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자동차 회사 및 자동차 관련 신문과 방송기사들, 이에 대한 테드인 및 네티즌(개인적으로 저는 이말을 참 싫어합니다만...)의 댓글을 보면서 느낀 개인적인 생각을 몇 자 적어보고자 합니다.

* 아래에 실린 토요타 기사 또는 얼마전 현대차의 미국과 한국에서의 가격비교 등등...

저는 이러한 류의 기사를 볼때마다 마음이 참 답답합니다. 왜 기업들을 욕하는지...기업의 목적은 이윤추구입니다. 합법적인 테두리내에서는 당연히 최대의 이윤을 추구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가격결정의 과정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봅시다. 일반적으로 회사가 제품을 시장에 출시할때 어떻게 가격결정을 할까요? 당연히 생산원가를 먼저 고려한 다음에 시장분석(경쟁제품가격, 소비자 성향포함..)을 해서 회사에 최대의 이윤을(목적이 이윤 최대화인 경우, 왜냐하면 목적에 따라 때에 따라서는 원가이하로 판매경우도 있으므로...)남기기 위해서 노력하겠지요. 법을 어기지 않는 범위에서 이윤 최대화를 추구하는 기업이  왜 잘못인가요?

물론, 시장이 독점인 상태이거나 제품 또는 서비스가 공공물인 경우에는 정부가 개입을 해서 가격결정에 영향을 미치겠지요. 만약, 한국의 자동차 시장이 독과점 상태라면 당연히 정부가 개입을 해서 현대자동차의 가격결정에 간섭을 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아니라면, 현대자동차의 가격전략을 욕하는 것은 기업에게"이윤을 극대화 하지 말아라 "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