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도요타, 한국서 ‘얌체’ 장사
[문화일보 2006-09-18 13:54:44]
(::하이브리드차 부품, 국내社에 5배이상 폭리·판매 중단::)
우리나라 자동차 제조사에게는 하이브리드차 핵심 부품을 비싸게넘기거나 판매 자체를 꺼려온 일본의 도요타가 한국시장에서 하이브리드차 시판을 개시, 국내 업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도요타는 16일 국내최초로 하이브리드 모델인 렉서스 스포츠용차량(SUV) RX400h를 출시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도요타는 3년전부터 한국의 현대·기아차에게는 하이브리드차 핵심부품인 배터리, 인버터(직류·교류 변환장치), 트랜스미션 등을 최고 5배 이상 비싸게 팔고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한국에서는 부품 폭리 = 현대차의 한 관계자는 “도요타가 미국에서 시판중인 하이브리드 모델 프리우스의 완성차 가격은 2만1000달러 수준인데 도요타 협력업체들은 현대차에는 배터리, 인버터, 트랜스미션 등 세가지 핵심부품 가격만 최고 7만달러까지받고 있다”며 “미국에서 팔리고 있는 도요타 완성차의 가격과비교할 때 한국에는 부품을 4~5배나 비싸게 팔고 있는 셈”이라고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마저 최근에는 기술유출을 우려해 아예 판매를 중단했다”라고 밝혔다.
반면 도요타는 미국업체들과는 하이브리드 기술 등 각종 기술교류를 하고 있다. 이 덕분에 하이브리드 후발업체인 GM 등 미국업체들은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경쟁력있는 가격에 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 한 전문가는 “도요타가 GM등 미국업체가 흔들릴경우 자신의 미국판매도 어려워지고 통상마찰 등의 보복을 우려해 미국 기업과는 손을 잡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즉 도요타가특허를 이용해 후발 경쟁업체인 한국기업은 따돌리면서 미국 시장을 위해서 미국기업과는 연대하는 이중플레이를 치밀하게 펼치고 있다는 것이다.
◆완성차 가격 미국보다 2배 비싸=하이브리드차는 도요타와 협력업체들이 수백건의 특허를 지니고 있다. 이들이 부품을 판매하지않을 경우 한국제조사들은 차량 양산에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을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실제로 올해말 선보이기로 한 현대차의 하이브리드차는 경제성 등을 이유로 생산을 2007년 이후로 연기됐다.
이번에 출시된 RX400h의 공인 연비는 12.9㎞/ℓ로 기존 RX350의연비인 8.9㎞/ℓ보다 개선됐다. 하지만 판매가격은 1000만원 가량 상승했다. 한국에서 8000만원에 출시된 이 차량은 미국 판매가격은 4만6000달러(4320만원) 수준으로 한국가격이 미국보다 1.8배나 비싸다.
또 도요타가 출시한 하이브리드카는 차량에 600v 이상의 고압전류가 흘러 충돌사고가 날 경우 탑승자가 고압전류에 감전될 가능성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에 대해 한국도요타 관계자는 “차량내에 수많은 센서가 장착돼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전기를 끊어준다”며 “비슷한 사건이 미국에서 한건도 보고된 바 없다”라고 해명했다.
[문화일보 2006-09-18 13:54:44]
(::하이브리드차 부품, 국내社에 5배이상 폭리·판매 중단::)
우리나라 자동차 제조사에게는 하이브리드차 핵심 부품을 비싸게넘기거나 판매 자체를 꺼려온 일본의 도요타가 한국시장에서 하이브리드차 시판을 개시, 국내 업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도요타는 16일 국내최초로 하이브리드 모델인 렉서스 스포츠용차량(SUV) RX400h를 출시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도요타는 3년전부터 한국의 현대·기아차에게는 하이브리드차 핵심부품인 배터리, 인버터(직류·교류 변환장치), 트랜스미션 등을 최고 5배 이상 비싸게 팔고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한국에서는 부품 폭리 = 현대차의 한 관계자는 “도요타가 미국에서 시판중인 하이브리드 모델 프리우스의 완성차 가격은 2만1000달러 수준인데 도요타 협력업체들은 현대차에는 배터리, 인버터, 트랜스미션 등 세가지 핵심부품 가격만 최고 7만달러까지받고 있다”며 “미국에서 팔리고 있는 도요타 완성차의 가격과비교할 때 한국에는 부품을 4~5배나 비싸게 팔고 있는 셈”이라고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마저 최근에는 기술유출을 우려해 아예 판매를 중단했다”라고 밝혔다.
반면 도요타는 미국업체들과는 하이브리드 기술 등 각종 기술교류를 하고 있다. 이 덕분에 하이브리드 후발업체인 GM 등 미국업체들은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경쟁력있는 가격에 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 한 전문가는 “도요타가 GM등 미국업체가 흔들릴경우 자신의 미국판매도 어려워지고 통상마찰 등의 보복을 우려해 미국 기업과는 손을 잡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즉 도요타가특허를 이용해 후발 경쟁업체인 한국기업은 따돌리면서 미국 시장을 위해서 미국기업과는 연대하는 이중플레이를 치밀하게 펼치고 있다는 것이다.
◆완성차 가격 미국보다 2배 비싸=하이브리드차는 도요타와 협력업체들이 수백건의 특허를 지니고 있다. 이들이 부품을 판매하지않을 경우 한국제조사들은 차량 양산에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을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실제로 올해말 선보이기로 한 현대차의 하이브리드차는 경제성 등을 이유로 생산을 2007년 이후로 연기됐다.
이번에 출시된 RX400h의 공인 연비는 12.9㎞/ℓ로 기존 RX350의연비인 8.9㎞/ℓ보다 개선됐다. 하지만 판매가격은 1000만원 가량 상승했다. 한국에서 8000만원에 출시된 이 차량은 미국 판매가격은 4만6000달러(4320만원) 수준으로 한국가격이 미국보다 1.8배나 비싸다.
또 도요타가 출시한 하이브리드카는 차량에 600v 이상의 고압전류가 흘러 충돌사고가 날 경우 탑승자가 고압전류에 감전될 가능성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에 대해 한국도요타 관계자는 “차량내에 수많은 센서가 장착돼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전기를 끊어준다”며 “비슷한 사건이 미국에서 한건도 보고된 바 없다”라고 해명했다.
2006.09.18 20:43:46 (*.249.69.151)

