고 편안하게 운전할수 있지만
상대편은 그렇지 못하다구요 독일에선 2차선 추월이 법적으로 금지되 있기
때문에 1차선에서 비켜주는게 예의라구 우리나라도 고속도로에서 법으로
지정된다고 말씀해 보세요 ^^
좀더 세련된 운전은 양보할줄 아는 미덕이 필요하다고 말해보세요
1차선을 막게되면 결국 속도 빠른차는 2차선 추월이 불가피 하다구요
2차선 추월을 엄청나게 위험한 것이라구.. 잘못하면 연쇄추돌로 인해서
사고나면 그것이 또 교통흐름을 엄청나게 방해하는것 이라고
80인 도로에서 80만 달리면서 1차선을 고집하면 교통효율에서 엄청나게 떨어지면서
전체적인 교통흐름을 생각해보라구요 난 1차선에서 2차선으로 양보하더라도
속도가 그렇게 떨어지지 않고 편안하게 운전할수 있지만
상대편은 그렇지 못하다구요 독일에선 2차선 추월이 법적으로 금지되 있기
때문에 1차선에서 비켜주는게 예의라구 우리나라도 고속도로에서 법으로
지정된다고 말씀해 보세요 ^^
2006.09.09 10:28:07 (*.184.41.164)

이러한 지정차로제를 지키지 않을 경우 도로의 효율성이 떨어져 결국은 교통소통과 흐름을 방해하고 국가의 대동맥과 같은 고속도로의 소통이 막히게 되어 (지금 당장은 추월차선의 차량이 교통흐름에 미미한 영향을 끼치는 지는 몰라도 뒤로 가면 갈수록 그 영향이 커집니다. 미슷한 효과인 쇼크웨이브 이펙트도 있지요.) 국가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혈관이 잘 돌아야 잘 사는 것 처럼 교통, 물류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물론 테드 여러분들께선 모두 잘 알고 계시는 것이겠지만요 ^^
2006.09.09 11:49:14 (*.32.114.167)

편도 2차선 이상의 도로에서 제한속도 이내의 속도로 나란히 모든 차로를 점유(?)하고 달리고 있는 차들을 접하기가 어렵지않은 현 상황을 생각할 때 기철님처럼 느낄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중요한것은 주위 차들과 비슷한 속도로 달릴 때는 기왕이면 한차선에서 나란히 달려서 다른 조금이라도 빨리갈 의향이 있는 차들에게 기회를 주자는 것이지 추월선에서 과속을 하는지 아닌지의 여부가 아니죠. 실제로 편도 2차선 국도등에서 제한속도+-10km/h내외로 주욱 정속주행 하더라도 덩어리 주행(?) 때문에 많은 차들이 막혀서 잘 못갈 때가 많습니다. 1차로를 막고 있는 차 한대만 옆차선으로 변경해 그속도 그대로 주욱 가주기만 하면 다른 차들은 과속하지도 않고 앞서갈 수 있는데 그렇지 못한다면 정말 낭비 아닙니까.
중요한것은 주위 차들과 비슷한 속도로 달릴 때는 기왕이면 한차선에서 나란히 달려서 다른 조금이라도 빨리갈 의향이 있는 차들에게 기회를 주자는 것이지 추월선에서 과속을 하는지 아닌지의 여부가 아니죠. 실제로 편도 2차선 국도등에서 제한속도+-10km/h내외로 주욱 정속주행 하더라도 덩어리 주행(?) 때문에 많은 차들이 막혀서 잘 못갈 때가 많습니다. 1차로를 막고 있는 차 한대만 옆차선으로 변경해 그속도 그대로 주욱 가주기만 하면 다른 차들은 과속하지도 않고 앞서갈 수 있는데 그렇지 못한다면 정말 낭비 아닙니까.
2006.09.09 12:19:13 (*.173.165.231)