우리나라에서 수입차 비싸지는건 어쩔수 없나 봅니다. 예전에 한 유럽잡지에서 Q7 3.0이 5400만원인가 하던걸보고 참 부러워했던 기억이 나네요...
2006.09.18 22:26:36 (*.35.74.68)

메이커 옹호하는 입장은 아닙니다만, 하이브리드카를 1년에 몇 만대 생산하는 메이커에 납품하는 부품과 1년에 많아야 몇 백대 생산하는 메이커에 납품하는 부품의 납품가가 같을 수는 없다고 봅니다. 게다가 두 차가 똑같은 부품을 쓸 수는 없을테니 당연히 국내 메이커 부품공급가가 비싸지 않을까 싶은데요. 차값 비싼 것도 100%는 아니어도 어느 정도는 수긍이 가는 것이, 판매대수는 적지만 손해는 보지 않아야 하는 것이 메이커 아니겠습니까. 무엇보다 걱정스러운건 기사 말미에 언급된 것처럼, 하이브리드 인프라가 부족한 상태에서 하이브리드카 사고 났을 때의 처리입니다. 사고라는 것이 변수가 엄청나게 많으니 외국에서 벌어지지 않은 황당한 사태가 국내에서는 일어날 수도 있으니까요.
2006.09.19 08:12:44 (*.179.205.243)
국산차도 비싸고, 외제차도 비싸고, 수리비도 비싸고, 집값도 비싸고, 대학 등록금도 비싸고, 기름값 비싸고... 또 뭐가 비쌀까요? 울 나라 어케 잘 돌아가는 것 맞나요? ^^;
2006.09.19 11:43:43 (*.192.187.141)