모 사이트에서도 이것때문에 언쟁아닌 언쟁을 했습니다만
악법도 법이란 논리도 덤비더라는..
좀더 효율적으로 도로를 사용하자고 하는거고
빠른차들이 구지 칼질같은거 안해도 되는데 말입니다.
물론 여기엔 법에도 명시된 왼쪽 추월만 해야 겠죠.
얼마전 엔진을 손본 관계로 정속주행하느라 끝차선으로
용인을 왕복했죠.
물론 좀 많이 느린차가 나오면 왼쪽추월만하고 가는데
왜 그게 더 빠른지..
왜 이런 글 보면 과속하자고 생각하는지.. 에혀=3
악법도 법이란 논리도 덤비더라는..
좀더 효율적으로 도로를 사용하자고 하는거고
빠른차들이 구지 칼질같은거 안해도 되는데 말입니다.
물론 여기엔 법에도 명시된 왼쪽 추월만 해야 겠죠.
얼마전 엔진을 손본 관계로 정속주행하느라 끝차선으로
용인을 왕복했죠.
물론 좀 많이 느린차가 나오면 왼쪽추월만하고 가는데
왜 그게 더 빠른지..
왜 이런 글 보면 과속하자고 생각하는지.. 에혀=3
2006.09.09 12:31:39 (*.76.7.218)

칼질을 잘할수록 시내연비가 향상 되더라구요 그냥 다니면 가다서다..
브레이크를 지속적으로 밟아다 놨다 속도도 안오르고.. 답답해서..
어쩔수없이 S자로 비켜서 상황이 좋은차선만 골라서 운전하는게
불가피한거 같습니다. 몇몇차들 때문에 말이죠
브레이크를 지속적으로 밟아다 놨다 속도도 안오르고.. 답답해서..
어쩔수없이 S자로 비켜서 상황이 좋은차선만 골라서 운전하는게
불가피한거 같습니다. 몇몇차들 때문에 말이죠
2006.09.09 12:48:01 (*.75.249.215)

1.출퇴근지하철 에스컬레이터에 오른쪽은 서서가실분..왼쪽은 빨리가실분..이 익숙해진것 처럼 차량통행도 그렇게 해야한다
2.본인이 정말 급해서 과속을 감수하고서라도 빨리 가야하는 상황에서, 차로가 막혀서 빨리 가지 못하는 경험을 해보시면, 되도록 급한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게 될듯 한다.
3.한정도 도로조건을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4.고속도로에서 추월선으로 계속 달릴경우 단속 대상. 도교법 제 13조 차로의 설치와 동법 제11조, 제22조 등 지정차로제 위반으로 단속이 가능함. 그리고 현재 경찰에서도 고속도로 1차선(추월선) 단순 주행 차량에 대하여 단속을 한다고 6월경부터 고지한 바도 있슴. 그리고 현재 단속 중-전직 경찰관의 말씀
5.좀더 세련된 운전은 양보할줄 아는 미덕이 필요함
1차선을 막게되면 결국 속도 빠른차는 2차선 추월이 불가피하고 2차선 추월은 엄청나게 위험한 것이라구.. 잘못하면 연쇄추돌로 인해서 사고나면 그것이 또 교통흐름을 엄청나게 방해하는것이다.
6.전체적인 교통흐름을 생각해보라구요 난 1차선에서 2차선으로 양보하더라도 속도가 그렇게 떨어지지 않고 편안하게 운전할수 있지만 상대편은 그렇지 못하다.
독일에선 2차선 추월이 법적으로 금지되 있기때문에 1차선에서 비켜주는게 예의라구 우리나라도 고속도로에서 법으로 지정된다.
7.지정차로제를 지키지 않을 경우 도로의 효율성이 떨어져 결국은 교통소통과 흐름을 방해하고 국가의 대동맥과 같은 고속도로의 소통이 막히게 되어 (지금 당장은 추월차선의 차량이 교통흐름에 미미한 영향을 끼치는 지는 몰라도 뒤로 가면 갈수록 그 영향이 커집니다. 미슷한 효과인 쇼크웨이브 이펙트도 있음. 군대의 행군때를 생각해보라) 국가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슴
요정도면 친구를 이해시킬수있겠죠?
저나 제 친구들은 아주 단순해서 에스컬레이터의 예를 가장 가슴에 와닿을꺼같네요
ㅋㅋㅋ
2.본인이 정말 급해서 과속을 감수하고서라도 빨리 가야하는 상황에서, 차로가 막혀서 빨리 가지 못하는 경험을 해보시면, 되도록 급한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게 될듯 한다.
3.한정도 도로조건을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4.고속도로에서 추월선으로 계속 달릴경우 단속 대상. 도교법 제 13조 차로의 설치와 동법 제11조, 제22조 등 지정차로제 위반으로 단속이 가능함. 그리고 현재 경찰에서도 고속도로 1차선(추월선) 단순 주행 차량에 대하여 단속을 한다고 6월경부터 고지한 바도 있슴. 그리고 현재 단속 중-전직 경찰관의 말씀
5.좀더 세련된 운전은 양보할줄 아는 미덕이 필요함
1차선을 막게되면 결국 속도 빠른차는 2차선 추월이 불가피하고 2차선 추월은 엄청나게 위험한 것이라구.. 잘못하면 연쇄추돌로 인해서 사고나면 그것이 또 교통흐름을 엄청나게 방해하는것이다.
6.전체적인 교통흐름을 생각해보라구요 난 1차선에서 2차선으로 양보하더라도 속도가 그렇게 떨어지지 않고 편안하게 운전할수 있지만 상대편은 그렇지 못하다.
독일에선 2차선 추월이 법적으로 금지되 있기때문에 1차선에서 비켜주는게 예의라구 우리나라도 고속도로에서 법으로 지정된다.
7.지정차로제를 지키지 않을 경우 도로의 효율성이 떨어져 결국은 교통소통과 흐름을 방해하고 국가의 대동맥과 같은 고속도로의 소통이 막히게 되어 (지금 당장은 추월차선의 차량이 교통흐름에 미미한 영향을 끼치는 지는 몰라도 뒤로 가면 갈수록 그 영향이 커집니다. 미슷한 효과인 쇼크웨이브 이펙트도 있음. 군대의 행군때를 생각해보라) 국가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슴
요정도면 친구를 이해시킬수있겠죠?
저나 제 친구들은 아주 단순해서 에스컬레이터의 예를 가장 가슴에 와닿을꺼같네요
ㅋㅋㅋ
2006.09.09 12:57:25 (*.74.140.213)
원활한 교통흐름과 남을 위한 배려가 아닌가 생각되네요...
오히려 추월차로에서 정속주행하는 차를 피하기 위해 불필요한 차선변경(우측추월)으로
사고위험도 높아지고... 그 차만 주행차로로 내려가주면 더 안전하고 원할한 소통이 가능할텐데 말이죠..
오히려 추월차로에서 정속주행하는 차를 피하기 위해 불필요한 차선변경(우측추월)으로
사고위험도 높아지고... 그 차만 주행차로로 내려가주면 더 안전하고 원할한 소통이 가능할텐데 말이죠..
2006.09.09 13:21:54 (*.238.12.37)