하이브리드 프로젝트 자체가 일본정부의 전폭적인 지원하에서 개발되었고 현재도 상당한 정부 보조금하에 저렴(?)한 가격에 판매가 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미국과의 교류및 관계유지는 국가정책 차원에서 어쩔수없는 당연한 선택이라고 보고, 제3국 메이커에 대한 가격정책 역시 당연한것 아닐까요? 힘들여만든 떡을 거져줄순없겠죠.
다만 하이브리드 기술 자체가 차량가격/부품가격/유지보수비용 대비 실효용성이 거의 없는것으로 전문가들의 평가가 굳어지고 있긴하죠 -_-;;;
앞으로의 신기술이 기대되는 분야이지만 지금 시점에서 그것도 한국내에서의 구입및 운행은 그다지 현명한 선택은 아닌듯합니다.
북미에서의 판매인기도 실제 성능보다는 "환경보호"라는 타이틀하에 유명인사들의 이미지관리용 구입이라는 이야기도 많더군요. 뭐 그동네처럼 쭉쭉 뻗은 길에서는 연비는 정말 좋을듯도 싶고.. ㅎㅎ
다만 하이브리드 기술 자체가 차량가격/부품가격/유지보수비용 대비 실효용성이 거의 없는것으로 전문가들의 평가가 굳어지고 있긴하죠 -_-;;;
앞으로의 신기술이 기대되는 분야이지만 지금 시점에서 그것도 한국내에서의 구입및 운행은 그다지 현명한 선택은 아닌듯합니다.
북미에서의 판매인기도 실제 성능보다는 "환경보호"라는 타이틀하에 유명인사들의 이미지관리용 구입이라는 이야기도 많더군요. 뭐 그동네처럼 쭉쭉 뻗은 길에서는 연비는 정말 좋을듯도 싶고.. ㅎㅎ
2006.09.20 00:52:48 (*.250.26.125)
힘들게 개발한 기술을 상대적으로 후진적인 업체에 일정수준의 마진을 남기고 공급하는 것은 당연한 시장원리일테고, 오히려 이런 것보다는 같은 차를 해외에서는 낮은 가격말고는 내세울 것이 많지 않으니 저렴한 가격과 파격적인 워런티로 공급하고, 마땅한 대안이 없는 국낸 소비자들에게는 엄청난 가격 부플리기로 손해를 메꿔가는 현다이가 훨씬 더 얌체인게 아닐까요?
2006.09.20 08:11:20 (*.140.235.96)
저정도 가격은 적정한 마진을 남긴 시장원리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후발경쟁업체 죽이기수준이죠...
그리고 미국에서 4300만원짜리 차를 8000만원에 파는 것도 이해를 해주기에는 좀 심하죠...
굳이 옹호해주시는 분들을 제가 이해를 못하겠네요...^^
그리고 미국에서 4300만원짜리 차를 8000만원에 파는 것도 이해를 해주기에는 좀 심하죠...
굳이 옹호해주시는 분들을 제가 이해를 못하겠네요...^^
2006.09.20 09:26:59 (*.6.15.240)

참고로...
'현대'-->'현다이' 로 부르는 건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별로 안좋은 모습이라고 봅니다...
테드에서는 남의 이름(?) 막바꿔부르기는 안보였으면 합니다... ^^
(절대 태클은 아니니 기분언짢아 하시지 마세요...)
'현대'-->'현다이' 로 부르는 건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별로 안좋은 모습이라고 봅니다...
테드에서는 남의 이름(?) 막바꿔부르기는 안보였으면 합니다... ^^
(절대 태클은 아니니 기분언짢아 하시지 마세요...)
2006.09.20 10:41:52 (*.217.7.230)

김욱현님 의견에 동감입니다. 후발경쟁업체 죽이기라고 보여집니다. 그리고 현대는 분한 마음에 저와같은 고추가루 뿌리는 기사를 릴리즈 했군요.
2006.09.20 11:06:06 (*.115.56.83)
우리라도 중국이 같은기술을 개발하기위해 몇개 도입해서 시험하겠다면 똑같은 수순을 밟을것입니다 그래도 좀 머한건 GS하이브리드는 한국에 판매할 생각이 없다더군요
2006.09.22 00:57:13 (*.250.26.125)
저도 개인적으로 남의 이름 막 바꿔부르기는 아주 안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만, 현대의 영문표기가 "Hyundai"인 만큼 이름을 바꿔 부른 것은 아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몹시 안타까웠던 일인데, 북미에서는 "현대"라고 하면 현지인들은 아무도 알아듣지 못합니다.. 나름대로 글로벌 메이커로 성장하고 있지만, 내수시장에서는 독점적인 횡포로 일관하고 있는 모습이 괘씸하여 그들이 외국에서 불리고 싶어하는 이름을 불러본 것입니다.. 이 것으로 기분 나빠하는 분도 계실 수 있으니 앞으로는 단어 선택에 좀더 신중을 기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