좋은 의견들을 보니 테드를 운영하는 보람과 긍지를 느낍니다.
어제 중부고속도로를 타면서 가끔가다가 오르막길에 저속차량용 차선으로 편도 2차선에서 3차선으로 늘어나는 구간이 나오는데, 아무도 저속차선으로 바꾸지 않고, 결과적으로 가장 속도가 낮아야할 3차선이 가장 빠른 차선이 되지요.
당국은 도로의 효율을 높인다는 차원에서 차선 하나를 더 만드는데, 전체 고속도로 토탈 수천억은 썼을 것 같은데, 결론적으로 우리의 혈세를 쏟아붙고도 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동차 전용도로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차선을 넓히느라 그렇게 많은 돈을 쏟아붙는데, 차선이 늘어난만큼 소통이 효율적이지 못한 현실에서 운전자의 인식이 전환되면 분명 소통효율이 높아질 것입니다.
1차선을 과속과 폭주를 위한 차선으로 간주하고자하는 것이 아니라 결국 그러한 선진 인식이 우리에게 주는 효과와 혜택이 무엇인지를 생각했으면합니다.
1. 현실적으로 정속을 유지할 수 있다면 연비가 좋아집니다.(지금의 상황은 가속과 감속의 반복으로 연비가 좋게 나오기가 아주 어렵지요)
2. 결과적으로 적은 연료로 훨씬 빨리 멀리 갈 수 있습니다.
3. 조금 급해서 달려야하는 운전자들이 훨씬 안전합니다.
4. 3번의 운전자들보다 실제로 더 안전에 대한 혜택을 보는 것은 선량하게 정속으로 주행하는 사람들입니다.(자기 양옆에서 칼질하면서 가는 차량들로부터 철저히 보호되기 때문입니다.)
5. 우리가 낸 세금으로 만들어진 도로가 그 역할을 100% 해낸다면 도로를 사용하는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하루에 수분 내지 수십분의 시간을 법니다. 사람마다 분단위로 할 수 있는 일의 능력과 벌 수 있는 돈의 양이 다르겠지만 저라면 하루에 10분의 시간을 벌 수 있으면 아주 작은 행동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것입니다.
6. 미국의 고속화도로는 우리와 비슷하게 조금 한심하지만 유럽사람들 기준으로 보았을 때 지금의 한국 상황을 보면 다들 한소리씩 합니다. 인식이 전환되면 유럽사람들도 한국이 생각보다 덜 미개하다거나 아니면 한국의 교통효율이 사람들의 인식때문에 높아졌다고 생각할 것이기 때문에 국가이미지에도 좋은 영향을 줄것입니다.
작은 행동의 변화로 인해 얻을 수 있는 것이 잃는 것보다 확실히 많습니다.
행동변화로 얻는 것이 실제로 자신에게 작건 크건 이득을 줄 수 있다는 쪽으로 생각을 유도할 수 있다면 친구분 설득이 쉬울 것 같네요.
어제 중부고속도로를 타면서 가끔가다가 오르막길에 저속차량용 차선으로 편도 2차선에서 3차선으로 늘어나는 구간이 나오는데, 아무도 저속차선으로 바꾸지 않고, 결과적으로 가장 속도가 낮아야할 3차선이 가장 빠른 차선이 되지요.
당국은 도로의 효율을 높인다는 차원에서 차선 하나를 더 만드는데, 전체 고속도로 토탈 수천억은 썼을 것 같은데, 결론적으로 우리의 혈세를 쏟아붙고도 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동차 전용도로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차선을 넓히느라 그렇게 많은 돈을 쏟아붙는데, 차선이 늘어난만큼 소통이 효율적이지 못한 현실에서 운전자의 인식이 전환되면 분명 소통효율이 높아질 것입니다.
1차선을 과속과 폭주를 위한 차선으로 간주하고자하는 것이 아니라 결국 그러한 선진 인식이 우리에게 주는 효과와 혜택이 무엇인지를 생각했으면합니다.
1. 현실적으로 정속을 유지할 수 있다면 연비가 좋아집니다.(지금의 상황은 가속과 감속의 반복으로 연비가 좋게 나오기가 아주 어렵지요)
2. 결과적으로 적은 연료로 훨씬 빨리 멀리 갈 수 있습니다.
3. 조금 급해서 달려야하는 운전자들이 훨씬 안전합니다.
4. 3번의 운전자들보다 실제로 더 안전에 대한 혜택을 보는 것은 선량하게 정속으로 주행하는 사람들입니다.(자기 양옆에서 칼질하면서 가는 차량들로부터 철저히 보호되기 때문입니다.)
5. 우리가 낸 세금으로 만들어진 도로가 그 역할을 100% 해낸다면 도로를 사용하는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하루에 수분 내지 수십분의 시간을 법니다. 사람마다 분단위로 할 수 있는 일의 능력과 벌 수 있는 돈의 양이 다르겠지만 저라면 하루에 10분의 시간을 벌 수 있으면 아주 작은 행동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것입니다.
6. 미국의 고속화도로는 우리와 비슷하게 조금 한심하지만 유럽사람들 기준으로 보았을 때 지금의 한국 상황을 보면 다들 한소리씩 합니다. 인식이 전환되면 유럽사람들도 한국이 생각보다 덜 미개하다거나 아니면 한국의 교통효율이 사람들의 인식때문에 높아졌다고 생각할 것이기 때문에 국가이미지에도 좋은 영향을 줄것입니다.
작은 행동의 변화로 인해 얻을 수 있는 것이 잃는 것보다 확실히 많습니다.
행동변화로 얻는 것이 실제로 자신에게 작건 크건 이득을 줄 수 있다는 쪽으로 생각을 유도할 수 있다면 친구분 설득이 쉬울 것 같네요.
2006.09.09 15:07:42 (*.81.248.78)

근데 꼭 보면 난 제한속도를 지키면서 가는데 왜 그러냐가 문제죠. 근본적으로 남잘되는꼴 못보는게 문제이지 않을까 합니다. 안전과 연관시켜서 설명하면 그나마 수월하게 설득 할 수 있을거 같네요~
2006.09.09 18:28:33 (*.144.227.41)

오르막길 저속차랑 주행선이 실질적인 추월차선이 되버리는 우리나라의 도로사정은
정말 갑갑할따름이죠 저같은경우는 오르막에서 힘이딸리기떄문에 3차선으로 비켜 주행을하면 되려 3차선으로 추월을하던차들이 화를내더군요 ;;
정말 갑갑할따름이죠 저같은경우는 오르막에서 힘이딸리기떄문에 3차선으로 비켜 주행을하면 되려 3차선으로 추월을하던차들이 화를내더군요 ;;
2006.09.10 00:21:09 (*.250.99.218)
실제 출퇴근 시간에 강북이나 올림픽을 달려보면 길 전체에 차가 가득차 있습니다. 그 상황에서 누가 1차선을 비워주려고 할까요? 그 상황에서도 1차선을 비워주는게 맞다고 생각하시나요? 물론 독일과 같이 차의 흐름이 여유가 있다면 1차선을 비워줄수 있겠지요. 하지만 모든 차선에 차가 가득 차 있다면 규정속도로 1,2, 3, 4차로에 모든차가 달리는 상황이라면 추월과 주행차선의 개념차이가 반드시 적용되어야 한다고 보이지는 않습니다. 또 시내의 자동차 전용도로의 경우 진출입로가 1차선쪽에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경우에도 1차선이 추월차선이라고 해야하나요? 그 경우에는 1차선이 진출로가 되고 그쪽에 길에서 빠져나가기 위한 차들이 늘어서 있는 경우가 있지요. 제가 보기에는 고속도로에 주행이 원활한 시간이 아니라면 법규를 지켜주는 범위에서의 추월이 옳다고 봅니다.
2006.09.10 04:19:45 (*.68.79.151)

저는 유럽인들이나 일본인들의 사고는 모릅니다만, 미국인들은 준법정신이 강하고 양보하는 것이 쿨하다고 생각하며 매사에 긍정적인 편입니다. 1차선은 추월차선인 것으로 배웠으므로 (뉴욕시같이 "개판"인 곳 빼고) 다른 차선의 차량들의 속도가 그 도로의 법정최고속도 이하가 아니라면 (도로가 국도건 고속도로건) 1차선으로 (추월하는 것 빼고는) 들어서지 않습니다. 따라서, 법정최고속도 이하로 1차선을 주행하는 것은 보기 힘듭니다. 설사 도로상에 차들이 꽤 있어서 1차선으로 주행하는 차들이 몇몇 있더라도 1차선으로 뒤에서 접근하는 차량이 있으면 비켜줍니다. 2차선으로 비켜주기 힘든 상황이 아니라면 1차선이 추월차선이므로 당연히 양보를 합니다. 뒷 차가 과속하는지의 여부는 경찰이 판단할 일입니다.
1차선 문제는, 서울같이 교통체증이 심한 곳이 아니라면 (아무리 서울이라도 24시간 모든 지역에 교통체증이 있는 것은 아니죠), 상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양보하는 것이 멋있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면 생각보다 쉬운 문제입니다.
1차선 문제는, 서울같이 교통체증이 심한 곳이 아니라면 (아무리 서울이라도 24시간 모든 지역에 교통체증이 있는 것은 아니죠), 상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양보하는 것이 멋있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면 생각보다 쉬운 문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